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지초과소유부담금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6누7304

선고일자:

1997102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건축허가 신청일부터 그 허가일까지 기간이 택지초과소유부담금 부과대상에서 제외되는지 여부(소극) [2] 기존건물의 철거를 시작한 시점을 건축착공일로 볼 수 있는지 여부(소극) [3] 건축착공당일이 부과기준일로서 부과기간에 포함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1] 가구별 소유상한을 초과하는 택지는 택지소유상한에관한법률 제20조 제1항 각 호에서 정한 부과대상 제외사유가 없는 한 원칙적으로 초과소유부담금의 부과대상이 되는 것이고, 같은 법에서 정하지 아니한 사유를 들어 초과소유부담금 부과제외를 주장할 수는 없다 할 것인데 건축허가를 신청한 때로부터 건축허가가 날 때까지의 기간이 초과소유부담금 부과대상에서 제외된다고 볼 만한 아무런 근거 규정이 없으므로, 위 기간 중에 있었다는 사정만으로는 부담금 부과제외사유로 될 수 없다. [2] 당해 토지상의 기존건물의 철거를 시작한 시점을 건축착공일로 볼 수는 없고, 착공신고서가 제출된 날을 착공일로 보아야 한다. [3] 택지소유상한에관한법률은 제21조 제1항에서 제19조 각 호의 택지를 소유한 자는 같은 조 각 호의 규정에 의한 부과대상택지에 해당하게 되는 날부터 제외되는 날까지의 초과소유부담금을 납부할 의무가 있다고 규정하고, 제22조 제1항에서 초과소유부담금의 부과기간은 제19조의 규정에 의한 부과대상택지에 해당하게 된 날부터 제25조의 규정에 의한 부과기준일까지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구 택지소유상한에관한법률시행령(1995. 6. 14. 대통령령 제1466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9조 제3호는 건축착공일을 부과기준일의 하나로 규정하고 있는바, 이와 같은 법령의 규정을 종합하여 보면 건축착공일은 부과기준일로서 부과기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참조조문

[1] 택지소유상한에관한법률 제20조 제1항/ [3] 택지소유상한에관한법률 제19조, 제21조 제1항, 제22조 제1항, 제25조, 구 택지소유상한에관한법률시행령(1995. 6. 14. 대통령령 제1466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9조 제3호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상고인겸피상고인】 【피고,피상고인겸상고인】 서울특별시 광진구청장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6. 4. 12. 선고 95구34462 판결 【주문】 원심판결 중 피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원고의 상고를 기각하고, 이 부분의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1. 원고의 상고이유를 본다. 제1점에 대하여 가구별 소유상한을 초과하는 택지는 택지소유상한에관한법률(이하 법이라 한다) 제20조 제1항 각 호에서 정한 부과대상 제외사유가 없는 한 원칙적으로 초과소유부담금(이하 부담금이라 한다)의 부과대상이 되는 것이고, 법에서 정하지 아니한 사유를 들어 부담금 부과제외를 주장할 수는 없다 할 것인데 건축허가를 신청한 때로부터 건축허가가 날 때까지의 기간이 부담금 부과대상에서 제외된다고 볼 만한 아무런 근거 규정이 없으므로, 위 기간 중에 있었다는 사정만으로는 부담금 부과제외사유로 될 수 없다 할 것이다. 원심이 비록 그 이유는 다르나 이 사건 부담금 부과처분 중 건축허가를 신청한 때로부터 건축허가를 받은 날까지의 기간에 해당하는 부분은 위법하다는 원고의 주장을 배척한 조치는 결과적으로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서 주장하는 법리오해, 판단유탈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제2점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를 관계 법령 및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이 사건 토지상의 기존건물의 철거를 시작한 시점을 건축착공일로 볼 수는 없고, 착공신고서가 제출된 날을 착공일로 보아야 한다고 판단한 원심의 조치는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로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2. 피고의 상고이유를 본다. 법은 제21조 제1항에서 제19조 각 호의 택지를 소유한 자는 동조 각 호의 규정에 의한 부과대상택지에 해당하게 되는 날부터 제외되는 날까지의 부담금을 납부할 의무가 있다고 규정하고, 제22조 제1항에서 부담금의 부과기간은 제19조의 규정에 의한 부과대상택지에 해당하게 된 날부터 제25조의 규정에 의한 부과기준일까지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구 법시행령(1995. 6. 14. 대통령령 제1466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9조 제3호는 건축착공일을 부과기준일의 하나로 규정하고 있는바, 이와 같은 법령의 규정을 종합하여 보면 건축착공일은 부과기준일로서 부과기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 따라서 이 사건 토지상에 건축이 착공된 당일은 당해 택지가 이용·개발에 제공되고 있었으므로, 부과기간에서 제외되어야 한다고 판단한 원심판결에는 부담금 부과기간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는 옳다. 그러므로 피고의 상고는 이유 있어 원심판결 중 피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여 이 부분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고, 원고의 상고는 이유 없어 기각하며, 상고기각된 부분의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서성(재판장) 최종영 이돈희(주심) 이임수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택지 초과소유부담금, 언제 어떻게 부과될까?

