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이득금납부독촉고지처분취소

사건번호:

97누119

선고일자:

199907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구 의료보험법 제45조, 제55조, 제55조의2에 기하여 보험자 또는 보험자단체가 의료기관에게 부당이득금 또는 가산금의 납부를 독촉한 후 다시 동일한 내용의 독촉을 한 경우, 후에 한 동일한 내용의 독촉이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인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구 의료보험법(1994. 1. 7. 법률 제4728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45조, 제55조, 제55조의2의 각 규정에 의하면, 보험자 또는 보험자단체가 사기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보험급여비용을 받은 의료기관에게 그 급여비용에 상당하는 금액을 부당이득으로 징수할 수 있고, 그 의료기관이 납부고지에서 지정된 납부기한까지 징수금을 납부하지 아니한 경우 국세체납절차에 의하여 강제징수할 수 있는바, 보험자 또는 보험자단체가 부당이득금 또는 가산금의 납부를 독촉한 후 다시 동일한 내용의 독촉을 하는 경우 최초의 독촉만이 징수처분으로서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이 되고 그 후에 한 동일한 내용의 독촉은 체납처분의 전제요건인 징수처분으로서 소멸시효 중단사유가 되는 독촉이 아니라 민법상의 단순한 최고에 불과하여 국민의 권리의무나 법률상의 지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므로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이라 할 수 없다.

참조조문

구 의료보험법(1994. 1. 7. 법률 제4728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45조(현행 제45조 참조) , 제55조(현행 제56조 참조) , 제55조의2(현행 제57조 참조) , 제67조(현행 제71조) , 의료보험법 제71조 , 행정소송법 제1조[행정처분일반] , 제2조 제1항 제1호 , 제4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6. 10. 28. 선고 86누147 판결(공1986, 3139), 대법원 1994. 2. 22. 선고 93누21156 판결(공1994상, 1116), 대법원 1994. 10. 28. 선고 94누5144 판결(공1994하, 3142)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구자익 【피고,피상고인】 의료보험연합회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화백 담당변호사 노경래 외 4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6. 11. 21. 선고 96구10968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구 의료보험법(1994. 1. 7. 법률 제4728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법'이라고 한다) 제45조, 제55조, 제55조의2의 각 규정에 의하면, 보험자 또는 보험자단체가 사기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보험급여비용을 받은 의료기관에게 그 급여비용에 상당하는 금액을 부당이득으로 징수할 수 있고, 그 의료기관이 납부고지에서 지정된 납부기한까지 징수금을 납부하지 아니한 경우 국세체납절차에 의하여 강제징수할 수 있는바, 보험자 또는 보험자단체가 부당이득금 또는 가산금의 납부를 독촉한 후 다시 동일한 내용의 독촉을 하는 경우 최초의 독촉만이 징수처분으로서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이 되고 그 후에 한 동일한 내용의 독촉은 체납처분의 전제요건인 징수처분으로서 소멸시효 중단사유가 되는 독촉이 아니라 민법상의 단순한 최고에 불과하여 국민의 권리의무나 법률상의 지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므로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이라 할 수 없다. 원심판결은 위와 같은 법리에 따른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이 점에 관한 상고이유는 받아들일 수 없다. 나머지 상고이유는 이 사건 독촉이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임을 전제로 한 것이므로 이 사건 독촉의 행정처분성을 인정하지 아니하는 이상 원심이 그에 관하여 판단하지 아니하였다고 하여 원심판결에 상고이유에서 지적하는 바와 같은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이 점에 관한 상고이유도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서성(재판장) 박준서 신성택(주심) 이임수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건강보험 부당이득 반환과 의료기관 개설 자격 없는 자의 손해배상 책임

건강보험공단이 요양급여비용 지급 결정을 취소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해당 지급 결정에 따라 요양기관에 지급된 요양급여비용을 부당이득으로 반환하라고 청구할 수 없다는 것이 원칙입니다. 또한, 무자격자가 개설한 의료기관의 요양급여비용 수령이 불법행위라도, 손해배상 범위를 정할 때 공평의 원칙에 따라 손해배상액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공단#부당이득반환청구#요양급여비용#지급결정

일반행정판례

부당이득 반환 소송, 행정 처분 취소 확정 전에도 가능할까?

행정기관의 잘못된 처분으로 부당하게 돈을 낸 경우, 처분 취소 소송과 함께 부당이득반환청구를 같이 할 수 있으며, 부당이득반환 청구는 처분 취소 확정 전이라도 취소 판결만 있으면 인용될 수 있다.

#행정처분#취소소송#부당이득반환#병합

일반행정판례

10년 동안 건강보험 부당이득금, 돌려받을 수 있을까?

옛날 건강보험법(1994년 개정 전)에서 부당하게 받은 보험금을 건강보험공단이 돌려받을 권리(징수권)의 소멸시효는 10년이며, 독촉이나 압류 등으로 시효가 중단될 수 있다.

#건강보험#부당이득금#반환#소멸시효

일반행정판례

산재보험 부당이득 징수, 어디까지 해야 할까?

산재병원이 부정한 방법으로 진료비를 타냈을 때, 공단이 돌려받을 수 있는 돈은 실제로 치료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진료비만 해당하며, 정당하게 치료한 부분에 대한 진료비는 돌려받을 수 없다. 또한, 부정한 방법으로 진료비를 받았다는 사실을 입증할 책임은 공단에 있다.

#산재보험#부당이득#징수#진료비

민사판례

부당이득반환 청구, 누구에게 해야 할까?

의료급여기관이 부당하게 징수된 금액을 돌려받으려면 누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해야 할까요? 이 판례는 의료급여기관이 부당이득 반환을 청구할 때의 적법한 상대방은 징수 처분을 내린 시장·군수·구청장이 속한 지방자치단체(시·군·구)라고 명확히 했습니다.

#부당이득반환#의료급여#징수처분#시군구

일반행정판례

의사의 과잉 원외처방, 부당이득금 반환해야 할까?

의사가 과잉 원외처분을 했다 하더라도, 건강보험공단은 의사에게 부당이득금을 직접 청구할 수 없다.

#의사#과잉 원외처방#건강보험#부당이득금 반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