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리범위확인(상)

사건번호:

97후3135

선고일자:

200002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특허

사건종류코드:

400106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커피, 대용커피, 커피시럽, 홍차, 사이다를 지정상품으로 하는 상표 "GOLD BLEND"가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3호의 '기술적(記述的) 표장'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2] (가)호 표장 "KILIMANJARO GOLD BLEND" 중의 'GOLD BLEND' 부분이 등록상표와 동일하나, 이는 식별력이 없는 부분에 불과하여 양 상표는 서로 유사하다고 할 수 없어 (가)호 표장이 등록상표의 권리범위에 속하지 아니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BLEND'란 단어가 차, 술 등 식음료의 원료 등을 '배합한다'라는 의미가 있고, 'GOLD'란 단어가 '훌륭한, 최고급의' 등의 의미가 있어 "GOLD BLEND"란 표장은 수요자 간에 지정상품 중 커피, 대용커피, 커피시럽에 관하여는 물론이고, 나머지 지정상품인 홍차, 사이다 등에 사용될 경우에도 원료가 매우 잘 배합된 홍차, 사이다 등으로 직감적으로 인식되는 기술적 표장에 해당한다. [2] 등록상표 "GOLD BLEND"와 (가)호 표장 "KILIMANJARO GOLD BLEND" 중의 'GOLD BLEND' 부분이 등록상표와 동일하나, 이는 식별력이 없는 부분에 불과하여 양 상표는 서로 유사하다고 할 수 없어 (가)호 표장이 등록상표의 권리범위에 속하지 아니한다고 본 사례.

참조조문

[1] 구 상표법(1997. 8. 22. 법률 제535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6조 제1항 제3호/ [2] 구 상표법(1997. 8. 22. 법률 제535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6조 제1항 제3호, 제51조 제2호

참조판례

[1] 대법원 1997. 5. 30. 선고 96다56382 판결(공1997하, 2009), 대법원 1999. 4. 13. 선고 97후3616 판결(공1999상, 894), 대법원 1999. 5. 28. 선고 98후683 판결(공1999하, 1288), 대법원 1999. 12. 24. 선고 99후2563 판결(공2000상, 312)

판례내용

【심판청구인,피상고인】 동서식품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시현) 【피심판청구인,상고인】 소시에테 데 푸로듀이 네스르 소시에테 아노님 (소송대리인 변리사 차윤근) 【원심심결】 특허청 항고심판소 1997. 8. 27.자 96항당81 심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심판청구인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원심심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심판청구인이 원두커피에 관하여 사용하는 (가)호 표장 "KILIMANJARO GOLD BLEND"가 피심판청구인이 1982. 8. 26. 출원하여 1983. 6. 22. 등록되고, 1993. 6. 15. 상표권 존속기간 갱신등록 출원으로 1994. 3. 18. 갱신등록된, 지정상품을 커피, 대용커피, 커피시럽, 홍차, 사이다로 한 이 사건 등록상표 "GOLD BLEND"의 권리범위에 속하는지 여부에 대하여 판단하면서, 등록상표의 구성 중 'GOLD'는 '금, 황금, 돈, 금처럼 소중한' 등의 사전적 의미가 있는 단어이나 실제 거래사회의 일반 수요자들 간에 '훌륭한, 뛰어난, 품질이 우수한, 최고급'의 뜻으로 품질 내지 등급이 고급제품임을 표시하는 일반적인 용어로 인식되고, 'BLEND'는 '혼합하다, 섞다, 혼합' 등의 사전적 의미를 가진 단어로서 지정상품인 커피와 관련하여 '커피의 맛과 향기를 좋게 하기 위하여 각종 원료를 적당히 혼합하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단어이므로, 'GOLD BLEND'는 두 단어의 결합으로 새로운 관념이나 식별력을 가지는 것도 아니고, 'GOLD'가 'BLEND'를 수식하여 '최고급의 배합 또는 최상의 배합' 등의 뜻이 있어 그 지정상품과 관련하여 일반 수요자로 하여금 직관적으로 '맛과 향기가 뛰어나도록 배합한 최고급의 커피' 등으로 인식하게 함으로써, 결국 등록상표 'GOLD BLEND'는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3호 및 제51조 제2호 소정의 지정상품의 품질, 효능, 가공방법 등을 보통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직접적으로 표시하는 성질표시 표장에 불과하다고 보아야 할 것이며, 또한 등록상표가 외국의 여러 나라에 등록된 사실은 인정되나, 피심판청구인이 제출한 증거들만으로는 피심판청구인이 등록상표의 갱신등록 출원 전에 국내에서 상당기간 독점적, 계속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그 결과 수요자 간에 등록상표가 피심판청구인의 상표로 현저하게 인식될 정도에 이른 사실을 인정할 수 없다 하여, (가)호 표장 중의 'GOLD BLEND' 부분이 등록상표와 동일하다 하더라도 'GOLD BLEND' 부분은 상표법 제51조 제2호의 규정에 해당하는 부분이어서 등록상표와 (가)호 표장은 서로 유사하다고 할 수 없고, 따라서 (가)호 표장은 등록상표의 권리범위에 속하지 아니한다고 판단하였다. 2.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판시한 바와 같이 'BLEND'란 단어가 차, 술 등 식음료의 원료 등을 '배합한다'는 의미가 있고, 'GOLD'란 단어가 '훌륭한, 최고급의' 등의 의미가 있어 "GOLD BLEND"란 표장은 수요자 간에 지정상품 중 커피, 대용커피, 커피시럽에 관하여는 물론이고, 나머지 지정상품인 홍차, 사이다 등에 사용될 경우에도 원료가 매우 잘 배합된 홍차, 사이다 등으로 직감적으로 인식되는 기술적 표장에 해당한다고 봄이 상당하고(대법원 1997. 5. 30. 선고 96다56382 판결 참조), 또한 상고이유에서 지적한 증거에 의하더라도 등록상표 'GOLD BLEND'는 국외에서 주지 저명한 것은 별론으로 하더라도, 그 갱신등록 출원 전에 피심판청구인이 국내에서 등록상표와 동일한 상표를 계속적·독점적으로 널리 사용함으로써 그 결과 일반 수요자 간에 등록상표가 피심판청구인의 상표로 현저히 인식되어 있다고 인정할 만한 자료가 부족하므로, 결국 (가)호 표장 중의 'GOLD BLEND' 부분은 등록상표와 동일하나, 이는 식별력이 없는 부분에 불과하여 양 상표는 서로 유사하다고 할 수 없어 같은 취지에서 (가)호 표장이 등록상표의 권리범위에 속하지 아니한다고 본 원심심결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심결에 영향을 미친 기술적 상표나 상표 사용의 개념 또는 상표권의 효력이 미치지 아니하는 상표의 범위나 상표의 사용에 의한 식별력의 취득에 관한 법리오해, 심리미진, 채증법칙 위배, 이유모순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리고 상표의 식별력 유무 내지 권리범위에 관한 판단은 국내외의 선 등록례나 특허청의 심결례, 또는 하급심의 판결례 등에 구애받을 것은 아니고, 상고이유에서 내세우는 대법원 판례들은 원심의 판단과 저촉되지 아니하거나, 이 사건과 사안을 달리하는 것들로서 모두 이 사건에 원용하기에 적절하지 아니하다. 3. 상고이유는 모두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돈희(재판장) 이임수 송진훈(주심) 윤재식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GOLD BLEND' 상표, 과연 누구의 것? 커피 상표권 분쟁 이야기

