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4.08.20

일반행정판례

9살 초등학생, 중학교 검정고시 볼 수 있을까?

초등학교에 다니던 9살 아이가 중학교 입학자격 검정고시를 보고 싶어했습니다. 그런데 시험 응시 자격이 안 된다고 거절당했어요. 왜 그런 걸까요? 이번 판례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대전에 사는 9살 갑(甲)은 초등학교에 다니다가 취학 의무를 유예받아 정원 외로 관리되고 있었습니다. 갑은 중학교 입학자격 검정고시에 응시하고 싶어 원서를 냈지만, 시험 응시 자격이 없다는 이유로 반려 처분을 받았습니다. 대전시 교육감이 정한 '중학교 입학자격 검정고시 규칙'에는 만 12세 이상만 시험을 볼 수 있다고 정해져 있었기 때문입니다. 9살 갑은 이 규칙이 부당하다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쟁점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교육감이 정한 '중학교 입학자격 검정고시 규칙'이 상위법의 위임 범위를 벗어났는지 여부였습니다. 다시 말해, 교육감이 마음대로 응시 연령을 제한할 권한이 있느냐는 것이죠.

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교육감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교육감이 정한 규칙이 위임 범위를 벗어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상위법령(구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96조 제2항)에서는 중학교 입학자격 검정고시에 관해 필요한 사항을 시·도 교육규칙으로 정하도록 위임하고 있습니다.
  • 법률의 시행령이나 시행규칙은 상위법령의 내용을 구체화하는 것이라면, 상위법령에 명시적인 위임 규정이 없더라도 유효합니다.
  • 취학 의무가 있는 초등학생의 중도 이탈을 막고 정규 교육을 받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는 검정고시 응시 연령 제한이 필요합니다.
  • 만약 초등학생도 자유롭게 검정고시를 볼 수 있다면, 많은 학생들이 초등학교를 중퇴하고 검정고시를 통해 중학교에 진학하려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초등교육의 목적을 저해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헌법 제75조, 제95조
  •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제25조
  • 구 초·중등교육법(2012. 1. 26. 법률 제1121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3조 제1항
  • 구 초·중등교육법 시행령(2012. 10. 29. 대통령령 2414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6조 제1항 제1호, 제2항
  • 대법원 2009. 6. 11. 선고 2008두13637 판결

결론

이번 판례는 교육감이 정한 검정고시 응시 연령 제한이 정당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초등학교 의무 교육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는 사례였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생활법률

검정고시, 학교 밖에서 꿈을 이루는 길! (초졸/중졸/고졸)

초졸·중졸·고졸 검정고시는 정규 학교 졸업과 동등한 학력을 인정받을 수 있는 시험으로, 연 2회 이상 시행되며, 응시자격, 시험 과목, 면제 조건 등 자세한 정보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검정고시#초졸 검정고시#중졸 검정고시#고졸 검정고시

일반행정판례

퇴학 처분 취소 소송, 이길 수 있을까? - 검정고시 합격 후에도 소송 가능!

고등학교에서 퇴학당한 학생이 검정고시에 합격했더라도 퇴학처분이 부당하다면 취소 소송을 제기할 수 있으며, 학교가 정한 징계 절차를 지키지 않은 퇴학처분은 위법합니다.

#검정고시 합격#퇴학처분 취소 소송#징계 절차 위반#위법

생활법률

중학교 & 고등학교 입학, 핵심만 쏙쏙 정리!

초·중등교육법에 따라 중학교는 초등학교 졸업자 등이 추첨 배정 또는 학교장 선발로, 고등학교는 중학교 졸업자 등이 전기/후기 학교 구분에 따라 지역 내 학교에 지원하여 입학하며, 귀국학생 등은 특례규정이 적용된다.

#중학교 입학#고등학교 입학#입학자격#입학절차

생활법률

학교 안 갔어도 괜찮아요! 초중고 졸업장 없이도 대학 갈 수 있어요! (학력인정)

학교를 다니지 않았어도 검정고시, 대안학교, 외국 교육 이수 등 다양한 방법으로 초·중·고등학교 졸업 학력을 인정받을 수 있다.

#학력인정#검정고시#초등학교 졸업학력#중학교 졸업학력

생활법률

중학교 & 고등학교 편입학, 깔끔하게 정리해드립니다!

중·고등학교 편입학은 전 학년 과정 이수 또는 동등 학력 인정자를 대상으로 하며, 거주지, 학교 유형, 학생 유형(귀국, 외국인 등)에 따라 절차와 제한 사항이 다르므로 교육청 또는 학교에 직접 문의해야 한다.

#중학교 편입학#고등학교 편입학#학력#거주지

일반행정판례

사립학교 교장, 같은 재단 다른 학교라도 중임 제한 걸린다!

사립학교법상 중·고등학교 교장은 한 번만 중임할 수 있는데, 이는 같은 학교법인 내 다른 학교로 옮기더라도 적용된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즉, A 학교법인에서 운영하는 B 고등학교 교장을 8년(4년+중임 4년) 마친 사람은 같은 A 학교법인의 C 중학교 교장이 될 수 없습니다.

#교장#중임#제한#학교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