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등록말소신청거부처분취소

사건번호:

97누13641

선고일자:

1999090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전통사찰의 등록말소신청을 거부한 행정청의 회신이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거부처분에 해당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전통사찰의 등록은 소관 부처의 장관이 사찰관계전문가의 의견을 들어 역사적 의의를 가진 전통사찰이라고 지정한 다음 그 사실을 당해 사찰의 주지에게 통지하여 그 주지로 하여금 등록신청을 하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지정된 전통사찰에 대하여 그 등록의 말소를 신청할 법규상의 근거는 없고, 조리상으로도 그러한 신청권이 인정된다고 할 수 없으므로, 전통사찰의 등록말소신청을 거부한 행정청의 거부회신이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거부처분에 해당하지 아니하고, 이와 같은 법리는 구 불교재산관리법 제6조의 규정에 의하여 등록한 사찰로서 구 전통사찰보존법(1997. 4. 10. 법률 제532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조 소정의 사찰에 해당하여 같은 법 부칙(1987. 11. 28.) 제3조의 규정에 따라 그 법에 의하여 등록된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마찬가지라 할 것이다.

참조조문

구 불교재산관리법(1987. 11. 28. 법률 제3974호 전통사찰보존법 부칙 제2조로 폐지) 제2조 , 제6조 , 구 전통사찰보존법(1997. 4. 10. 법률 제532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조 , 부칙(1987. 11. 28.) 제3조 , 행정소송법 제1조[행정처분일반] , 제2조 , 제19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6. 11. 8. 선고 96다36050 판결(공1996하, 3557), 대법원 1998. 2. 24. 선고 96누5612 판결(공1998상, 914), 대법원 1998. 7. 10. 선고 96누14036 판결(공1998하, 2125)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대한불교원효종법화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노홍수) 【피고,피상고인】 부산광역시장 (소송대리인 변호사 석용진) 【원심판결】 부산고법 1997. 7. 24. 선고 96구9423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전통사찰의 등록은 소관 부처의 장관이 사찰관계전문가의 의견을 들어 역사적 의의를 가진 전통사찰이라고 지정한 다음 그 사실을 당해 사찰의 주지에게 통지하여 그 주지로 하여금 등록신청을 하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지정된 전통사찰에 대하여 그 등록의 말소를 신청할 법규상의 근거는 없고, 조리상으로도 그러한 신청권이 인정된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그와 같은 신청을 행정청이 받아들이지 아니하고 거부하더라도 이를 행정처분이라고 할 수 없으며, 이와 같은 법리는 종전의 불교재산관리법 제6조의 규정에 의하여 등록한 사찰로서 전통사찰보존법(1987. 11. 28. 법률 제3974호로 제정된 것) 제3조 소정의 사찰에 해당하여 같은 법 부칙 제3조의 규정에 따라 그 법에 의하여 등록된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마찬가지라 할 것이다. 원심의 설시에 부적절한 점이 없지 아니하나, 원고의 판시 등록말소신청을 거부한 피고의 이 사건 거부회신이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거부처분에 해당하지 아니하여 이 사건 소가 부적법하다는 이유로 각하한 원심의 조치는 결론에 있어 정당하다. 상고이유의 주장은 모두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인 원고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들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조무제(재판장) 정귀호 김형선(주심) 이용훈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사찰 등록 무효 확인 소송, 승소할 수 있을까?

사찰 등록은 그 자체로 민사상 권리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단순히 사찰 등록이 무효임을 확인해달라는 소송은 할 수 없다.

#사찰 등록#무효확인#확인의 이익#소송요건

형사판례

전통사찰 경내 건축, 어떤 법을 따라야 할까요?

전통사찰로 등록된 사찰 경내에 새 건물을 지을 때는 일반 건축법이 아니라 전통사찰보존법에 따라 문화체육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전통사찰#건축법#전통사찰보존법#문화체육부장관 허가

민사판례

사찰 소유권 분쟁, 등록말소 확인소송으로 해결될까?

단순한 사실 확인만을 구하는 소송은 소송을 제기할 실익이 없어 기각된다는 내용입니다. 사찰 등록 말소나 주지 임명 무효 확인처럼 다른 방법으로 권리 구제가 가능한 경우에는 그 방법을 택해야 합니다.

#확인의 소#소송 실익#사찰 등록 말소#주지 임명 무효

민사판례

일반 사찰의 재산 처분, 마음대로 해도 될까요?

전통사찰로 지정되지 않은 일반 사찰이 관할청의 허가 없이 재산을 처분했더라도, 그 처분은 유효하다. 과거에는 모든 사찰의 재산 처분에 허가가 필요했지만, 법이 바뀌면서 전통사찰로 지정된 사찰에만 허가가 필요하게 되었다.

#일반사찰#재산처분#관할청허가#유효

민사판례

사찰의 종단 소속, 어떻게 결정될까요?

사찰이 종단을 바꾸려면 사찰 구성원들의 자율적인 의사결정이 필수적이며, 단순히 관청 등록만으로는 소속 변경이 완료되었다고 볼 수 없다.

#사찰#종단#소속 변경#자율적 의사결정

상담사례

사찰 재산 양도, 허가 못 받았다면 소송 다시 걸어도 될까요?

사찰 간 재산 양도는 문화체육관광부 장관(혹은 시·도지사)의 허가가 필수이며, 허가 없는 양도는 무효이므로, 허가 가능성이 없다면 인낙조서를 받았더라도 소멸시효 중단을 위한 재소송은 실익이 없을 가능성이 높다.

#사찰 재산 양도#허가#소송#인낙조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