'GOLD BLEND'는 커피 품질을 나타내는 기술적인 표현이라 상표권 보호를 받기 어들지만, 이미 널리 알려져 식별력을 획득했다면 보호받을 수 있다. 동서식품이 제품에 'GOLD BLEND'를 사용한 방식은 상표권 침해가 아닌 일반적인 품질표시로 인정되었다.

#GOLD BLEND#상표권 분쟁#기술적 상표#식별력

특허판례

'GOLD BLEND' 상표, 모든 상품에 무효는 아니다?

'GOLD BLEND' 상표가 커피, 홍차 등 여러 상품에 대해 등록되었는데, 이 중 일부 상품(커피류, 광천수)에서는 해당 상표가 상품의 특징을 단순히 설명하는 표현이라서 상표로 인정되지 않지만, 다른 상품(얼음)에서는 상표로 인정될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즉, 여러 상품에 대해 등록된 상표의 유효성은 상품별로 따로 판단해야 합니다.

#GOLD BLEND#상표 등록 무효#상품별 판단#식별력

특허판례

옷 브랜드 이름, 멋으로 쓴 글씨체도 상표가 될 수 있을까?

글자를 변형하여 만든 상표(기술적 문자상표)가 도형화된 정도가 너무 커서 일반인이 글자로 인식하기 어려운 경우, 해당 상표는 일반적인 표현으로 볼 수 없으므로 상표 등록이 가능하다.

#문자상표#도형화#식별력#상표등록

특허판례

카페라떼, 상표가 될 수 있을까? 🤔

'카페라테'처럼 상품의 보통명칭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상표로 등록될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이미 다른 회사가 사용하고 있더라도, 그 명칭이 해당 상품을 일반적으로 부르는 이름이라면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카페라테#상표#보통명칭#상표등록

특허판례

상표권 침해? 비슷한 상표는 안돼요!

출원상표 ""가 기존 상표 ""와 유사하며, 지정상품도 유사하여 상표 등록이 거절된 사례입니다. 단순히 앞에 다른 단어가 추가되었다고 해서 유사하지 않다고 볼 수 없으며, 지정상품이 기계류라는 큰 범주에서 유사하다면 세부적인 용도 차이가 있어도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상표유사성#상표등록거절#지정상품유사#혼동가능성

특허판례

콩다방, 누구 꺼? 상표권 분쟁 이야기

오랫동안 널리 사용된 결과 '커피빈(Coffee Bean)'이라는 일반명사가 특정 기업을 떠올리게 하는 식별력을 갖게 되었다면, 이를 고려하여 상표 유사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

#커피빈#상표권#일반명사#식별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