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 특히 부동산 관련 세금은 복잡하고 어렵죠. 오늘은 증여를 통해 양도소득세를 줄이려다 오히려 더 많은 세금을 내게 된 사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증여 후 5년 내 양도'에 대한 이야기인데요, 잘못하면 세금 폭탄을 맞을 수 있으니 주의 깊게 읽어보세요!
사례는 이렇습니다.
한 부모(원고)가 아들에게 집을 증여했습니다. 그리고 아들은 증여받은 지 5년 안에 그 집을 다른 사람에게 팔았습니다. 아들은 1세대 1주택 비과세 혜택을 받으려고 양도소득세 신고를 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세무서는 부모에게 양도소득세를 부과했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바로 '부당한 조세 회피'로 판단되었기 때문입니다.
세무서는 부모가 아들에게 집을 증여한 것이 양도소득세를 줄이려는 목적이었다고 봤습니다. 매매 대금의 대부분이 아들의 계좌를 거쳐 다시 부모에게 돌아갔고, 부모는 집을 증여한 후에도 계속해서 집 관리 및 처분을 담당했으며, 아들은 그 집에 실제로 거주하지도 않았다는 점 등이 그 근거였습니다. 만약 증여가 없었다면 부모는 1세대 3주택 보유자에 해당하여 상당한 양도세를 내야 했을 상황이었죠.
관련 법 조항을 살펴볼까요?
쉽게 말해, 세금을 덜 내려고 가족에게 집을 증여했다가 5년 안에 팔면, 증여받은 사람이 아니라 증여한 사람이 직접 판 것처럼 세금을 내야 한다는 뜻입니다. 이 경우, 증여세와 양도세를 합친 금액보다 원래 내야 할 양도세가 더 적다면, 증여를 통한 절세는 실패하고 오히려 더 많은 세금을 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대법원도 이러한 판단을 지지했습니다. (대법원 1997. 11. 25. 선고 97누13979 판결 등 참조) 이 판례는 양도소득세 회피 목적의 증여를 부인하고 실질적인 소득 귀속자에게 양도소득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결론적으로, 단순히 세금을 줄이려는 목적으로 가족에게 재산을 증여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특히 증여 후 5년 이내에 처분할 계획이라면, 전문가와 상담하여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절세하려다 오히려 세금 폭탄을 맞는 일이 없도록 주의해야겠죠!
세무판례
가족 구성원끼리 주택을 증여한 뒤 팔더라도, 증여 전후로 계속 한 세대를 구성하고 다른 주택이 없다면 1세대 1주택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세무판례
세금을 줄이기 위해 가족에게 땅을 증여한 후 2년 안에 다른 사람에게 팔면, 처음부터 증여자가 직접 판 것으로 보고 양도소득세를 부과한다는 판례입니다. 이런 행위는 부당행위계산 부인 규정에 해당하며, 이미 낸 증여세는 돌려받지 못합니다.
세무판례
아버지가 아들에게 부동산을 증여하고 아들이 2년 안에 그 부동산을 판 경우, 세금 회피 목적이 없다면 정상적인 거래로 인정되어 증여자가 양도소득세를 내지 않아도 된다는 판결.
세무판례
5년 내 동일인에게서 여러 번 증여받을 경우, 이전에 납부한 증여세를 공제받을 수 있는데, 그 공제 한도를 정한 시행령 규정이 위법한지 여부에 대한 판결입니다. 대법원은 해당 시행령이 법률의 내용을 구체화한 것에 불과하며 위법하지 않다고 판단했습니다.
세무판례
자경농민에게 농지를 증여할 때 증여세를 면제해주는 제도가 있었는데, 증여받은 사람이 5년 안에 농지를 팔면 면제받았던 세금을 다시 내야 합니다. 이 판례는 **처음부터 증여세 면제 요건을 갖추지 못했다고 잘못 판단하여 증여세를 부과한 처분은, 비록 나중에 5년 내 양도하여 세금을 추징할 수 있게 되었다 하더라도 위법하다**는 것을 밝히고 있습니다.
세무판례
아들이 아버지 땅에 건물을 짓고 부자가 함께 임대하여 얻은 보증금으로 건축비를 충당했을 때, 아버지 몫의 보증금을 아들이 건축비에 사용한 부분은 증여로 본 판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