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자금반환

사건번호:

96다32201

선고일자:

199610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청산절차가 필요 없는 조합해산으로 인한 출자재산 반환청구시 출자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다른 조합원의 반환채무 부담 비율

판결요지

조합이 해산되고 별도의 청산절차를 밟을 필요가 없어 출자의무를 이행한 조합원이 출자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다른 조합원들에 대하여 그 출자재산의 반환채권을 갖게 되는 경우, 다른 조합원의 반환채무 부담 비율은 조합계약에서 정한 손실부담의 비율에 의함이 상당하고 그 부담 부분의 특약이 없었다면 균등한 것으로 추정해야 한다.

참조조문

민법 제711조, 제712조

참조판례

대법원 1975. 5. 27. 선고 75다169 판결(공1975, 8514), 대법원 1991. 2. 22. 선고 90다카26300 판결(공1991, 1065), 대법원 1993. 3. 23. 선고 92다42620 판결(공1993상, 1270), 대법원 1995. 2. 24. 선고 94다13749 판결(공1995상, 1425)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6. 6. 21. 선고 95나41934 판결 【주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원고 1의 상고이유를 본다. 조합이 해산되고 별도의 청산절차를 밟을 필요가 없어 출자의무를 이행한 조합원이 출자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한 다른 조합원들에 대하여 그 출자재산의 반환채권을 갖게 되는 경우, 다른 조합원의 반환채무 부담 비율은 조합계약에서 정한 손실부담의 비율에 의함이 상당하고 그 부담 부분의 특약이 없었다면 균등한 것으로 추정해야 할 것이다. 같은 취지의 원심판단은 정당하고 또한 소외인이 무자력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는 원심판단도 수긍되고 거기에 논지와 같은 위법이 없다. 원고 2는 적법한 기간 내에 상고이유서의 제출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들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용훈(재판장) 박만호 박준서(주심) 김형선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출자금 미납 조합원, 잔여재산 분배는 어떻게?

조합이 해산되고 잔여재산 분배만 남은 상황에서, 출자금을 모두 내지 않은 조합원이 있다면, 미납 출자금을 받아내는 절차 없이 실제 낸 돈의 비율대로 잔여재산을 나눌 수 있다.

#조합#해산#잔여재산분배#미납출자금

민사판례

조합 해산 후 잔여재산 분배, 바로 받을 수 있을까?

조합이 해산했더라도, 조합 재산 중 받아야 할 돈이나 갚아야 할 돈이 남아있다면 바로 잔여재산을 나눌 수 없고, 청산절차를 거쳐야 한다.

#조합#해산#잔여재산#분배

민사판례

조합 해산 후 잔여재산 분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조합이 해산되고 남은 일이 잔여재산 분배뿐이라면, 복잡한 청산절차를 거치지 않고 바로 잔여재산 분배를 청구할 수 있다.

#조합#해산#잔여재산#분배

민사판례

조합 탈퇴 시 지분 반환, 언제 어떻게 계산될까?

조합에서 탈퇴하는 조합원은 출자 종류와 관계없이 탈퇴 당시의 조합 재산 가치를 기준으로 금전으로 지분을 돌려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조합원이 정산을 미루거나 뒤늦게 금전 정산을 요구하더라도 탈퇴 시점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조합 탈퇴#지분 반환#탈퇴 시점#금전 정산

민사판례

주택조합 해산과 개발부담금, 누가 내야 할까요?

해산된 주택조합의 개발부담금은 법 개정 전이라면 조합에, 법 개정 후라면 조합원에게 부과됩니다. 잘못 부과된 개발부담금을 조합원이 냈더라도, 조합원은 낸 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조합의 분담금 채무 확정 전에 국가가 조합원의 재산을 압류하는 것은 효력이 없습니다.

#주택조합#개발부담금#납부의무#조합원

민사판례

두 사람이 함께 사업하다 한 사람이 그만두면 어떻게 될까?

두 사람이 공동으로 사업(조합)을 하다가 한 사람이 탈퇴하면, 남은 사람이 모든 재산을 갖게 되지만, 탈퇴한 사람에게 재산에 대한 정산을 해줘야 합니다. 단순히 소유권 이전등기만으로 탈퇴자의 권리를 무시할 수는 없습니다.

#조합#탈퇴#재산정산#합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