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급보증금

사건번호:

96다32188

선고일자:

199612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은행의 지급보증서의 법적 성질 및 지급보증금 청구시 그 지급보증서의 소지·제시가 필요한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은행이 지급보증거래약정에 따라 채무자의 물품대금채무의 지급을 보증하기 위하여 발행한 지급보증서는 민사상의 보증을 한 보증서에 불과할 뿐 유가증권은 아니므로, 채권자가 지급보증금을 청구함에 있어서 반드시 그 지급보증서의 소지 및 제시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참조조문

민법 제428조

참조판례

대법원 1967. 5. 16. 선고 67다311 판결(집15-2, 민3), 대법원 1980. 11. 11. 선고 80다71 판결(공1981, 13392)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환영철강공업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세방종합법무법인 담당변호사 강홍주 외 2인) 【피고,상고인】 주식회사 평화은행 (소송대리인 변호사 천효재)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6. 6. 21. 선고 95나33780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원심판결 이유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상고이유로 지적하는 점에 관한 원심의 사실인정과 판단은 옳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2. 원심이 이 사건 지급보증서는 피고가 특정채무인 소외 회사의 원고에 대한 위 물품대금채무의 지급을 보증한다는 민사상의 보증을 한 보증서에 불과할 뿐이지 유가증권은 아니라고 할 것이어서 위 지급보증금을 청구함에 있어서 반드시 위 지급보증서의 소지 및 제시가 필요한 것은 아니라고 한 판단은 옳다. 또 원심은 피고가 소외 회사를 통하여 이 사건 지급보증서를 회수하게 된 것은 소외 회사가 이 사건 지급보증서의 금액과 기한을 증액, 연장하여 주겠다고 원고를 기망하여 원고가 이에 속아 이 사건 지급보증서를 소외 회사에게 교부하여 주어 피고가 소외 회사를 통하여 이를 회수하게 된 것으로 피고가 위 약정기간 경과 전에 위와 같은 경위로 소외 회사를 통하여 이 사건 지급보증서를 회수한 것만으로는 원고가 소외 회사에게 위 지급보증계약을 해지할 권한을 위임하였다거나 피고에게 위 지급보증계약을 해지한다는 의사표시를 하였다고 볼 수 없으므로, 위 지급보증계약이 원· 피고 사이에 적법히 합의해지되었다고 할 수 없고, 한편 위 지급보증거래약정의 당사자가 피고와 소외 회사라고 하더라도 위 지급보증계약의 당사자가 원고와 피고인 이상 위 지급보증계약이 원고의 해지의 의사표시나 해지권한의 위임이 없이도 소외 회사가 이 사건 지급보증서를 피고에게 반환하였다는 사실만으로 곧바로 해지된다고 볼 수는 없으며, 위 지급보증거래약정은 제3자를 위한 계약의 일종으로 피고가 이 사건 지급보증서를 발행의뢰인인 소외 회사를 통하여 회수하였다는 사정만으로 바로 수익자인 원고에게 대항할 수도 없다고 판단하였는바, 이러한 판단은 모두 옳다. 원심판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임수(재판장) 김석수 정귀호(주심) 이돈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지급보증, 보증기간, 그리고 기한이익 상실

이 판결은 지급보증의 책임 범위는 보증서에 명시된 기간과 내용에 따라 정해지며, 보증기간 내에 주채무의 이행기가 도래하고 채무자가 이행하지 않을 때만 보증인이 책임을 진다는 것을 명확히 했습니다. 또한, 보증기간은 주채무의 이자 납부일이 공휴일로 연장되어도 자동으로 연장되지 않으며, 기한의 이익 상실은 계약 내용에 따라 판단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지급보증#책임범위#보증기간#기한이익상실

민사판례

은행의 지급보증, 기간과 조건을 꼼꼼히 살펴야 하는 이유

주거래 은행 변경 시 이전 은행이 새 은행으로부터 받은 대출 보증의 효력은 보증서에 명시된 기간과 조건에 따라 정해지며, 단순히 형식적인 내용으로 무시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대출보증#보증기간#책임범위#보증서

민사판례

은행의 지급보증, 어디까지 책임져야 할까? - 어음보증과 융자담보

은행이 기업에게 '융자'에 대한 지급보증서를 발급해 준 경우, 해당 기업이 어음보증을 받아 자금을 융통하고 이를 갚지 못했을 때, 은행은 어음보증으로 인한 대지급금까지 보증해야 하는가? (대법원은 "해야 한다"고 판결)

#어음보증#지급보증#융자#구상권

민사판례

신용보증기금 보증과 은행의 담보 확보 의무

은행이 신용보증기금의 보증을 받아 대출해주면서 약속한 담보를 제때 확보하지 않아 신용보증기금이 손해를 볼 위험에 처했을 경우, 신용보증기금은 보증책임을 면할 수 있다.

#은행#담보확보의무#신용보증기금#보증책임면책

민사판례

보증보험, 계약자의 사기라도 보험금 받을 수 있을까?

보험계약자가 사기를 쳐서 보증보험에 가입했더라도, 피보험자가 그 사실을 몰랐고 보증보험에 의존해서 새로운 계약을 체결하거나 기존 계약을 이행하는 등의 행위를 했다면, 보험회사는 보험계약을 취소했더라도 피보험자에게 보험금을 지급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보증보험#사기#보험계약자#피보험자

민사판례

보증 있는 대출, 돈 받으면 어떻게 나눠야 할까?

은행이 보증기관(기술신용보증기금)의 보증을 받아 대출을 해준 후, 채무자가 돈을 갚지 못해 담보를 처분했을 때, 돈을 어떻게 나눠야 하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보증이 있는 대출의 경우, 담보 처분으로 얻은 돈을 나눌 때는 일반적인 우선변제 규칙보다 보증계약(신용보증약관)이 우선 적용됩니다.

#보증채무#변제충당#보증계약#신용보증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