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2.04.14

민사판례

세입자가 집을 안 비워줘요! 부당이득일까요?

전세나 월세 계약이 끝났는데, 세입자가 집을 비워주지 않는 상황, 생각만 해도 머리가 아프시죠? 특히 세입자가 보증금을 다 돌려받지 못했다며 버티는 경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오늘은 임대차 계약 종료 후 세입자의 건물 점유와 부당이득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세입자가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했을 때, 집을 안 비워줘도 될까요?

네, 일정 부분은 그렇습니다. 임대차 계약이 끝나면 세입자는 집을 비워주고, 집주인은 보증금을 돌려주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런데 집주인이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으면 세입자는 동시이행의 항변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즉, "집주인이 보증금을 줄 때까지 나도 집을 비워주지 않겠다!"라고 주장할 수 있는 것이죠. 이 경우 세입자가 집을 계속 점유하는 것은 불법점유가 아닙니다. (민법 제536조)

그렇다면 세입자가 집을 계속 사용하면서 이득을 본다면 어떨까요?

만약 세입자가 동시이행의 항변권을 행사하면서 집을 계속 사용하여 실질적인 이득을 얻었다면, 이는 부당이득으로 간주되어 집주인에게 돌려줘야 합니다. (민법 제741조) 예를 들어, 계약 종료 후에도 세입자가 그 집에서 계속 장사를 하면서 수입을 얻었다면, 이 수입은 부당이득이 될 수 있습니다.

세입자가 집은 비워주지 않았지만, 실제로 사용하지는 않았다면?

여기서 중요한 것은 실질적인 이득입니다. 단순히 집 열쇠를 가지고 있거나, 짐만 둔 채 집을 사용하지 않았다면 부당이득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세입자가 보증금을 돌려받기 위해 집을 비워주지 않았지만, 실제로는 그 집을 사용하지 않아 아무런 이득을 얻지 못했다면, 집주인에게 부당이득을 반환할 의무는 없습니다. 비록 집주인이 그 기간 동안 다른 세입자를 구하지 못해 손해를 보았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관련 법 조항과 판례:

  • 민법 제536조 (동시이행) 쌍무계약의 당사자일방은 상대방이 그 채무이행을 제공할 때까지 자기의 채무이행을 거부할 수 있다. 그러나 상대방의 채무가 변제기에 있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않다.
  • 민법 제741조 (부당이득의 내용) 법률상 원인없이 타인의 재산 또는 노무로 인하여 이익을 얻고 이로 인하여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자는 그 이익을 반환하여야 한다.
  • 민법 제618조 (임대차의 의의) 임대차는 당사자일방이 상대방에게 목적물을 사용, 수익하게 할 것을 약정하고 상대방이 이에 대하여 차임을 지급할 것을 약정함으로써 그 효력이 생긴다.
  • 대법원 1979.3.13. 선고 78다2500,2501 판결
  • 대법원 1981.2.10. 선고 80다1495 판결
  • 대법원 1981.11.10. 선고 81다378 판결
  • 대법원 1986.3.25. 선고 85다422, 85다카1796 판결
  • 대법원 1990.10.16. 선고 90다카20210 판결
  • 대법원 1990.12.21. 선고 90다카24076 판결

결론적으로, 세입자가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했다면 동시이행의 항변권을 행사하여 집을 비워주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기간 동안 집을 사용하여 실질적인 이득을 얻었다면 그 이득은 집주인에게 반환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반대로, 실제로 사용하지 않았다면 부당이득반환 의무는 없다는 점도 중요합니다. 계약 종료 후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계약서 작성 단계부터 꼼꼼하게 확인하고, 분쟁 발생 시 법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현명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임대차 종료 후 건물 점유, 부당이득 & 손해배상은 언제?

임대차 계약이 끝난 후 세입자가 건물을 계속 점유했더라도 실제로 이득을 보지 않았다면, 집주인에게 부당이득을 반환할 의무가 없다는 판결입니다. 또한, 세입자가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해서 건물을 계속 점유하는 경우에는 불법점유로 볼 수 없다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임대차 종료#건물 점유#부당이득#손해배상

민사판례

임대차 계약 종료 후, 건물 점유만으로 부당이득일까? 보증금과의 관계는?

임대차 계약 종료 후 임차인이 건물을 계속 점유하더라도 실제로 사용·수익하지 않았다면 부당이득반환 의무가 없으며, 임차인의 미납금은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임대인의 의사와 관계없이 보증금에서 공제된다.

#임대차계약종료#건물점유#부당이득반환의무#보증금공제

상담사례

임대차 끝났는데, 땅 안 비워주면 어떻게 될까요? 🤔

임대차 계약 종료 후 임차인이 땅을 비워주지 않더라도, 임대인은 임차인의 **실제 토지 사용 기간**에 해당하는 부당이득만 청구할 수 있다.

#임대차 종료#토지 무단 사용#부당이득#실제 사용 기간

민사판례

세입자가 나가지 않고, 수리도 안 해주면 어떻게 하죠? 임대차 계약 종료 후 분쟁 해결 가이드

임대차 계약 종료 후 임차인이 가게를 비우지 않고 있어도, 장사를 하지 않아 실제 이득을 보지 못했다면 건물주에게 부당이득을 반환할 필요가 없고,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했다면 가게를 비우지 않아도 손해배상 책임이 없으며, 계약 당시 건물주가 수리나 시설을 책임지지 않기로 하고 임차인이 시설비를 포기하기로 했다면 임차인에게 원상복구 의무도 없다.

#임대차 계약 종료#부당이득#손해배상#원상복구

민사판례

임대차 계약 종료 후에도 건물을 비워주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부당이득은?

1심에서 건물 인도 가집행이 이루어졌더라도, 항소심은 이에 영향받지 않고 다시 판단해야 합니다. 또한, 임차인이 계약 종료 후 건물을 점유했지만 실제로 사용·수익하지 않아 이득을 얻지 못했다면 부당이득반환의무가 없습니다.

#가집행#인도청구#부당이득반환#항소심

민사판례

임대차보증금 반환 소송에서 승소했지만, 세입자가 이사를 안 나가면?

임대차 계약 종료 후 임차인이 임대차보증금 반환 소송에서 승소 확정판결을 받았으나, 그 이후 임대인의 새로운 임차인 구하기 협조 요청을 거부한 경우, 이전 판결의 기판력이 제한될 수 있다.

#임대차보증금#확정판결#기판력 제한#임차인 협조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