행정대집행무효확인

사건번호:

96누15428

선고일자:

199702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지방자치법 제95조 제1항에 따른 권한위임의 의미 [2] 군수가 사무위임조례에 의하여 무허가 건축물에 대한 철거대집행사무를 읍·면에게 위임한 경우, 읍·면장이 대집행 계고처분권을 가지는지 여부(적극) [3] 대집행 계고처분을 함에 있어 대집행할 행위의 내용 및 범위가 반드시 대집행계고서에 의하여만 특정되어야 하는지 여부(소극) [4] 대집행에 위법이 있다는 사유로 그 선행절차인 계고처분이 부적법한 것으로 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1] 지방자치법 제95조 제1항에 따른 권한의 위임은 내부적으로 집행사무만을 위임한 것이라기보다는 이른바 외부적 권한 위임에 해당한다. [2] 군수가 군사무위임조례의 규정에 따라 무허가 건축물에 대한 철거대집행사무를 하부 행정기관인 읍·면에 위임하였다면, 읍·면장에게는 관할구역 내의 무허가 건축물에 대하여 그 철거대집행을 위한 계고처분을 할 권한이 있다. [3] 행정청이 행정대집행법 제3조 제1항에 의한 대집행계고를 함에 있어서는 의무자가 스스로 이행하지 아니하는 경우에 대집행할 행위의 내용 및 범위가 구체적으로 특정되어야 하지만, 그 행위의 내용 및 범위는 반드시 대집행계고서에 의하여서만 특정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고 계고처분 전후에 송달된 문서나 기타 사정을 종합하여 행위의 내용이 특정되거나 대집행 의무자가 그 이행의무의 범위를 알 수 있으면 족하다. [4] 계고처분의 후속절차인 대집행에 위법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와 같은 후속절차에 위법성이 있다는 점을 들어 선행절차인 계고처분이 부적법하다는 사유로 삼을 수는 없다.

참조조문

[1] 지방자치법 제95조 제1항 / [2] 지방자치법 제95조 제1항 , 행정대집행법 제3조 제1항 / [3] 행정대집행법 제3조 제1항 / [4] 행정대집행법 제3조 제1항

참조판례

[1] 대법원 1977. 4. 12. 선고 77누4 판결(공1977, 10042), 대법원 1994. 5. 27. 선고 93누18754 판결(공1994하, 1851), 대법원 1996. 12. 23. 선고 96추114 판결(공1997상, 547) /[3] 대법원 1990. 1. 25. 선고 89누4543 판결(공1990, 561), 대법원 1994. 10. 28. 선고 94누5144 판결(공1994하, 3142), 대법원 1996. 10. 11. 선고 96누8086 판결(공1996하, 3347)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임성우 (소송대리인 변호사 임흥순) 【피고,피상고인】 대정읍장 【원심판결】 광주고법 1996. 9. 6. 선고 (제주)96구22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원고 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를 본다. 1. 지방자치법 제95조 제1항에 따른 권한의 위임은 내부적으로 집행사무만을 위임한 것이라기보다는 이른바 외부적 권한 위임에 해당한다 고 볼 것인데( 당원 1977. 4. 12. 선고 77누4 판결, 1994. 5. 27. 선고 93누18754 판결 등 참조), 기록에 의하면, 남제주군수는 남제주군사무위임조례 제2조 제2항의 규정에 따라 무허가 건축물에 대한 철거대집행사무를 하부 행정기관인 읍·면에 위임하고 있으므로(기록 80면 이하), 피고에게는 관할구역 내의 무허가 건축물인 이 사건 건물에 대하여 그 철거대집행을 위한 이 사건 계고처분을 할 권한이 있다 할 것인바, 같은 취지의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이 지적하는 바와 같은 처분권한에 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이 점에 관한 논지는 이유 없다. 2. 행정청이 행정대집행법 제3조 제1항에 의한 대집행계고를 함에 있어서는 의무자가 스스로 이행하지 아니하는 경우에 대집행할 행위의 내용 및 범위가 구체적으로 특정되어야 하지만, 그 행위의 내용 및 범위는 반드시 대집행계고서에 의하여서만 특정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고 계고처분 전후에 송달된 문서나 기타 사정을 종합하여 행위의 내용이 특정되거나 대집행 의무자가 그 이행의무의 범위를 알 수 있으면 족하다 고 할 것인바( 당원 1994. 10. 28. 선고 94누5144 판결, 1996. 10. 11. 선고 96누8086 판결 등 참조), 이 사건 건물이 대집행계고서에는 '대정읍 상모리 133번지 상에 건축한 불법건축물'로 표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기록에 의하면 위 대지 위에 다른 건축물이 없고, 이 사건 철거대상건물이 기존 건물과 비록 연접해서 축조되어 있다고는 하나 그 외관, 구조, 용도, 면적 등 여러 측면에서 기존 건물과는 전혀 별개의 독립된 건물로 인정되는 점 등 이 사건 처분 전후에 나타난 제반 정황 및 당사자의 의사에 비추어 볼 때 위 계고서에서 표시한 정도라면 이 사건 건물을 지칭하는 것으로 충분히 특정되었다고 할 것이다. 같은 취지로 적법한 이 사건 계고서가 1995. 12. 13. 원고에게 송달되었다고 본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대집행 대상의 특정 및 부합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였거나, 채증법칙 위배로 인한 사실오인 내지 심리미진의 위법이 없다. 이와 다른 견해 아래 원심판단을 비난하는 논지는 이유 없다. 3. 소론이 지적하는 바와 같이 이 사건 계고처분의 후속절차인 대집행에 위법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와 같은 후속절차에 위법성이 있다는 점을 들어 선행절차인 이 사건 계고처분이 부적법하다는 사유로 삼을 수는 없는 노릇이므로, 이 점에 관한 논지는 더 나아가 살펴볼 필요 없이 받아들일 수 없다. 4. 원심은, 원고가 피고의 수차에 걸친 시정명령, 이 사건 계고처분 및 대집행절차의 착수통지에도 아랑곳하지 아니하고 일방적으로 이 사건 건물 축조를 강행하였고, 자진 철거를 약속하고도 이를 이행하지 않고 있어 앞으로 다른 수단에 의하여 스스로의 철거이행을 기대한다는 것은 더 이상 곤란하다고 보여지며, 가사 이 사건 건물이 철거되면 원고에게 소론이 지적하는 바와 같은 손실이 생긴다고 하여도 이는 원고가 스스로 자초한 결과일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위와 같은 경위로 건축된 불법건축물을 방치하는 것은 심히 공익을 해치는 것이라는 전제에서, 이 사건 건물을 대집행절차에 의하여 강제철거하기로 하는 이 사건 처분은 적법한 것이라고 판단하였는바, 기록과 관계 법령에 비추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대집행절차 및 요건과 관련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이 점에 관한 논지 역시 이유 없다. 5.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지창권(재판장) 천경송(주심) 신성택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무허가 건축물 철거, 대집행 계고처분 취소소송에서 알아야 할 것들

