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료

사건번호:

99다24874

선고일자:

1999090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지상권 설정시 지료에 관한 약정이 없는 경우, 지료의 지급을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2] 지상권에 있어서 유상인 지료에 관한 약정을 제3자에게 대항하기 위하여는 이를 등기하여야 하는지 여부(적극) 및 지료에 관하여 등기되지 않은 경우에는 지료증액청구권도 발생하지 않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1] 지상권에 있어서 지료의 지급은 그의 요소가 아니어서 지료에 관한 유상 약정이 없는 이상 지료의 지급을 구할 수 없다. [2] 지상권에 있어서 유상인 지료에 관하여 지료액 또는 그 지급시기 등의 약정은 이를 등기하여야만 그 뒤에 토지소유권 또는 지상권을 양수한 사람 등 제3자에게 대항할 수 있고, 지료에 관하여 등기되지 않은 경우에는 무상의 지상권으로서 지료증액청구권도 발생할 수 없다.

참조조문

[1] 민법 제279조 , 제286조 / [2] 부동산등기법 제136조 , 민법 제186조 , 제279조 , 제286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94. 12. 2. 선고 93다52297 판결(공1995상, 424), 대법원 1995. 2. 28. 선고 94다37912 판결(공1995상, 1462) /[2] 대법원 1996. 4. 26. 선고 95다52864 판결(공1996상, 1702)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주식회사 한림프라자 (소송대리인 변호사 홍성운)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9. 4. 13. 선고 98나61939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 제1, 2점을 함께 판단한다. 지상권에 있어서 지료의 지급은 그의 요소가 아니어서 지료에 관한 유상 약정이 없는 이상 지료의 지급을 구할 수 없는 것이며(대법원 1995. 2. 28. 선고 94다37912 판결, 1994. 12. 2. 선고 93다52297 판결 등 참조), 유상인 지료에 관하여 지료액 또는 그 지급시기 등의 약정은 이를 등기하여야만 그 뒤에 토지소유권 또는 지상권을 양수한 사람 등 제3자에게 대항할 수 있는 것이다(대법원 1996. 4. 26. 선고 95다52864 판결 참조). 그리고, 지료에 관하여 등기되지 않은 경우에는 무상의 지상권으로서 지료증액청구권도 발생할 수 없다 할 것이다. 원심이 제1심판시를 인용하여 지상권의 설정, 이전등기에서 지료와 그 지급시기의 약정이 있는 때에는 기재하여야 한다고 규정한 부동산등기법 제136조를 들어서 지료에 관한 유상 약정이 등기되지 아니한 이 사건의 경우에는 무상의 지상권을 설정한 것으로서 지료증액청구권도 발생하지 않았다고 한 판단은 옳고, 그 판단에 지상권 등기의 대항력과 지료증감청구권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였거나 심리를 다하지 아니한 잘못은 없다. 상고이유 중에서 내세운 판례는 다른 사항에 관한 것으로서 이 사건에 원용하기에 적절하지 않다. 상고이유 중의 주장들을 모두 받아들이지 아니한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대법관들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에 쓴 바와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형선(재판장) 정귀호 이용훈 조무제(주심)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땅값이 올랐는데, 지상권 지료도 올릴 수 있을까요? 🤔

지상권 설정 시 지료 약정을 등기하지 않았다면, 지료를 올려 받을 수 없습니다.

#지상권#지료#등기#지료증액청구권

상담사례

지료 없는 지상권, 정말 가능할까요? 🤔

지료 없는 지상권 설정은 법정지상권을 제외하고는 가능하지만, 반사회적인 목적일 경우 무효가 될 수 있다.

#지상권#지료#무상#법정지상권

상담사례

땅 주인이 갑자기 땅값을 내라고 한다면? 지상권과 지료에 대한 이야기

지상권 설정 시 지료 약정이 없으면 지료 지급 의무가 없으므로, 처음부터 지료 약정을 명확히 해야 한다.

#지상권#지료#약정#무상

민사판례

건물 지을 권리(지상권)와 땅 사용료(지료)에 대한 이야기

건물 소유자가 토지 소유자에게 지료(땅 사용료)를 내지 않으면, 토지 소유자는 지상권을 없앨 수 있다. 법원이 정한 지료를 2년 이상 내지 않으면 지상권이 소멸된다.

#지료미납#관습상 지상권#소멸#지상권자 의무

상담사례

땅 주인과 건물 주인이 다르다면? 땅 사용료(지료)는 어떻게 정할까요? (법정지상권)

법정지상권으로 건물주는 땅 사용료(지료)를 땅 주인에게 지불해야 하며, 지료는 건물주가 땅 사용으로 얻는 이익을 기준으로 산정되고, 땅 주인과의 합의가 우선이며, 미지급시 부당이득 반환 의무가 발생한다.

#법정지상권#지료#땅 사용료#경매

민사판례

건물은 내 땅에 있는데, 땅 주인이 바뀌었어요! 지료는 어떻게 되나요?

법정지상권이 성립된 경우, 토지 소유자는 지료가 확정되기 전이라도 지료 청구 소송을 제기할 수 있으며, 해당 소송에서 판결로 정해진 지료는 당사자 간에 효력을 가집니다. 또한, 일단 법원에서 특정 기간의 지료가 결정되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이후 기간의 지료도 같은 금액으로 간주됩니다.

#법정지상권#지료청구#지료결정#판결효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