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3.03.28

민사판례

건설 공동수급, 하도급 대금 지급 책임은 누구에게?

여러 건설사가 힘을 합쳐 공사를 진행하는 공동수급. 이때 하도급 업체에 대한 대금 지급 책임은 어떻게 될까요? 모든 구성원이 연대해서 책임을 질까요, 아니면 각자의 몫만 책임지면 될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A 건설사는 B 건설사와 C 건설사가 공동으로 구성한 공동수급체로부터 하도급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공사가 끝난 후, B 건설사와 C 건설사는 각자의 지분만큼만 하도급 대금을 지급하겠다고 주장했습니다. A 건설사는 공동수급체 구성원 모두가 연대하여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공동수급체는 기본적으로 민법상 조합의 성격을 가지므로, 원칙적으로 구성원들이 연대하여 책임을 진다고 판단했습니다. 관련 법 조항은 민법 제703조, 제712조, 그리고 상법 제57조 제1항입니다.

그러나 이번 사건처럼 하도급 계약 당시, 각 구성원이 자신의 지분 비율만큼만 책임지기로 약정했다면, 각자의 몫만 지급하면 된다고 판결했습니다. 즉, 계약 내용에 따라 연대 책임이 아닌 분담 책임으로 바뀔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사건에서는 B 건설사와 C 건설사가 A 건설사와 하도급 계약을 체결할 때, 각자의 지분 비율에 따른 하도급 대금을 명확히 구분하고 각자 지급하기로 약정한 사실이 인정되었습니다. 따라서 B 건설사와 C 건설사는 각자의 지분만큼만 하도급 대금을 지급하면 되는 것으로 판결되었습니다.

핵심 포인트

  • 공동수급체 구성원은 원칙적으로 하도급 대금에 대해 연대 책임을 집니다.
  • 그러나 하도급 계약 당시 각자의 지분만큼만 책임지기로 약정했다면, 연대 책임이 아닌 분담 책임을 지게 됩니다.
  • 따라서 하도급 계약을 체결할 때, 책임 범위에 대한 명확한 약정이 중요합니다.

이 판례는 공동수급 형태로 사업을 진행할 때, 하도급 계약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특히 대금 지급과 관련된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지 않으면, 분쟁 발생 시 예상치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계약 당사자들은 계약 내용을 꼼꼼히 확인하고, 책임 범위에 대한 명확한 합의를 이루어야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공동수급체 하도급대금 지급보증, 누가 책임져야 할까?

여러 회사가 함께 공사를 맡은 경우(공동수급), 하도급 업체에 대한 대금 지급을 보증한 건설공제조합은 공동수급체를 구성하는 모든 회사가 지급불능 상태에 빠져야만 하도급 대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

#공동수급#하도급대금#지급보증#지급불능

민사판례

공동수급 공사대금, 누구에게 지급해야 할까요?

여러 회사가 함께 공사를 수주했을 때, 한 회사가 다른 회사 몫까지 하도급 업체에 공사대금을 지급하고 정산한 경우, 이를 하도급 업체에 대한 변제로 볼 것인지, 아니면 공동 수주 회사들 간의 내부 정산으로 볼 것인지가 문제된 사례입니다. 대법원은 단순히 대금을 전달했다는 사실만으로 변제로 단정하지 않고, 회사들 간의 계약 내용과 실제 자금 흐름을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공동수급#공사대금#변제#조합

일반행정판례

하도급대금, 몽땅 내놔! 공동수급도 예외는 없다!

여러 회사가 함께 공사를 수주하고(공동수급), 그중 한 회사가 하도급 업체에게 하도급법을 위반했을 경우, 과징금은 그 회사가 부담하는 지분만큼이 아니라 전체 하도급 대금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한다.

#공동수급#하도급법 위반#과징금#전체 하도급 대금 기준

민사판례

여러 회사가 함께 공사하면 공사대금은 어떻게 나눌까? - 공동수급 공사대금 분배에 대한 이야기

여러 건설사가 함께 공사하는 공동이행방식 공동수급에서, 계약 당시 각 회사가 받기로 한 공사대금 지분이 있다면 실제로 각 회사가 얼마나 공사했는지와 상관없이 약속한 지분대로 돈을 받을 수 있다. 실제 기여도에 따른 정산은 건설사들끼리 알아서 해결해야 할 문제다.

#공동이행방식#공동수급#공사대금#지분비율

상담사례

공동수급 공사, 지체되면 누가 얼마나 물어낼까? (지체상금 범위 완벽 정리!)

공동수급 공사 지체 시, 공동이행방식은 전체 공사대금 기준으로 연대 책임을 지지만, 분담이행방식은 각자 맡은 부분에 대해서만 책임진다.

#공동수급#지체상금#공동이행방식#분담이행방식

상담사례

중장비 대금, 나도 내야 하나? 하도급 계약과 제3자를 위한 계약

하도급 공동책임 계약으로 인해, 계약 상대사(을)가 제3자(중장비 업체)에게 진 채무를 본인도 부담하게 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제3자를 위한 계약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하도급#중장비 대금#제3자를 위한 계약#공동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