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0.02.11

민사판례

가압류, 제소기간 지나면 효력 잃을 수 있다!

돈을 빌려주고 못 받을까 봐 걱정될 때, 우리는 상대방의 재산을 미리 묶어두는 '가압류'라는 제도를 활용합니다. 하지만 가압류를 했다고 끝이 아니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가압류를 유지하려면 정해진 기간 안에 본 소송을 제기해야 합니다. 이를 '제소기간'이라고 하는데요, 만약 이 기간을 지키지 못하면 가압류의 효력을 잃을 수 있습니다.

오늘 소개할 판례는 바로 이 제소기간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채권자가 채무자의 재산에 가압류를 걸어놓고 제소기간 안에 소송을 제기했지만, 소송 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소송이 취하되거나, 법원에서 각하 판결을 받거나, 중재 절차가 종료되는 등의 상황이 발생한 거죠.

법원은 이러한 경우, 제소기간을 지키지 않은 것과 마찬가지로 본다고 판결했습니다. 즉, 비록 소송을 제기했더라도 그 소송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다면 가압류의 효력을 유지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핵심 정리:

  • 가압류는 제소기간 내에 본 소송을 제기해야 효력이 유지됩니다.
  • 소송을 제기했더라도 취하, 각하, 중재절차 종료 등으로 소송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으면 제소기간을 지키지 않은 것으로 간주됩니다.
  • 소송이 잘못되었다고 주장해도 제소기간 도과 판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잘못된 부분은 해당 절차에서 다퉈야 합니다.

관련 법 조항:

  • 민사소송법 제705조

이 판례가 주는 교훈:

가압류를 신청할 때는 제소기간을 반드시 숙지하고 기간 내에 적절한 소송을 제기해야 합니다. 소송 진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변수에도 대비하여 가압류의 효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신중하게 대처해야겠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가압류 취소: 기한 내 소송 제기 증명 못하면 가압류 풀린다!

돈을 받기 위해 상대방 재산을 가압류한 뒤 법원이 정한 기간 내에 소송을 제기했음을 증명하는 서류를 제출하지 않으면, 설령 실제로 소송을 제기했더라도 가압류는 취소된다.

#가압류#취소#제소기간#소송 제기 증명

민사판례

가압류와 시효중단: 효력은 언제까지?

돈을 빌려준 사람이 돈을 돌려받기 위해 채무자의 재산에 가압류를 걸어놓은 경우, 가압류가 유효한 동안에는 돈을 돌려받을 권리의 시효가 중단되며, 설령 소송에서 이겨 확정판결을 받았더라도 가압류에 의한 시효중단 효력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가압류#시효중단#승소판결#시효소멸

민사판례

가압류, 언제까지 유효할까? - 승소 후에도 방심은 금물!

돈을 받기 위해 상대방 재산을 미리 압류(가압류)한 뒤 소송에서 이겼더라도, 상당 기간 압류 재산을 처분해서 돈을 회수하는 절차(본집행)를 진행하지 않으면 가압류의 효력이 없어진다는 판례입니다.

#가압류#본집행#효력상실#장기간 미착수

민사판례

가압류, 기간 내 일부만 소송 제기하면 나머지는?

법원이 정한 기간 내에 일부 청구금액만 소송하고, 나머지는 기간 이후 청구취지를 확장하는 방식으로 추가 소송하면, 추가된 부분에 대한 가압류는 효력을 잃습니다.

#가압류#본안소송#제소기간#청구취지확장

민사판례

가압류, 제소기간 지난 후 소 취하하고 별소 제기하면 어떻게 될까?

가압류를 걸기 위해 법원으로부터 제소명령을 받은 채권자가 기간 내에 본안소송을 제기했지만, 나중에 소송 내용은 거의 같지만 형식이 다른 별도의 소송을 제기하고 기존 소송을 취하한 경우, 가압류는 취소되어야 한다.

#가압류#제소기간#본안소송#취하

상담사례

가압류 취소됐는데, 소멸시효는 어떻게 되나요? 😩

가압류가 제소기간 도과로 취소되어도 소멸시효 중단 효력은 유지되며, 가압류 취소 시점부터 소멸시효가 다시 진행된다.

#가압류 취소#소멸시효#제소기간#채권 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