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자)

사건번호:

96다37091

선고일자:

1996112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가동연한의 인정 기준 [2] 사고 당시 57세 10월 된 농업종사자의 가동연한을 63세가 될 때까지로 본 사례

판결요지

[1] 일실수입 산정의 기초가 되는 가동연한은 사실심이 평균여명과 경제수준, 고용조건 등의 사회적, 경제적 여건 외에 연령별 근로자 인구수, 취업률 또는 근로참가율 및 직종별 근로조건과 정년제한 등 제반 사정을 조사하여 이로부터 경험칙상 추정되는 가동연한을 도출하거나, 또는 피해 당사자의 연령, 직업, 경력, 건강상태 등 구체적인 사정을 고려하여 그 가동연한을 인정할 수 있다. [2] 사고 당시 57세 10월의 나이로서 기대여명이 22.66년이고 농촌지역에 거주하면서 사고 당시에도 전답을 경작하여 온 자의 가동연한을 63세가 될 때까지로 본 원심판결을 수긍한 사례.

참조조문

[1] 민법 제393조 , 제763조 / [2] 민법 제393조 , 제763조

참조판례

[1][2] 대법원 1993. 11. 26. 선고 93다31917 판결(공1994상, 197) /[1] 대법원 1989. 12. 26. 선고 88다카16867 전원합의체 판결(공1990, 356), 대법원 1992. 7. 24. 선고 92다10135 판결(공1992, 2533) /[2] 대법원 1993. 6. 8. 선고 92다18573 판결(공1993하, 1991)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양순석 외 4인 【피고,상고인】 동양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한미합동법률사무소 담당변호사 유경희 외 6인) 【원심판결】 서울지법 1996. 7. 18. 선고 96나21293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일실수입 산정의 기초가 되는 가동연한은 사실심이 평균여명과 경제수준, 고용조건 등의 사회적, 경제적 여건 외에 연령별 근로자 인구수, 취업률 또는 근로참가율 및 직종별 근로조건과 정년제한 등 제반 사정을 조사하여 이로부터 경험칙상 추정되는 가동연한을 도출하거나, 또는 피해 당사자의 연령, 직업, 경력, 건강상태 등 구체적인 사정을 고려하여 그 가동연한을 인정할 수 있는 것이다( 대법원 1993. 11. 26. 선고 93다31917 판결 각 참조). 원심은, 이 사건 사고 당시 소외 망 하순자는 57세 10월의 나이로서 기대여명이 22.66년이고, 농촌지역에 거주하면서 사고 당시에도 경기 용인군 포곡면 영문리에서 남편 소유의 전답을 경작하여 왔으며, 한편 1990년 현재 경기도 지역의 농가 중 경영주가 60세 이상인 농가는 26.9%에 이르고, 위 용인군 포곡면의 경우도 25.6%에 이를 뿐 아니라, 농촌진흥청의 1994년도 조사결과 60세 이상인 농업경영주가 전체의 40%에 이르는 사실을 확정한 다음, 이와 같은 농촌 노동력의 고령화 추세에 비추어 볼 때 위 망인의 농업종사자로서의 가동연한은 63세가 될 때까지로 봄이 상당하다고 판단하였는바, 위와 같은 원심의 판단은 수긍이 가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채증법칙 위반 또는 심리미진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으므로,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안용득(재판장) 천경송 지창권 신성택(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농부의 가동연한, 63세까지 인정된 사례

61세 농부가 사고를 당했을 때, 법원은 그 농부의 가동 가능한 나이 (가동연한)를 63세까지로 인정했습니다.

#농부#가동연한#63세#손해배상

민사판례

50대 농부의 가동연한, 63세까지 인정된 사례

교통사고를 당한 54세 농부의 가동연한(일할 수 있는 나이)을 법원이 63세까지로 인정했습니다. 농촌의 고령화 추세와 피해자가 사고 당시까지 농사를 짓고 있었던 점 등을 고려한 판결입니다.

#농부#가동연한#63세#교통사고

민사판례

60대 농부의 가동연한, 65세까지 인정된 사례

60세 7개월의 농부가 사고를 당했을 때, 법원은 그 농부의 가동연한(일할 수 있는 나이)을 65세까지로 인정했습니다. 일반적인 노동자의 가동연한은 60세까지로 보는 판례가 있지만, 농촌의 현실과 농부의 실제 상황을 고려하여 65세까지 일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농부#가동연한 65세#농촌 현실#손해배상

민사판례

50대 농부의 가동연한, 65세까지 인정된 사례

교통사고로 사망한 52세 농부의 가동연한을 65세까지로 인정한 판례. 당시 농촌의 현실과 망인의 건강 상태 등을 고려하여 판단.

#가동연한#농부#65세#교통사고

민사판례

농업 종사자의 가동연한, 만 60세 넘길 특별한 사정 있어야 인정

농촌에서 일하는 사람의 소득 손실을 계산할 때 일할 수 있는 나이(가동연한)는 보통 60세까지로 봅니다.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60세를 넘겨서도 일할 수 있다고 인정하기는 어렵습니다.

#농업#가동연한#60세#손해배상

상담사례

60대 농민, 교통사고 사망 시 손해배상은 어떻게 계산될까요? (가동연한에 대한 이야기)

60대 농민의 교통사고 사망 시 손해배상은 일반적인 가동연한(60세)을 넘어 건강 상태, 실제 농업 활동 여부 등을 고려하여 65세까지 인정될 수 있으며, 개별 사건의 구체적 사실관계에 따라 달라진다.

#교통사고 사망#60대 농민#손해배상#가동연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