택지초과소유부담금은 택지를 정해진 기간 내에 처분하거나 개발하지 않은 경우 부과되는데, 이 판례는 부담금 부과 기준일과 부과율을 어떻게 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단순히 건축공사를 시작했다고 처분한 것으로 보지 않으며, 연불 매매의 경우 첫 번째 할부금 지급일을 처분일로 봅니다. 또한, 의무기간 내 처분하지 않으면 더 높은 부과율이 적용됩니다.

#택지초과소유부담금#부과기준일#부과율#처분

일반행정판례

택지 소유 상한 초과 부담금, 언제 내야 할까요?

옛날 택지소유상한제 관련 법령에서, 법 시행 *전*에 취득한 땅과 건축허가 제한 때문에 이용/개발 기간이 늘어난 땅은 초과소유부담금 부과 대상이 아니라는 판결.

#택지소유상한#초과소유부담금#시행 전 취득#건축허가 제한

일반행정판례

택지초과소유부담금, 언제부터 내야 할까요? 개발 못하면 기간 연장도 가능!

도시설계 확정 지연 등 객관적인 사유로 택지 개발이 불가능했다면, 그 기간만큼 택지 개발 의무기간을 연장해야 한다. 법에 명시된 사유 외에도, 택지 개발을 못하게 하는 객관적인 사정이 있다면 의무기간 연장을 인정할 수 있다.

#택지#개발의무기간#연장#도시설계 지연

일반행정판례

택지초과소유부담금 부과 기준, 기간, 그리고 다가구주택의 의미에 대한 법원의 판단

다가구 주택을 지어 임대하는 경우, 택지초과소유부담금은 언제까지 내야 할까? 임대 시작일과 사업자 등록일 중 어느 날이 기준일까? 그리고 다가구 주택은 공동주택으로 볼 수 있을까?

#택지초과소유부담금#다가구주택#임대사업자#사업자등록

일반행정판례

택지소유상한 초과에 따른 부담금, 어떤 경우에 내야 할까?

택지소유상한을 초과한 택지에 대한 부담금 부과 유예기간의 의미, 부담금 부과 대상 제외 요건, 그리고 가구 구성원별 부담금 안분 계산 방법에 대한 대법원 판결

#택지소유상한#부담금#유예기간#부과대상

일반행정판례

택지소유상한제에 따른 초과소유부담금, 언제 내야 할까?

이 판례는 택지소유상한에관한법률에 따라 부과되는 초과소유부담금 대상이 되는 택지의 범위와 관련하여, 이용개발의무기간 연장 특례 적용 요건, '주택 건축 금지' 및 '사실상 건축 불가능한 나대지'의 의미, 법인의 택지 취득 허가 사유, 건축물 부속토지 범위, '영구적인 건축물'의 의미 등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택지초과소유부담금#택지#이용개발의무기간#주택건축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