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명도

사건번호:

98다8554

선고일자:

199807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임차인이 임대차 종료 후 임차 건물을 계속 점유하였으나 본래 계약상의 목적에 따라 사용·수익하지 아니한 경우, 부당이득반환의무의 성립 여부(소극)

판결요지

법률상의 원인 없이 이득하였음을 이유로 한 부당이득의 반환에 있어 이득이라 함은 실질적인 이익을 의미하므로, 임차인이 임대차계약관계가 소멸된 이후에 임차건물 부분을 계속 점유하기는 하였으나 이를 본래의 임대차계약상의 목적에 따라 사용·수익하지 아니하여 실질적인 이득을 얻은 바 없는 경우에는, 그로 인하여 임대인에게 손해가 발생하였다고 하더라도 임차인의 부당이득반환의무는 성립하지 아니하는 것이고, 이는 임차인의 사정으로 인하여 임차건물 부분을 사용·수익을 하지 못하였거나 임차인이 자신의 시설물을 반출하지 아니하였다고 하더라도 마찬가지이다.

참조조문

민법 제618조, 제741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4. 5. 15. 선고 84다카108 판결(공1984, 1021), 대법원 1992. 4. 14. 선고 91다45202, 45219 판결(공1992, 1589), 대법원 1995. 3. 28. 선고 94다50526 판결(공1995상, 1747), 대법원 1995. 7. 25. 선고 95다14664, 14671 판결(공1995하, 2951), 대법원 1998. 5. 29. 선고 98다6497 판결(공1998하, 1756)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7. 12. 16. 선고 97나22968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법률상의 원인 없이 이득하였음을 이유로 한 부당이득의 반환에 있어 이득이라 함은 실질적인 이익을 의미하므로, 임차인이 임대차계약관계가 소멸된 이후에 임차건물 부분을 계속 점유하기는 하였으나 이를 본래의 임대차계약상의 목적에 따라 사용·수익하지 아니하여 실질적인 이득을 얻은 바 없는 경우에는, 그로 인하여 임대인에게 손해가 발생하였다고 하더라도 임차인의 부당이득반환의무는 성립하지 아니하는 것이고(대법원 1992. 4. 14. 선고 91다45202, 45219 판결, 1995. 3. 28. 선고 94다50526 판결, 1995. 7. 25. 선고 95다14664, 14671 판결 등 참조), 이는 임차인의 사정으로 인하여 임차건물 부분을 사용·수익을 하지 못하였거나 임차인이 자신의 시설물을 반출하지 아니하였다고 하더라도 마찬가지라고 할 것이다(대법원 1984. 5. 15. 선고 84다카108 판결 참조). 원심이 적법하게 확정한 바와 같이 피고들이 이 사건 임대차가 종료한 이후인 1996. 6. 20. 이 사건 볼링장의 문을 닫고 더 이상 경영하지 아니하였다면, 피고들은 그 다음날인 1996. 6. 21.부터는 이 사건 볼링장을 이 사건 임대차계약상의 목적에 따라 사용·수익하지 아니하여 실질적인 이득을 얻은 바 없다고 할 것이므로 원고는 피고들이 이 사건 볼링장의 사용·수익을 종료한 날인 1996. 6. 20.까지의 임료 및 부당이득을 구할 수 있을 뿐이다.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피고들이 원고에게 지급하여야 할 1996. 6. 20.까지의 연체임료 및 임료 상당의 부당이득금 합계 금 286,693,800원이 원고가 피고들에게 반환하여야 할 임차보증금 350,000,000원보다 적다는 이유로 원고의 피고들에 대한 이 사건 청구를 배척한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지적하는 바와 같은 임료 상당의 부당이득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상고이유는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상고인인 원고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준서(재판장) 정귀호 김형선 이용훈(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폐업 후 점포를 비워주지 않아도 부당이득 아니다?

임대차 계약이 종료된 후 임차인이 가게를 비우지 않고 계속 점유하고 있더라도, 실제로 장사를 하지 않는 등 본래 계약 목적대로 사용하지 않았다면 임대인에게 부당이득을 반환할 필요가 없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폐업#점포 점유#부당이득 반환 의무#계약 목적

민사판례

계약 끝났는데, 가게는 그대로? 돈 내야 할까?

임대차 계약이 끝난 후에도 세입자가 건물을 비우지 않고 있더라도, 계약 당시 목적대로 사용하지 않아 실질적인 이득을 보지 못했다면 건물주에게 부당이득을 반환할 필요가 없다.

#임대차계약종료#점유#부당이득#실질이득

민사판례

세입자가 집을 안 비워줘요! 부당이득일까요?

임대차 계약이 끝난 후 세입자가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해 집을 비워주지 않을 때, 단순히 집을 점유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 부당이득이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실제로 그 집을 사용해서 이득을 봤는지가 중요합니다.

#임대차#계약종료#점유#부당이득

상담사례

계약 끝났는데 가게 못 비우면 월세 내야 할까요? 😫

임대차 계약 종료 후 보증금 미반환으로 가게를 비우지 못했을 때, 계속 영업하여 수익을 얻었다면 실제 얻은 이득을 부당이득으로 반환해야 하지만, 영업하지 않고 수익이 없다면 부당이득 반환 의무 및 월세 지급 의무가 없다.

#임대차 계약 종료#보증금 미반환#월세 지급 의무#부당이득

상담사례

가게 문 닫았는데… 그 뒤로도 월세 내야 하나요? (임대차계약 종료 후 부당이득)

임대차 계약 종료 후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해 가게를 비워주지 않더라도, 실제 영업 등으로 이득을 얻지 않았다면 문 닫은 이후의 월세(차임)는 지불할 필요 없다.

#임대차계약 종료#부당이득#보증금#월세(차임)

민사판례

임대차 종료 후 건물 점유, 부당이득 & 손해배상은 언제?

임대차 계약이 끝난 후 세입자가 건물을 계속 점유했더라도 실제로 이득을 보지 않았다면, 집주인에게 부당이득을 반환할 의무가 없다는 판결입니다. 또한, 세입자가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해서 건물을 계속 점유하는 경우에는 불법점유로 볼 수 없다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임대차 종료#건물 점유#부당이득#손해배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