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4.06.17

형사판례

개인정보 부정 취득, 무엇이 문제일까? -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판결 분석

개인정보 유출 사건이 끊이지 않는 요즘,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개인정보를 부정한 방법으로 취득하는 행위에 대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고, 어떤 행위가 문제가 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이 사건은 인터넷 서비스 가입 만기 고객들의 개인정보를 사들여 마케팅에 활용한 피고인들에 대한 것입니다. 검찰은 피고인들이 부정한 방법으로 개인정보를 취득했다고 주장했지만, 법원은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왜 그럴까요?

쟁점 1: '부정한 수단이나 방법'이란 무엇일까? (구 개인정보 보호법 제72조 제2호)

법원은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수단이나 방법'이란 개인정보 취득 과정에서 사용되는 위계 또는 사회통념상 부정한 방법이라고 판단했습니다. 단순히 동의 없이 정보를 얻는 것을 넘어, 상대방을 속이거나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등의 행위가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해킹처럼 상대방의 의사와 무관하게 정보를 빼내는 행위도 여기에 포함됩니다. (대법원 2017. 4. 7. 선고 2016도13263 판결 참조)

쟁점 2: 단순히 개인정보를 제공받은 것만으로 처벌될까?

법원은 개인정보가 불법적으로 유통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면서 정보를 제공받았다고 해서 바로 처벌할 수는 없다고 보았습니다. 핵심은 '부정한 방법으로 취득'한 정보인지 알고 있었느냐입니다. 만약 제공받는 사람이 개인정보가 부정한 방법으로 수집된 사실을 알고 있으면서 영리 목적으로 사용했다면, 그것은 처벌 대상이 됩니다. (구 개인정보 보호법 제72조 제2호)

이 사건의 판결

이 사건에서 피고인들은 개인정보를 돈 주고 샀지만, 그 정보가 부정한 방법으로 수집된 것인지 몰랐습니다. 단순히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얻었다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부정한 수단이 사용되었다는 것을 인지해야 처벌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법원은 피고인들에게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결론

개인정보 보호는 중요한 사회적 가치입니다. 이번 판결은 개인정보를 부정하게 취득하는 행위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주는 동시에, '부정한 수단'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개인정보를 다루는 모든 사람들은 이러한 법원의 판단을 숙지하고, 개인정보 보호에 더욱 신경 써야 할 것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개인정보, 누구에게서 받았는지가 중요할까요?

누군가 불법적으로 빼낸 개인정보를 다른 사람을 통해 전달받았더라도, 그것이 불법적인 정보라는 사실을 알고 영리 또는 부정한 목적으로 사용했다면 처벌받을 수 있다. 정보를 최초 유출자로부터 직접 받지 않았더라도 예외는 없다.

#개인정보보호법 위반#간접 취득#처벌#영리/부정 목적

형사판례

인터넷 개인정보, 언제 불법일까? - 타인의 비밀 침해와 도용에 대한 이야기

인터넷 쇼핑몰 운영자가 회원들의 개인정보를 복사·저장한 행위가 정보통신망법 위반(타인의 비밀 침해·도용)에 해당하는지 여부

#인터넷 쇼핑몰#회원정보 유출#타인의 비밀#정보통신망법

형사판례

개인정보 제공받은 출처가 중요! 불법 개인정보 이용, 처벌은 언제?

타인의 개인정보를 목적 외로 이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가 정보통신망법 위반죄로 처벌받으려면, 그 정보를 **통신사나 온라인 쇼핑몰처럼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 또는 재화/용역 제공자로부터 직접 제공받았다는 사실**이 입증되어야 합니다. 그 외의 경로로 얻은 개인정보를 이용하거나 제공한 경우에는 이 법으로 처벌할 수 없습니다.

#정보통신망법 위반#개인정보#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재화/용역 제공자

형사판례

남의 신용카드 정보, 함부로 쓰면 안 돼요! 컴퓨터 사용 사기죄, 알아봅시다.

타인 명의로 발급받은 신용카드 정보를 이용해 인터넷에서 결제한 행위는 컴퓨터등사용사기죄에 해당한다. 법 개정 전이라도 권한 없이 타인의 카드 정보를 사용하여 이득을 취한 행위는 처벌 대상이다.

#컴퓨터등사용사기죄#타인명의 신용카드#인터넷결제#부정한 명령 입력

민사판례

훔친 종자, 영업비밀 침해로 인정될까? - 부정경쟁방지법 위반 사례

남의 영업비밀이 담긴 자료를 훔치거나 속여서 빼내는 등 부정한 방법으로 얻었다면, 그 자료를 실제로 사용하지 않았더라도 영업비밀을 '취득'한 것으로 인정된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영업비밀#부정취득#대법원#부정경쟁행위

형사판례

대출 심사 때, 고객 몰래 은행 정보 빼오면 불법!

대출회사가 고객의 동의 없이 스크린 스크래핑 프로그램을 이용해 금융거래정보를 수집한 행위는 금융실명법 위반이다. 단순히 프로그램의 적법성만 변호사에게 검토받은 것은 위법성에 대한 정당한 이유가 될 수 없다.

#스크린 스크래핑#금융거래정보#불법#금융실명법 위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