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이전등기

사건번호:

97다22720

선고일자:

1997090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채권자가 채무 담보의 목적으로 채무자를 대리하여 부동산을 처분하는 권한을 위임받은 경우, 그 부동산의 가치를 임의로 평가하여 자신의 채권자에게 대물변제할 권한까지 부여받은 것으로 볼 수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채권자가 채무의 담보의 목적으로 채무자를 대리하여 부동산에 관한 매매 등의 처분행위를 할 수 있는 권한을 위임받은 경우, 채권자는 채무자에 대한 채권의 회수를 위하여 선량한 관리자로서의 주의를 다하여 채무자가 직접 부동산을 처분하는 것과 같이 널리 원매자를 물색하여 부동산을 매매 등의 방법으로 적정한 시기에 매도한 다음 그 대가로 자신의 채권에 충당하고 나머지가 있으면 채무자에게 이를 정산할 의무가 있는 것이지, 자신의 개인적인 채무를 변제하기 위하여 그 채권자와의 사이에 임의로 부동산의 가치를 협의·평가하여 그 가액 상당의 채무에 대한 대물변제조로 양도할 권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참조조문

민법 제114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1. 2. 26. 선고 90다카15669 판결(공1991, 1078)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망 【환송판결】 대법원 1996. 6. 14. 선고 95다14510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은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소외 이종린는 단지 소외 망 최영숙에 대한 채권자로서 그 채무의 담보의 목적으로 위 망인을 대리하여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한 매매 등의 처분행위를 할 수 있는 권한을 위임받은 것이라면, 위 이종린는 위 망인에 대한 채권의 회수를 위하여 선량한 관리자로서의 주의를 다하여 위 망인이 직접 이 사건 부동산을 처분하는 것과 같이 널리 원매자를 물색하여 이 사건 부동산을 매매 등의 방법으로 적정한 시기에 매도한 다음 그 대가로 자신의 채권에 충당하고 나머지가 있으면 위 망인에게 이를 정산할 의무가 있는 것이지, 자신의 개인적인 채무를 변제하기 위하여 그 채권자와의 사이에 임의로 이 사건 부동산의 가치를 협의, 평가하여 그 가액 상당의 채무에 대한 대물변제조로 양도할 권한이 있는 것은 아니라고 할 것이고, 달리 위 소외 2가 이러한 권한을 넘어서 그 자신의 채무를 변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 사건 부동산을 임의로 타에 대물변제의 목적물로 제공할 권한까지 위 망인으로부터 위임받았다고 인정할 증거가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 및 판단은 옳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한편 기록에 의하면, 원고와 위 소외 2 사이에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한 대물변제의 합의가 있었다고 인정할 증거가 없다는 원심의 판단도 수긍이 될 뿐만 아니라, 이는 가정적, 부가적인 판단에 불과하여 거기에 소론과 같은 심리미진, 판단유탈, 이유불비, 이유모순 등의 위법이 있다는 주장은 정당한 상고이유가 되지 아니한다.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들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돈희(재판장) 최종영(주심) 정귀호 이임수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빚 담보로 맡긴 집, 함부로 팔면 큰일나요!

빚 보증으로 부동산 소유권을 넘겨줬는데, 채권자가 멋대로 팔아버리면 배임죄가 성립한다는 판례입니다. 빚을 다 갚지 않았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배임죄#담보#부동산#채권자

민사판례

돈 빌려주고 집 담보로 잡았는데, 채무자가 멋대로 팔아버렸다면?

빚 보증으로 부동산을 담보로 제공한 사람(채무자)의 부동산을 돈 빌려준 사람(채권자)이 정해진 절차 없이 다른 사람에게 팔았을 때, 그 사람은 부동산의 소유권을 가질 수 있다.

#양도담보#청산절차#제3자 매각#소유권 취득

형사판례

자동차 담보로 잡았다고 소유권까지 가진 건 아니죠!

빚 담보로 차를 받았더라도 소유권 이전 없이 처분권만 위임받았다면, 이를 다시 팔 때 '자동차관리법상 명의이전 위반'으로 처벌할 수 없다.

#차량 담보#처분권 위임#소유권 이전#자동차관리법 위반

민사판례

돈 빌려주고 집 담보로 잡았는데, 제대로 처리 안 하고 팔아버리면 어떻게 될까?

돈을 빌려주고 집을 담보로 잡은 채권자가 법적 절차를 제대로 따르지 않고 담보로 잡은 집을 팔아버려서, 돈을 빌린 사람이 더 이상 집을 되찾을 수 없게 되었다면, 채권자는 돈을 빌린 사람에게 손해를 배상해야 합니다.

#가등기담보#부적절한 처분#채권자#손해배상책임

형사판례

빌린 돈 담보로 잡힌 부동산, 마음대로 팔아도 배임죄? (대법원 2020. 6. 18. 선고 2019도14340 전원합의체 판결 관련)

빚을 갚기 위해 담보를 제공하기로 약속했더라도, 다른 사람에게 먼저 담보물을 처분하더라도 배임죄로 처벌할 수 없다.

#담보제공약속#제3자처분#배임죄#불성립

민사판례

빚 담보로 잡힌 부동산, 일부만 갚고 빼돌리면 어떻게 될까?

빚을 갚지 않으려고 여러 채권자 중 특정 채권자에게만 유리하게 재산을 넘긴 경우(사해행위), 그 재산에 여러 저당권이 설정되어 있었다면, 사해행위 취소 시 배상액은 부동산 가격에서 *모든* 저당권의 채무액을 뺀 나머지 금액입니다. 사해행위 이후 일부 저당권이 갚아졌더라도, 배상액 계산 시에는 사해행위 시점의 채무액을 기준으로 합니다.

#사해행위#저당권#가액배상#채권자취소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