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3.10.12

민사판례

개인사업자의 일실수익, 어떻게 계산할까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개인사업을 하시는 분들에게 중요한 정보, 바로 일실수익 산정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사고나 질병 등으로 일을 못하게 되면 발생하는 수입 손실, 즉 일실수익은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 특히 개인사업자의 경우 근로자와는 다른 기준이 적용되기 때문에 더욱 꼼꼼하게 살펴봐야 합니다.

개인사업자의 일실수익은 단순히 사업소득 전체를 보는 것이 아닙니다. 사업소득에는 사업주 본인의 노력뿐 아니라, 직원들의 노력, 장비나 재료와 같은 물적 자원, 투자된 자본 등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일실수익을 계산할 때는 이 중 사업주의 개인적인 기여도만큼을 따져봐야 공정한 결과가 나옵니다.

그럼 구체적으로 어떻게 계산할까요? 크게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칩니다.

  1. 사업소득 확인: 사고 당시의 사업소득을 기준으로 합니다. 소득세 신고 자료 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때, 소득세법에 따라 계산된 사업소득금액을 사용하는 경우, 필요경비는 이미 공제된 상태이므로 이를 다시 공제할 필요는 없습니다.

  2. 개인적 기여도 산정: 사업소득에서 인건비, 재료비, 임대료 등 인적·물적 경비자본이익을 빼서 사업주 본인의 기여분을 계산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 자본이익은 사업에 투자한 돈이 만들어낸 수익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임대료는 사업 운영에 필요한 경비로 공제하지만, 사업에 투자한 자본으로 얻는 수익은 별도로 공제해야 합니다. 즉, 임대료와 자본이익은 다른 개념이기 때문에, 둘 다 공제한다고 해서 중복 공제가 아닙니다.

  3. 일실수익 계산: 위에서 계산한 사업주 개인의 기여분을 기준으로 일하지 못한 기간만큼의 수입 손실액을 계산합니다.

관련 법조항과 판례도 꼼꼼히 확인해 볼까요?

  • 민법 제763조 (손해배상의 범위): 손해배상의 범위를 정하는 기본 조항입니다.
  • 대법원 1987.3.24. 선고 86다카2455 판결 등: 개인사업자의 일실수익 산정 방법에 대한 기준을 제시한 중요 판례입니다. 특히 자본이익 공제의 필요성과 이중공제가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개인사업자의 일실수익 계산은 생각보다 복잡합니다. 하지만 위에서 설명드린 내용을 참고하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다면 정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본 내용은 일반적인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구체적인 사안에 대해서는 법률 전문가와 상담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개인사업자의 교통사고 손해배상, 일실수입은 어떻게 계산할까?

개인사업자의 일실수입 계산은 사업 수입 자료가 있으면 그걸 기준으로 사업주의 노무 가치를 따져 계산하고, 자료가 없으면 유사 직종 근로자의 평균 임금이나 대체 고용 비용 등을 기준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개인사업자#일실수입#교통사고#사업소득

민사판례

개인사업자 일실수입, 제대로 계산해야죠!

개인사업자의 일실수입은 사업 순수익에서 사업주의 노무 비중을 계산하여 산정하는 것이 원칙이나, 이것이 어려운 경우에는 적절한 대체고용비를 산정해야 하며, 단순히 직종별 임금통계를 기준으로 삼는 것은 부당할 수 있다는 판례입니다.

#개인사업자#일실수입#순수익#대체고용비

민사판례

개인사업자의 교통사고 손해배상, 일실수입은 어떻게 계산할까?

개인사업자가 사고로 일을 못 하게 되었을 때, 소득 손실을 계산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사업의 형태와 자료의 유무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특히, 개인의 노동력이 주 수입원인 소규모 사업의 경우, 비슷한 직종의 임금 통계를 활용할 수 있다.

#개인사업자#소득손실#계산방법#통계자료

민사판례

개인사업자의 교통사고 손해배상: 일실수입 계산은 어떻게?

교통사고로 다쳐서 일을 못하게 된 개인사업자의 수입 손해를 계산할 때, 사업 수입 자료가 불충분하면 비슷한 직종의 평균 임금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는 판결.

#교통사고#개인사업자#일실수입#평균임금

민사판례

자영업자의 교통사고, 일실수입은 어떻게 계산될까?

개인사업자가 사고로 노동능력을 잃었을 때, 일실수입(일하지 못해서 잃어버린 수입)을 계산하는 방법은 사업체의 수입에서 사업주의 기여도를 따져 계산하는 것이 원칙이며, 추가 고용 비용을 기준으로 계산할 수도 있지만 엄격한 조건이 필요합니다.

#개인사업자#일실수입#산정방법#사업주 기여도

민사판례

자영업자의 일실수익,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

개인 사업을 하는 사람이 사고를 당했을 때, 단순히 비슷한 업종의 직장인 월급을 기준으로 손해 배상액을 계산하는 것은 잘못이며, 사업 규모, 경영 능력 등을 고려하여 계산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자영업자#일실수익#사업규모#경영능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