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사례

건설 현장, 내 돈 받을 권리는 언제까지? (하도급 업체를 위한 소멸시효 가이드)

건설 현장에서 하도급 업체로 일하다 보면 공사대금을 제때 받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힘들게 일했는데 돈을 못 받으면 정말 억울하죠. 그런데 시간이 너무 오래 지나면 법적으로 돈을 받을 권리조차 사라질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바로 '소멸시효' 때문입니다. 오늘은 하도급 업체가 공사대금을 받을 권리, 즉 저당권설정청구권의 소멸시효가 언제부터 시작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내 공사대금, 담보로 잡을 수 있다! (민법 제666조)

민법 제666조는 건물을 신축한 하도급 업체(하수급인)에게 돈을 받지 못했을 경우, 원도급 업체(수급인)에게 건물에 대한 저당권 설정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저당권설정청구권)를 부여하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 내가 지은 건물을 담보로 잡아서 공사대금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제도입니다.

소멸시효, 언제부터 시작될까?

그런데 이 권리에도 소멸시효가 있습니다. 그럼 소멸시효는 정확히 언제부터 시작되는 걸까요? 단순히 생각하면 수급인이 건물 소유권을 얻은 시점부터 시작될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렇게 간단하지 않습니다.

대법원 2016. 10. 27. 선고 2014다211978 판결에 따르면, 하수급인이 객관적으로 저당권설정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게 된 때부터 소멸시효가 진행됩니다.

무슨 말인지 좀 더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건물 소유권은 하도급 업체와는 상관없이 원도급 업체와 건물주(도급인) 사이의 계약에 따라 결정됩니다. 만약 건물 소유권에 대한 법적 분쟁이 발생하면, 하도급 업체는 자신이 저당권설정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 바로 알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소유권이 확정되기 전부터 소멸시효가 진행된다면 하도급 업체에게 너무 불리하겠죠?

따라서 대법원은 하도급 업체가 자신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는 사실을 객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된 때, 예를 들어 소유권 분쟁이 해결되어 누구에게 저당권을 설정해야 할지 명확해진 시점부터 소멸시효가 시작된다고 판단했습니다.

핵심 정리!

  • 하도급 업체는 민법 제666조에 따라 공사대금을 받지 못하면 건물에 저당권을 설정해달라고 요구할 수 있습니다.
  • 이 권리의 소멸시효는 수급인이 건물 소유권을 취득한 시점이 아니라, 하수급인이 객관적으로 권리를 행사할 수 있음을 알게 된 때부터 시작됩니다. (대법원 2016. 10. 27. 선고 2014다211978 판결)

자신의 권리를 제대로 알고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공사대금 관련 문제가 발생하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적극적으로 대처하세요.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하도급 업체도 건물에 저당권을 설정할 수 있을까?

하도급 업체는 공사대금을 받지 못하면 원도급 업체 소유의 건물에 저당권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권리 행사 가능성을 알게 된 시점부터 3년 안에 청구해야 합니다. 건물 소유권 분쟁 등으로 권리 행사 가능성을 알기 어려웠다면, 그 사실을 알게 된 시점부터 3년 안에 청구하면 됩니다.

#하도급#공사대금#저당권#원도급

상담사례

🚧 공사 끝났는데 돈 안 줘요? ⏳ 공사대금 소멸시효, 언제부터 카운트다운 시작될까?

공사대금 소멸시효는 계약서상 지급일, 업계 관습, 또는 공사 완료일을 기준으로 시작되므로, 계약 시 지급일 명시가 중요하며, 문제 발생 시 신속한 대응과 증거 확보가 필요하다.

#공사대금#소멸시효#지급시기#계약서

민사판례

공사대금 청구, 3년 지나면 못 받을 수도 있다?!

공사 도중 예상치 못한 문제(폭우로 인한 침수 및 토사 붕괴)로 추가 공사를 하게 된 경우에도, 그 비용은 원래 공사 계약과 관련된 채권으로 보기 때문에 3년의 짧은 소멸시효가 적용된다. "약정금"이라는 이름으로 청구하더라도 마찬가지다.

#추가공사비용#소멸시효#3년#공사대금

민사판례

공사대금 청구 소멸시효, 가압류로 멈출 수 있을까?

공사대금 청구권의 소멸시효는 언제 시작되고, 가압류를 하면 언제부터 소멸시효 진행이 멈추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특히 건설공제조합 출자증권에 대한 가압류의 경우도 설명합니다.

#공사대금#소멸시효#가압류#시효중단

민사판례

공사대금, 언제까지 받을 수 있을까? 기한 유예와 소멸시효

빚을 갚기로 한 날짜(이행기일)가 지난 후, 채권자가 채무자에게 빚 갚는 날짜를 미뤄주면(기한 유예), 미뤄준 날짜부터 소멸시효가 다시 계산된다.

#공사대금#지급기한#유예#소멸시효

민사판례

3년짜리 공사대금, 지급명령 받았어도 3년 안에 받아야 해요!

옛날 민사소송법에서는 지급명령이 확정되어도 판결처럼 소멸시효가 10년으로 늘어나지 않고 원래 시효가 유지된다는 판결입니다.

#지급명령#확정#소멸시효#과거 민사소송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