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3.03.28

민사판례

거짓 기사, 삭제할 수 있을까? 온라인 명예훼손과 기사 삭제 청구권

온라인 시대, 누구나 정보를 빠르게 접할 수 있게 된 만큼 거짓 정보나 악의적인 기사로 인해 명예가 훼손되는 사례도 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허위 기사로 명예가 훼손되었을 때, 우리는 어떤 권리를 행사할 수 있을까요? 오늘은 기사 삭제 청구에 관한 대법원 판결을 통해 온라인 명예훼손과 관련된 법적 권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명예훼손, 단순한 손해배상만으로는 부족해!

명예는 생명, 신체와 더불어 매우 중요한 법익입니다. 만약 허위 기사로 명예가 훼손되었다면, 단순히 손해배상(민법 제751조)이나 명예회복을 위한 처분(민법 제764조)만을 청구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가해자에게 기사 삭제를 요청하여 현재 진행 중인 침해 행위를 막고,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추가적인 침해를 예방할 수도 있습니다. 이는 인격권으로서의 명예권에 기초한 방해배제청구권에 해당합니다 (민법 제214조). 마치 내 물건을 누군가 함부로 사용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처럼, 내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 역시 막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기사 삭제, 언제 가능할까?

기사 삭제 청구가 받아들여지려면, 해당 기사가 진실이 아니거나 공공의 이익과 관련이 없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 기사로 인해 명예가 심각하게 훼손되고 있어야 합니다. 법원은 언론의 자유와 개인의 인격권을 비교하여 기사 삭제 여부를 결정합니다. 만약 기사 내용이 거짓이거나 공공의 이익과 무관한데도 명예가 심각하게 훼손되고 있다면, 기사를 쓴 언론사가 기사 내용이 진실이라고 믿을 만한 이유가 있더라도 기사는 삭제되어야 합니다. 즉, 언론사의 '선의'는 기사 삭제를 막는 사유가 될 수 없습니다.

거짓 기사라고? 증명은 누가? 어떻게?

기사가 거짓이라고 주장하는 사람은 기사 내용이 허위라는 사실을 입증해야 합니다. 그런데 기사 내용이 너무 광범위하고 모호해서 입증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A는 부정부패를 저질렀다"는 기사가 있는데, 언제 어디서 어떤 부정부패를 저질렀는지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 A는 자신의 결백을 입증하기 매우 어려울 것입니다. 이런 경우, 법원은 의혹을 제기한 쪽에서 어느 정도 근거를 제시해야 한다고 판단합니다. 의혹을 제기한 쪽에서 합리적인 근거를 제시하지 못한다면, 기사는 허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피해자는 제시된 자료의 신빙성을 탄핵하는 방법으로 허위성을 증명할 수 있습니다.

참고 법조항 및 판례

  • 민법 제214조 (소유권의 내용)
  • 민법 제750조 (불법행위의 내용)
  • 민법 제751조 (재산이외의 손해의 배상)
  • 민법 제764조 (명예회복의 방법)
  • 형법 제307조 (명예훼손)
  • 민사소송법 제288조 (자백의 취소)
  • 대법원 2005. 1. 17.자 2003마1477 결정
  • 대법원 2011. 9. 2. 선고 2009다52649 전원합의체 판결

온라인상의 명예훼손은 심각한 문제입니다. 자신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서는 관련 법률과 판례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위 내용을 참고하여 부당한 피해를 입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뉴스 기사, 명예훼손인가 아닌가? 판단 기준 알아보기

언론 기사가 누군가의 명예를 훼손했는지 판단할 때는 기사 내용뿐 아니라, 일반 독자가 기사를 읽는 방식을 고려하여 기사 전체의 흐름과 뉘앙스, 독자에게 주는 전체적인 인상까지 종합적으로 살펴봐야 합니다.

#명예훼손#언론 기사#판단 기준#전체 맥락

민사판례

인터넷 명예훼손, 어디까지 허용될까?

인터넷 게시물로 인한 명예훼손 소송에서 허위사실 적시 여부, 진실이라고 믿을 만한 상당한 이유 존재 여부, 표현의 자유와 명예보호의 균형 등이 쟁점이 되었고, 법원은 정당의 정치적 논평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게시글 작성자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인터넷 게시물#명예훼손#표현의 자유#정당

생활법률

온라인에서 나의 명예를 지키는 방법: 인터넷 명예훼손 대처 가이드

인터넷에서 사실/허위 여부와 관계없이 비방 목적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는 처벌 대상이며, 피해 시 경찰청 또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신고 및 상담을 통해 대처할 수 있다.

#인터넷 명예훼손#사실적시 명예훼손#허위사실 적시 명예훼손#비방 목적

민사판례

인터넷에서 본 내용, 함부로 퍼뜨리면 안 돼요!

인터넷에서 얻은 정보의 진위 여부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다른 사람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을 게시하면, 그 정보가 공개된 것이라 하더라도 명예훼손으로 처벌받을 수 있다.

#인터넷 게시판#명예훼손#출처 불분명#정보 진위 확인

형사판례

거짓 기사, 공익 목적이라도 처벌받아요!

고의로 허위 사실을 적시하여 명예훼손을 한 경우, 그것이 공공의 이익을 위한 것이었다고 하더라도 위법성이 조각되지 않는다. 즉, 거짓말로 남을 욕해놓고 공익을 위해서 그랬다고 주장해도 처벌을 피할 수 없다.

#허위사실 적시 명예훼손#위법성 조각#공익#진실한 사실

민사판례

언론의 자유와 명예훼손, 그 경계는 어디일까?

조선일보가 광우병 관련 보도에서 한 교수의 회사 관련 내용을 보도했는데, 교수가 명예훼손으로 고소한 사건. 대법원은 기사 내용이 일부 부정확하더라도 공익을 위한 것이고, 전체 맥락에서 진실과 크게 다르지 않다면 위법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원심을 파기환송함.

#명예훼손#공익성#언론의 자유#진실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