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4.01.16

세무판례

부모가 자녀에게 집을 증여한 후 5년 안에 자녀가 그 집을 팔았다면? 양도세 폭탄 맞을 수도!

세금, 특히 부동산 관련 세금은 복잡하고 어렵죠. 오늘은 증여를 통해 양도소득세를 줄이려다 오히려 더 많은 세금을 내게 된 사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증여 후 5년 내 양도'에 대한 이야기인데요, 잘못하면 세금 폭탄을 맞을 수 있으니 주의 깊게 읽어보세요!

사례는 이렇습니다.

한 부모(원고)가 아들에게 집을 증여했습니다. 그리고 아들은 증여받은 지 5년 안에 그 집을 다른 사람에게 팔았습니다. 아들은 1세대 1주택 비과세 혜택을 받으려고 양도소득세 신고를 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세무서는 부모에게 양도소득세를 부과했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바로 '부당한 조세 회피'로 판단되었기 때문입니다.

세무서는 부모가 아들에게 집을 증여한 것이 양도소득세를 줄이려는 목적이었다고 봤습니다. 매매 대금의 대부분이 아들의 계좌를 거쳐 다시 부모에게 돌아갔고, 부모는 집을 증여한 후에도 계속해서 집 관리 및 처분을 담당했으며, 아들은 그 집에 실제로 거주하지도 않았다는 점 등이 그 근거였습니다. 만약 증여가 없었다면 부모는 1세대 3주택 보유자에 해당하여 상당한 양도세를 내야 했을 상황이었죠.

관련 법 조항을 살펴볼까요?

  • 구 소득세법 제101조 제2항 (2008. 12. 26. 법률 제9270호로 개정되기 전) : 양도소득세를 부당하게 줄이려고 특수관계인(예: 친족)에게 자산을 증여한 후, 증여받은 사람이 5년 안에 그 자산을 다른 사람에게 팔면 증여한 사람이 직접 판 것으로 간주합니다.

쉽게 말해, 세금을 덜 내려고 가족에게 집을 증여했다가 5년 안에 팔면, 증여받은 사람이 아니라 증여한 사람이 직접 판 것처럼 세금을 내야 한다는 뜻입니다. 이 경우, 증여세와 양도세를 합친 금액보다 원래 내야 할 양도세가 더 적다면, 증여를 통한 절세는 실패하고 오히려 더 많은 세금을 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대법원도 이러한 판단을 지지했습니다. (대법원 1997. 11. 25. 선고 97누13979 판결 등 참조) 이 판례는 양도소득세 회피 목적의 증여를 부인하고 실질적인 소득 귀속자에게 양도소득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결론적으로, 단순히 세금을 줄이려는 목적으로 가족에게 재산을 증여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특히 증여 후 5년 이내에 처분할 계획이라면, 전문가와 상담하여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절세하려다 오히려 세금 폭탄을 맞는 일이 없도록 주의해야겠죠!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가족 간 집 증여, 양도소득세는 어떻게 될까요?

가족 구성원끼리 주택을 증여한 뒤 팔더라도, 증여 전후로 계속 한 세대를 구성하고 다른 주택이 없다면 1세대 1주택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가족간 증여#1세대 1주택#비과세#양도소득세

세무판례

세금 아끼려고 가족에게 땅 증여했다가 양도세 폭탄! 💣

세금을 줄이기 위해 가족에게 땅을 증여한 후 2년 안에 다른 사람에게 팔면, 처음부터 증여자가 직접 판 것으로 보고 양도소득세를 부과한다는 판례입니다. 이런 행위는 부당행위계산 부인 규정에 해당하며, 이미 낸 증여세는 돌려받지 못합니다.

#토지 증여#단기 양도#양도소득세#부당행위계산 부인

세무판례

아버지가 아들에게 부동산 증여 후 아들이 바로 판매했는데, 증여세 폭탄?! (부당행위계산 부인)

아버지가 아들에게 부동산을 증여하고 아들이 2년 안에 그 부동산을 판 경우, 세금 회피 목적이 없다면 정상적인 거래로 인정되어 증여자가 양도소득세를 내지 않아도 된다는 판결.

#증여#양도소득세#부당행위계산부인#정상거래

세무판례

증여세 절세하려다 더 내게 생겼네?! - 5년 내 재증여 공제 한도에 대한 이야기

5년 내 동일인에게서 여러 번 증여받을 경우, 이전에 납부한 증여세를 공제받을 수 있는데, 그 공제 한도를 정한 시행령 규정이 위법한지 여부에 대한 판결입니다. 대법원은 해당 시행령이 법률의 내용을 구체화한 것에 불과하며 위법하지 않다고 판단했습니다.

#증여세#공제한도#시행령#적법성

세무판례

농지 증여 후 5년 내 양도해도, 당초 증여세 면제 요건 갖췄다면 세금 부과는 위법!

자경농민에게 농지를 증여할 때 증여세를 면제해주는 제도가 있었는데, 증여받은 사람이 5년 안에 농지를 팔면 면제받았던 세금을 다시 내야 합니다. 이 판례는 **처음부터 증여세 면제 요건을 갖추지 못했다고 잘못 판단하여 증여세를 부과한 처분은, 비록 나중에 5년 내 양도하여 세금을 추징할 수 있게 되었다 하더라도 위법하다**는 것을 밝히고 있습니다.

#농지증여#증여세면제#5년내양도#추징

세무판례

아빠 땅에 아들이 건물 지었는데, 세금 폭탄?! 증여세 함정 피하기!

아들이 아버지 땅에 건물을 짓고 부자가 함께 임대하여 얻은 보증금으로 건축비를 충당했을 때, 아버지 몫의 보증금을 아들이 건축비에 사용한 부분은 증여로 본 판례.

#증여세#부자#토지#건물신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