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안녕하세요! 농업의 미래를 꿈꾸는 청년 여러분들을 위해 2024년 청년후계농 지원사업에 대한 정보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영농정착지원금: 최대 3년간 매달 지원!
청년후계농으로 선발되면 최대 3년 동안 매달 영농정착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금은 독립 경영 경력에 따라 차등 지급되는데요, 1년차는 월 110만원, 2년차는 월 100만원, 3년차는 월 90만원입니다. 단, 한 농업경영체(농업인 또는 농업법인) 당 한 명에게만 지원됩니다. 지원금은 경영비나 생활비 등으로 자유롭게 사용 가능하며, 농협 청년농업희망카드(바우처)를 통해 지급됩니다.
구분 | 지원 1년차 | 지원 2년차 | 지원 3년차 |
---|---|---|---|
독립경영 1년차 | 110만원 (12개월) | 100만원 (12개월) | 90만원 (12개월) |
독립경영 2년차 | 100만원 (12개월) | 90만원 (12개월) | 0 |
독립경영 3년차 | 90만원 (12개월) | 0 | 0 |
(참고: 「2024년도 청년후계농(청년창업형 후계농) 선발 및 영농정착 지원사업 시행지침」(농림축산식품부) 13, 14면)
2. 지원받기 위한 의무사항, 꼭 지켜야 해요!
영농정착지원금은 쉽게 받을 수 있는 만큼, 몇 가지 의무사항을 꼭 지켜야 합니다. 위반 시 지원금 지급 중단이나 환수, 심지어 자격 박탈까지 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참고: 「2024년도 청년후계농(청년창업형 후계농) 선발 및 영농정착 지원사업 시행지침」(농림축산식품부) 20~31면)
3. 다양한 혜택도 놓치지 마세요!
청년후계농은 영농정착지원금 외에도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참고: 「2024년도 청년후계농(청년창업형 후계농) 선발 및 영농정착 지원사업 시행지침」(농림축산식품부) 16~18면)
더 자세한 내용은 「2024년도 청년후계농(청년창업형 후계농) 선발 및 영농정착 지원사업 시행지침」(농림축산식품부)을 참고하거나, 농림축산식품부 또는 시군구 청년농 육성 담당 부서에 문의하세요!
힘찬 도약을 준비하는 청년 농업인 여러분들을 응원합니다!
생활법률
만 40세 미만, 영농경력 3년 이하의 청년들을 위해 정부에서 영농정착금, 창업자금, 교육, 컨설팅 등을 지원하는 청년후계농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생활법률
귀농인, 재촌 비농업인, 귀농희망자는 최대 3억원의 농업창업자금 대출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시·군 또는 농협은행, 농림축산식품부에 문의하면 된다.
생활법률
사고, 질병, 4대 중증질환 등으로 농사가 어려운 5ha 미만 경작 농업인은 지역 농협에 신청하여 영농도우미(임금 70% 지원)를 지원받을 수 있다.
생활법률
어린이집/유치원에 보내지 않고 가정 양육하는 24개월~86개월 미만 아동은 월 10만원(농어촌 최대 15만 6천원, 장애아동 20만원)의 양육수당을 주소지 관할 시/군/구청에 신청하여 지원받을 수 있다. (0~23개월은 부모급여 지급)
생활법률
2024년 영유아 보육료 지원 안내: 만 0~2세 영아, 3~5세 유아, 장애아, 다문화가정 자녀, 방과 후 보육 필요 초등학생 대상으로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지급되며, 자세한 내용은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생활법률
2024년 소상공인 지원정책은 경영안정자금, 특별경영안정자금, 성장기반자금 등 최대 1억원까지 융자 지원하며, 온라인(ols.sbiz.or.kr) 신청 및 1357로 문의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