무허가 건축물에 대한 철거 명령을 받고 이에 불복하지 않았다면, 이후 이루어진 철거 대집행 계고처분에 대해서도 철거 명령의 위법성을 주장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쉽게 말해, 앞서 철거하라고 했을 때 가만히 있었으면 나중에 철거를 위한 준비단계(계고)에 대해서도 이의를 제기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무허가 건축물#철거 대집행#계고처분#취소소송

일반행정판례

불법 건축물 철거, 대집행, 그리고 공유자

불법 건축물 철거를 위한 대집행 계고의 효력 범위에 대한 판결입니다. 대집행 대상은 계고서 외 다른 자료를 통해서도 특정될 수 있으며, 반복된 계고는 단순한 기한 연장으로 행정처분이 아닙니다. 또한, 공유 건물의 경우 계고처분은 해당 계고서를 받은 공유자에게만 효력이 있습니다.

#대집행계고#효력범위#공유건물#공유자

일반행정판례

건축물 철거, 무조건 해야 할까요? - 대집행 계고처분의 위법성

건축법을 위반한 건물이라도 철거 명령을 내리려면 위반 내용이 명확해야 하고, 그 위반이 공익을 크게 해칠 때만 가능합니다. 이 사건에서는 건물의 일부가 이웃 땅을 침범했지만, 그 면적이 정확하지 않아 철거 범위를 특정하기 어려웠고, 위반 정도가 경미하여 공익을 크게 해친다고 보기 어렵다는 이유로 철거 명령이 위법하다고 판결했습니다.

#건축법 위반#철거 명령#적법성#공익

일반행정판례

건물 철거 대집행, 알아둬야 할 핵심 포인트!

무허가 건물 철거를 위한 대집행 계고처분의 요건과 적법성에 대한 판례입니다. 대집행 대상의 명확성, 공장 등록 및 재산세 납부의 효력, 대집행의 필요성, 그리고 재량권 일탈 여부 등이 주요 쟁점입니다.

#대집행#계고처분#적법성#무허가건물

일반행정판례

불법 건축물 철거, 언제 대집행할 수 있을까요?

허가 없이 소하천에 교량을 설치한 경우, 행정청은 교량 철거를 위한 대집행 계고 처분을 할 수 있는데, 이때 '불이행 시 심히 공익을 해치는지' 여부가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됩니다. 본 판례는 교량의 불법성과 소하천 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대집행 계고가 정당하다고 판결했습니다.

#불법 교량#철거 대집행#공익 침해#대집행 요건

일반행정판례

대집행과 비용 납부, 뭐가 문제일까?

대집행이 이미 완료된 경우, 계고처분 자체는 취소할 수 없지만, 계고처분의 위법성을 근거로 대집행비용 납부명령을 취소할 수 있다.

#대집행#계고처분#비용납부명령#위법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