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소기각에대한재항고

사건번호:

99모225

선고일자:

20000214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1] 형사소송절차에서 보충송달에 관한 민사소송법 제172조 제1항의 준용 여부(적극) 및 보충송달 수령자의 수송달능력에 대한 판단 기준 [2] 소송기록접수통지서를 송달받은 피고인의 동거 가족이 문맹이고 거동이 불편한 자인 경우, 그 송달의 효력(유효)

판결요지

[1] 형사소송절차에서도 형사소송법 제65조에 의하여 보충송달에 관한 민사소송법 제172조 제1항이 준용되므로, 피고인의 동거 가족에게 서류가 교부되고 그 동거 가족이 사리를 변식할 지능이 있는 이상 피고인이 그 서류의 내용을 알지 못한 경우에도 송달의 효력이 있고, 사리를 변식할 지능이 있다고 하기 위하여는 사법제도 일반이나 소송행위의 효력까지 이해할 필요는 없더라도 송달의 취지를 이해하고 영수한 서류를 수송달자에게 교부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는 정도의 능력이 있으면 족하다. [2] 피고인의 어머니가 주거지에서 항소사건 소송기록접수통지서를 동거자로서 송달받은 경우, 그 어머니가 문맹이고 관절염, 골다공증으로 인하여 거동이 불편하다고 하더라도 그것만으로 사리를 변식할 능력이 없다고 할 수 없으므로 위 송달은 적법한 보충송달로서의 효력이 있다.

참조조문

[1] 형사소송법 제65조, 민사소송법 제172조 제1항/ [2] 형사소송법 제65조, 제361조의2, 민사소송법 제172조 제1항

참조판례

[1][2] 대법원 1980. 10. 14. 선고 80누357 판결, 대법원 1995. 8. 16.자 95모20 결정(공1995하, 3303), 대법원 1996. 6. 3.자 96모32 결정(공1996하, 2256)

판례내용

【재항고인】 재항고인 【원심결정】 광주지법 1999. 11. 25.자 99노1212 결정 【주문】 재항고를 기각한다. 【이유】 재항고이유를 본다. 형사소송절차에서도 형사소송법 제65조에 의하여 보충송달에 관한 민사소송법 제172조 제1항이 준용되므로, 피고인의 동거 가족에게 서류가 교부되고 그 동거 가족이 사리를 변식할 지능이 있는 이상 피고인이 그 서류의 내용을 알지 못한 경우에도 송달의 효력이 있고, 사리를 변식할 지능이 있다고 하기 위하여는 사법제도 일반이나 소송행위의 효력까지 이해할 필요는 없더라도 송달의 취지를 이해하고 영수한 서류를 수송달자에게 교부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는 정도의 능력이 있으면 족하며(대법원 1995. 8. 16.자 95모20 결정, 1996. 6. 3.자 96모32 결정 참조), 문맹이라거나 거동이 다소 불편하다는 사정만으로 그와 같은 능력이 없다고 보기 어려울 것이다. 기록에 의하면, 재항고인은 1999. 6. 9. 제1심에서 교통사고처리특례법위반죄 등으로 금고 8월의 판결을 선고받고 같은 달 15일 항소하였는데, 그 항소사건 소송기록접수통지서를 같은 해 6월 25일 13:45경 재항고인의 주거지인 여수시 (주소 생략)에서 재항고인의 어머니인 공소외인(1940년생)이 동거자로서 송달받은 사실, 재항고인이 항소이유서를 제출하지 아니하자, 원심법원은 형사소송법 제361조의4 제1항에 의하여 재항고인의 항소를 기각하는 결정을 한 사실이 인정되는바, 재항고인이 주장하는 바와 같이 설사 공소외인이 문맹이고 관절염, 골다공증으로 인하여 거동이 불편하다고 하더라도 그것만으로 공소외인에게 앞서 본 바와 같은 사리를 변식할 능력이 없다고 할 수 없으므로 위 소송기록접수통지서의 송달은 적법한 보충송달로서의 효력이 있고, 따라서 이를 전제로 한 원심결정은 정당하다. 그러므로 재항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신성택(재판장) 지창권 서성 유지담(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10살 아들에게 송달해도 유효할까? - 형사재판 서류 송달 이야기

10살짜리 아들이 법원에서 온 소송 관련 서류를 받았다면, 그 송달은 유효할까요? 이 판례는 유효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아이가 비록 소송 절차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서류를 받아 아버지에게 전달할 정도의 능력은 있다고 본 것입니다.

#송달#유효#10세#아들

민사판례

집에 다른 사람이 서류 받았는데, 난 못 봤는데… 송달 효력 있을까?

소송 서류를 받을 사람이 집에 없을 때, 같이 사는 가족이나 동거인이 대신 받으면 (그 사람이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정도의 지능이 있다면) 서류가 정상적으로 전달된 것으로 인정된다. 실제로 소송 당사자가 서류 내용을 몰랐다고 해도 송달 효력에는 영향이 없다.

#송달#동거인#수령#효력

민사판례

초등학생 아들에게 소송 서류를 전달한 경우, 송달 효력이 있을까?

8살 초등학생 아들에게 소송 서류를 전달한 것은 적법한 송달이 아니라고 판결했습니다. 서류를 받은 사람이 단순히 글을 읽을 수 있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서류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부모에게 전달할 수 있을 정도의 판단력이 있어야 합니다.

#소송서류#초등학생#송달#무효

민사판례

법원, 우체국에서의 보충송달은 안된다!

소송 관련 서류는 법에 정해진 장소(집, 회사 등)에서만 전달해야 효력이 있습니다. 법원이 지정한 장소가 아닌 우체국에서 동거인에게 전달한 것은 무효입니다.

#송달#보충송달#무효#우체국

민사판례

소송 서류, 아무에게나 맡기면 안 되는 이유

소송 관련 서류를 받을 사람(본인)과 소송에서 이해관계가 다른 사람에게는 보충송달 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즉, 소송의 상대방이나 상대방과 같은 편인 사람에게는 서류를 전달할 것이라는 기대를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보충송달#이해관계#쌍방대리금지#소송서류

민사판례

해외 법원 판결, 국내에서 효력 인정받으려면? - 보충송달도 '적법한 송달'에 포함!

해외 법원의 판결을 국내에서 집행하기 위한 요건 중 하나인 '적법한 송달'에 보충송달도 포함된다는 대법원의 판결입니다. 기존 판례에서는 보충송달을 인정하지 않았지만, 이번 판결로 입장을 변경했습니다.

#외국판결#국내집행#송달#보충송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