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0.11.13

민사판례

자영업자의 일실수익,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

교통사고 등으로 다쳐서 일을 못 하게 되면, 발생한 손해를 배상받을 수 있습니다. 이때 일을 못 해서 발생한 수입의 손실을 일실수익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만약 자영업자라면 이 일실수익을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 단순히 다른 회사의 비슷한 직종 근로자 임금을 기준으로 계산할 수 있을까요? 대법원은 그렇지 않다고 판단했습니다 (대법원 1989.6.13. 선고 88다카10906 판결).

이 사건에서 피해자는 작은 전자부품 가공 공장을 운영하는 자영업자였습니다. 사고로 일을 못하게 되자, 가해자 측은 피해자의 일실수익을 계산할 때 '직종별임금실태조사보고서'에 나오는 전기기계기구제조업 근로자의 평균 임금을 기준으로 삼았습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이런 계산 방식이 잘못되었다고 지적했습니다. 자영업자는 단순히 근로자와 같은 기준으로 볼 수 없다는 것이죠. 자영업자는 근로자와 달리 사업 운영에 대한 책임을 지고, 영업 활동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합니다. 따라서 단순히 같은 업종의 근로자 임금을 기준으로 손해를 계산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고 객관적이지도 않다는 것입니다. (민법 제763조, 제393조)

그렇다면 자영업자의 일실수익은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 대법원은 대체고용비를 기준으로 계산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즉, 피해자와 같은 규모의 사업체를 운영하면서, 피해자와 비슷한 학력, 경력, 경영능력을 가진 사람을 고용하려면 얼마나 돈이 들지, 그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피해자가 운영하던 사업의 규모, 경영 형태, 종업원 수, 경영 실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피해자가 작은 공장을 운영하면서 직원 몇 명을 고용하고 있었다면, 그와 비슷한 규모의 공장을 운영할 수 있는 사람을 고용하는 비용을 계산해야 합니다. 만약 피해자가 큰 회사를 운영하며 많은 직원을 관리하고 큰 이익을 내고 있었다면, 그에 맞는 경영 능력을 가진 사람을 고용하는 데 훨씬 더 많은 비용이 필요할 것입니다.

결국 자영업자의 일실수익은 단순한 임금 비교가 아니라, 그 사업의 규모와 피해자의 역할을 고려한 대체고용비를 기준으로 계산해야 한다는 것이 대법원의 판단입니다. 이 판례는 자영업자의 일실수익 계산에 있어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자영업자 소득,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 - 일실수입 산정 기준에 대한 법원의 판단

이 판례는 교통사고로 다친 개인사업자가 손해배상을 청구할 때, 일실수입(사고로 잃어버린 수입) 계산 방법과 가동연한(일할 수 있는 나이)을 어떻게 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단순히 직장인 월급 평균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사업의 특수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개인사업자#손해배상#일실수입#가동연한

민사판례

자영업자의 교통사고, 일실수입은 어떻게 계산될까?

개인사업자가 사고로 노동능력을 잃었을 때, 일실수입(일하지 못해서 잃어버린 수입)을 계산하는 방법은 사업체의 수입에서 사업주의 기여도를 따져 계산하는 것이 원칙이며, 추가 고용 비용을 기준으로 계산할 수도 있지만 엄격한 조건이 필요합니다.

#개인사업자#일실수입#산정방법#사업주 기여도

민사판례

자영업자의 교통사고 손해배상, 일실수입 계산 어떻게 할까?

교통사고 등으로 일을 못하게 된 자영업자의 손해배상액을 계산할 때, 실제 소득을 알 수 없다면 비슷한 직종의 통계자료를 참고할 수 있지만, 자료의 적합성을 신중히 따져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특히 농업 종사자의 경우, 단순히 '농업숙련종사자'의 평균 임금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실제 영농 규모 및 형태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자영업자#일실수입#농업#통계자료

민사판례

개인사업자 일실수입, 제대로 계산해야죠!

개인사업자의 일실수입은 사업 순수익에서 사업주의 노무 비중을 계산하여 산정하는 것이 원칙이나, 이것이 어려운 경우에는 적절한 대체고용비를 산정해야 하며, 단순히 직종별 임금통계를 기준으로 삼는 것은 부당할 수 있다는 판례입니다.

#개인사업자#일실수입#순수익#대체고용비

민사판례

자영농민의 소득, 일용직처럼 계산하면 안 돼요!

농사를 짓는 자영농민이 사고로 일을 못하게 되었을 때, 손해배상액을 계산할 때 단순히 농촌 일용직 노임을 기준으로 삼는 것은 잘못이며, 그 농민의 실제 소득 수준을 반영해야 한다.

#자영농민#손해배상#일용직 노임#실제 소득

민사판례

자영농 소득,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 - 농부의 일실수입 계산 논란

교통사고 등으로 농사를 짓지 못하게 된 자영농민의 손해액을 계산할 때, 노동부의 '일반농업종사자' 임금 통계를 바로 적용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농민의 실제 소득을 정확하게 반영하는 자료를 사용해야 합니다.

#자영농민#일실수입#손해배상#농업소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