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기)

사건번호:

98다33062

선고일자:

199906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의사가 오진한 경우, 곧바로 의사의 고의나 과실이 인정되는지 여부(소극) [2] 의사가 임산부에 대한 상담과 각종 검사 및 초음파검사를 실시하였으나 태아의 왼쪽 손목 이하 발육부전을 발견하지 못한 경우, 의사의 과실을 부정한 사례

판결요지

[1] 의사가 오진을 하였다고 하여 곧바로 고의나 과실이 있다고 할 수는 없다. [2] 임산부에 대한 상담과 각종 검사 등을 통하여 태아의 기형을 의심할 만한 아무런 징후가 발견되지 아니하였고, 초음파검사상으로도 태아의 왼쪽 손목 이하 발육부전을 발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아니한 점 등에 비추어 의사가 태아의 위와 같은 기형을 발견하지 못하였다고 하여 곧바로 의사에게 어떠한 주의의무 위반이 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민법 제750조 / [2] 민법 제750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73. 1. 30. 선고 72다2319 판결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허동은 (소송대리인 변호사 박춘기) 【원심판결】 부산고법 1998. 6. 11. 선고 97나12792 판결 【주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상고이유(기간이 지난 후에 제출된 상고이유보충서의 기재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를 본다. 1. 상고이유 제1점(채증법칙 위배, 사실오인 주장)에 대하여 원심은 제1심판결을 인용하여, 임산부인 원고 원고 1에 대한 상담과 각종 검사 등을 통하여 태아의 기형을 의심할 만한 아무런 징후가 발견되지 아니하였고, 초음파검사상으로도 태아의 왼쪽 손목 이하 발육부전을 발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아니한 점 등에 비추어 개업의인 피고가 원고 1이 임신중이던 소외인의 위와 같은 기형을 발견하지 못하였다고 하여 곧바로 피고에게 어떠한 주의의무 위반이 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였는바,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위와 같은 원심의 사실인정과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판결의 결과에 영향을 미친 채증법칙 위배, 사실오인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이에 관한 상고이유의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 2. 상고이유 제2점(원고들의 자기선택권의 침해 주장)에 대하여 "가사 피고가 사전에 위 소외인의 기형 여부를 확인하지 못한 점에 과실이 있다고 하더라도 … 사정에 비추어 보면 이로 인하여 원고들이 낙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자기선택권을 침해받았다고도 할 수 없을 것이다."라고 한 원심 인용의 제1심 판시 부분은 가정적·부가적 판단에 지나지 아니하므로, 피고의 위와 같은 과실이 인정되지 아니하는 이 사건에 있어 이 부분 상고이유는 굳이 판단할 필요가 없다. 3. 상고이유 제3점(설명해태 주장)에 대하여 의사가 오진을 하였다고 하여 곧바로 고의나 과실이 있다고 할 수 없는 것인바(대법원 1973. 1. 30. 선고 72다2319 판결 참조), 오진이 있었던 이상 의사의 과실은 당연히 인정되는 것이고 의사가 오진한 나머지 사실로 믿고 잘못된 설명을 하면 당연히 설명해태에 해당한다고 하는 상고이유의 주장은 독자적인 것에 불과하여 채용할 수 없다.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아도 피고에게 모혈청알파태아단백검사를 통하여 기형 여부를 식별할 확률이 몇 %인지에 대하여까지 설명할 의무가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등의 이유로 피고의 설명해태를 인정하지 아니한 제1심판결을 인용한 원심의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의사의 설명의무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이에 관한 상고이유의 주장도 받아들일 수 없다. 4.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들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변재승(재판장) 이돈희 지창권(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의료사고, 어디까지 책임져야 할까? - 수인한도를 넘는 불성실한 진료

분만 과정에서 태아가 사망한 사건에서, 의사의 진료가 **일반인의 수인한도를 넘어 현저하게 불성실했는지** 여부가 손해배상 책임의 핵심 쟁점입니다. 이 사건에서는 의사의 진료가 그 정도로 불성실했다고 보기 어렵다는 대법원의 판단이 나왔습니다.

#태아 사망#의료과실#수인한도#불성실 진료

민사판례

다른 병원 진단 믿고 수술했다면 의료 과실일까?

환자가 다른 병원에서 받은 유방암 진단 결과를 가지고 큰 병원으로 옮겨 유방절제술을 받았는데, 알고 보니 처음 병원의 조직검사 결과가 잘못되었던 사례입니다. 이 경우, 옮겨간 병원의 의사가 처음 병원의 결과를 믿고 수술한 것에 대해 과실이 있는지 여부가 쟁점이었습니다. 법원은 옮겨간 병원 의사에게 과실이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의료과실#조직검사#오진#주의의무

민사판례

임신성 당뇨 검사 소홀히 한 의사, 신생아 장애에 배상 책임

산모의 소변검사에서 당뇨 가능성이 나타났음에도 추가 검사 없이 자연분만을 진행하여 태아에게 상완신경총 손상이 발생한 사례에서, 법원은 의사의 과실을 인정하고 손해배상 책임을 물었습니다.

#임신성 당뇨#견갑난산#상완신경총 손상#의료과실

생활법률

치과 수면치료 사망, 한의원 뜸 화상… 의료사고, 의사 과실은 언제 인정될까?

의료사고에서 의사 과실 인정은 의료행위 자체의 적절성, 설명의무 이행, 사후 조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되며, 응급장비 미비만으로는 과실 인정이 어렵고, 수술 필요성 오판에 대한 객관적 증거가 없다면 의사의 재량권이 존중된다.

#의료사고#의사 과실#응급장비 미비#설명의무

민사판례

의료사고, 누가 책임져야 할까요? 수술 후 마비 증상, 의사의 과실 입증은 어떻게?

목 수술 후 사지마비가 온 환자에게 수술을 집도한 의사의 과실이 추정된다는 판결입니다. 환자 측이 의사의 과실 가능성과 수술 외 다른 원인 가능성이 없다는 점을 입증하면, 의사 측에서 과실이 없음을 입증해야 합니다. 또한, 의사가 진료기록을 변조한 것은 입증방해 행위로 간주되어 의사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수술후 사지마비#의료과실 추정#진료기록 변조#입증책임

민사판례

의료사고, 의사의 과실은 어떻게 판단할까요? - 뇌성마비 출산 사례

아이가 분만 중 뇌손상을 입어 뇌성마비가 된 사건에서, 의사가 산모의 골반이 좁은 것을 예상할 수 있었는데도 무리하게 흡입분만을 시행한 과실을 인정하여 병원의 책임 비율을 높였습니다.

#분만 과실#뇌성마비#의사 책임#흡입분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