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전용산림신고지산림형질변경불허처분취소

사건번호:

97누19564

선고일자:

199809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산림법 부칙 제9조 제1항, 제2항에 의한 형질변경허가처분이 기속재량행위인지 여부(적극) [2] 산림형질변경의 허가 여부를 반드시 수치에 근거한 일정한 기준에 따라 결정하여야 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1] 산림법(1994. 12. 22. 법률 제4816호로 개정된 것) 부칙 제9조 제1항, 제2항에 의한 형질변경허가 등 산림의 용도변경에 필요한 처분은 기속행위가 아닌 기속재량행위이다. [2] 상수원 오염의 우려가 크다는 사유만으로도 산림의 형질변경을 불허하여야 할 충분한 이유가 된다 할 것이고, 수질오염의 정도 등에 관하여 반드시 수치에 근거한 일정한 기준을 정하여 놓고 형질변경의 허가·불허가를 결정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참조조문

[1] 행정소송법 제1조[행정처분일반], 제27조, 산림법 부칙(1994. 12. 22.) 제9조 제1항, 제2항/ [2] 산림법 부칙(1994. 12. 22.) 제9조 제1항, 제2항

참조판례

[1] 대법원 1993. 5. 27. 선고 92누19477 판결(공1993하, 1910), 대법원 1998. 9. 8. 선고 98두8759 판결(공1998하, 2437) /[2] 대법원 1993. 5. 27. 선고 93누4854 판결(공1993하, 1914), 대법원 1995. 9. 15. 선고 95누6113 판결(공1995하, 3429), 대법원 1997. 9. 12. 선고 97누1228 판결(공1997하, 3151)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삼척시장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7. 11. 11. 선고 96구36571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1. 상고이유 제1점에 관하여 원심은 산림법(1994. 12. 22. 법률 제4816호로 개정된 것) 부칙 제9조 제1항, 제2항에 의한 형질변경허가 등 산림의 용도변경에 필요한 처분을 기속행위가 아닌 기속재량행위로 보았는바, 관계 규정을 종합하여 보면 이러한 원심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기속재량행위에 대한 법령 해석의 잘못 등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2. 상고이유 제2, 3, 4점에 관하여 원심은, 이 사건 임야 중 전(田)으로 전용한 부분을 계속 경작할 경우, 그로부터 유출되는 토사와 농약 등이 빗물과 함께 그 인근 광동댐(태백시, 삼척시 하장면의 주민 식수의 상수원)으로 유입되어 상수원 오염의 우려가 크다는 사실을 인정한 다음 이 사건 임야 하단부에 관을 설치함으로써 상수원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는 원고의 주장을 배척하였다. 원심이 인정한 바와 같은 상수원 오염의 우려가 크다는 사유만으로도 형질변경을 불허하여야 할 충분한 이유가 된다 할 것이고, 수질오염의 정도 등에 관하여 반드시 수치에 근거한 일정한 기준을 정하여 놓고 형질변경의 허가·불허가를 결정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대법원 1997. 9. 12. 선고 97누1228 판결) 이를 이유로 한 이 사건 형질변경 불허 처분이 적법하다고 한 원심판결은 정당하다 할 것이고, 나아가 위와 같이 상수원 오염의 우려가 크다는 사유만으로도 형질변경을 불허하여야 할 충분한 이유가 되는 이상 원심이 피고가 원고에 대한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산림) 피고 사건의 담당검사가 형질변경 불허 의견을 통보해 왔다는 사실을 이 사건 형질변경 불허 사유의 하나로 삼았다는 점에 대한 적법 여부의 판단 유탈을 하였다고 하더라도 판결 결과에 영향이 있는 심리미진, 채증법칙 위배, 이유불비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도 없다. 상고이유 중의 주장은 어느 것이나 받아들이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에 쓴 바와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형선(재판장) 정귀호 이용훈 조무제(주심)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도시지역 내 토지 형질변경과 건축허가, 알고 계신가요?

도시지역 안에서 땅의 모양을 바꾸는 공사를 포함하는 건축허가는 담당 공무원에게 허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재량권이 있는 재량행위입니다. 법원은 이런 재량행위에 대해서는 담당 공무원의 판단이 법의 테두리를 벗어났는지만 심사합니다.

#도시지역#건축허가#형질변경#재량행위

일반행정판례

도시지역 내 건축허가, 무조건 받을 수 있을까?

도시지역 안에서 땅의 모양을 바꾸는 공사를 포함하는 건축허가는 행정청의 재량에 속하며, 법원은 그 재량권 남용 여부만 심사합니다. 이 사건에서는 상하수도 등 기반시설 미비와 난개발 방지를 이유로 건축허가를 거부한 처분이 적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단, 기반시설이 갖춰진 일부 토지에 대한 건축허가 거부는 위법하다고 보았습니다.

#건축허가#재량행위#기속행위#토지 형질변경

일반행정판례

도시지역 내 토지 형질변경, 마음대로 안 돼요! 건축허가와 재량행위

도시지역 안에서 땅의 형태를 바꾸는 공사를 포함하는 건축허가는 행정청의 재량에 속하며, 법원은 허가를 내주지 않은 행정청의 처분이 재량권을 남용했는지 여부만 판단할 수 있다. 단순히 다른 곳에 허가를 내줬다는 이유만으로는 부당한 차별이라고 보기 어렵다.

#건축허가#재량행위#재량권 일탈·남용#사법심사

일반행정판례

산림훼손허가, 아무 곳에서나 할 수 없다!

산림훼손허가는 법으로 정해진 금지/제한 지역이 아니더라도 공익을 위해 거부될 수 있으며, 그 판단은 수치화된 기준보다는 사업의 내용과 환경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산림훼손허가#거부#공익#종합적 고려

일반행정판례

개발제한구역 내 건축물 용도변경 허가, 알고보면 까다롭네?

개발제한구역 안에 있는 주택을 농사짓겠다고 허가받아 지은 후, 가스판매장으로 용도 변경하려는 신청을 행정청이 거부한 사례에서, 대법원은 행정청의 거부처분이 위법하지 않다고 판결했습니다.

#개발제한구역#용도변경#불허가처분#적법

일반행정판례

토지 형질 변경 허가 변경, 마음대로 되는 걸까요?

법적 근거 없이 토지 형질 변경 허가를 변경해달라고 신청했을 때, 행정청이 이를 거부하더라도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없다.

#토지 형질 변경#허가 변경 신청#반려#행정소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