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8.10.09

민사판례

건물주 바뀌었는데 이전 건물주 때 밀린 월세 때문에 쫓겨날 수 있을까?

건물주가 바뀌었는데, 이전 건물주에게 밀린 월세 때문에 쫓겨날 수 있을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법원 판결을 살펴보면서 임대차 계약에서 임대인 변경과 차임 연체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사건의 핵심 쟁점

이 사건의 핵심은 새로운 건물주(임대인 지위 승계인)가 이전 건물주 시절에 발생한 차임 연체를 이유로 임대차 계약을 해지할 수 있는지 여부였습니다.

법원의 판단

원심 법원은 이전 건물주에게 3기분 이상의 차임 연체가 있었으므로, 새로운 건물주는 이를 이유로 임대차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러나 대법원은 이러한 원심 판결에 오류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이유

대법원은 임대인의 지위가 승계되더라도, 승계 이전에 발생한 연체 차임은 별도의 채권 양도 절차가 없다면 새로운 임대인에게 승계되지 않는다고 보았습니다. 즉, 새로운 건물주는 이전 건물주 시절의 차임 연체를 이유로 계약을 해지할 수 없고, 자신이 건물주가 된 이후에 발생한 3기분 이상의 차임 연체가 있어야만 계약 해지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관련 법 조항

  • 민법 제450조 (채권의 이전의 자유)
  • 민법 제640조 (차임연체와 해지)
  •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제3조 제2항 (대항력 등의 제한)
  •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제10조 제1항 제1호 (계약갱신 요구 등)

이 사건의 반전

흥미로운 점은, 이 사건의 세입자는 새로운 건물주에게도 3기분 이상의 차임을 연체했다는 사실입니다. 결국 대법원은 원심의 판단에 오류가 있었지만, 세입자가 새로운 건물주에게도 차임을 연체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건물 명도 의무를 면할 수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핵심 정리

  • 새로운 건물주는 이전 건물주 시절의 차임 연체를 이유로 임대차 계약을 해지할 수 없습니다.
  • 계약 해지를 위해서는 새로운 건물주가 된 이후에 3기분 이상의 차임 연체가 발생해야 합니다.

이번 판례를 통해 임대인 지위 승계와 차임 연체에 대한 법리를 명확히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임대차 계약과 관련된 문제 발생 시, 관련 법 조항과 판례를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건물 주인 바뀌면 이전 주인 때 밀린 월세 때문에 쫓겨날까요? (2기 차임 연체)

건물 주인이 바뀌어도 이전 주인에게 밀린 월세 때문에 쫓겨나지 않으며, 새 주인에게 2기 이상 월세를 연체할 경우에만 쫓겨날 수 있다.

#건물주 변경#월세 연체#2기 차임#임대차 계약 해지

상담사례

건물주 바뀌었는데, 전 주인한테 밀린 월세로 세입자 내쫓을 수 있나요?

새 건물주는 이전 세입자가 이전 건물주에게 밀린 월세를 이유로 계약 해지할 수 없으며, 새 건물주에게 3기 이상 연체 시에만 해지 가능하다.

#상가임대차보호법#월세 연체#계약 해지#밀린 월세 승계

상담사례

월세 밀렸다고 바로 쫓겨날까요? 3기 차임 연체에 대한 오해와 진실!

월세 3개월치를 연속 또는 누적해서 미납하면(3기 차임 연체) 집주인이 계약 해지를 요구할 수 있다.

#3기 차임 연체#월세#계약 해지#연속 연체 오해

민사판례

상가 임대차, 차임 연체하면 계약 해지될 수 있다!

상가 임대차에서 임차인이 차임을 2기분 연체하면, 임대인은 상가임대차보호법의 보호를 받는 임차인이라도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

#상가임대차#차임연체#2기분 연체#계약해지

민사판례

건물주 바뀌었는데, 전 주인한테 밀린 월세는 어떻게 되나요?

건물 주인이 바뀌었더라도, 이전 주인에게 밀린 월세나 관리비는 새로운 주인이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돌려줄 때 당연히 빼고 줄 수 있습니다. 이는 이전 주인으로부터 밀린 월세에 대한 권리를 새 주인이 정식으로 넘겨받지 않았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임대차보증금#건물 양수인#연체차임 공제#밀린 월세

상담사례

2기 차임 연체, 계약 갱신했어도 해지될 수 있습니다!

계약 갱신 전후의 월세 연체액이 2개월 치(2기 차임)에 달하면 계약이 해지될 수 있습니다.

#2기 차임 연체#계약 갱신#계약 해지#월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