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2.11.24

일반행정판례

건축사의 공사감리, 언제까지 책임져야 할까?

건축, 한 번 잘못되면 돌이킬 수 없는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죠. 그래서 건축 과정에는 전문가의 감리가 필수입니다. 특히 건축사의 공사감리는 건축물의 안전과 품질을 보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이 공사감리, 정확히 언제까지 책임을 져야 하는 걸까요? 최근 판례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건축사의 서명, 왜 중요할까?

건축법에서는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이나 대수선 공사 시 건축사를 공사감리자로 지정하고, 준공 신고서에 건축사의 서명을 받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구 건축법 제6조, 제7조). 이는 건축사가 자신의 책임 하에 준공을 보증하게 함으로써 위법 건축물을 방지하고 공익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건축사의 서명은 단순한 형식적인 절차가 아니라, 건축물의 안전과 품질에 대한 책임을 명확히 하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감리의 끝은 언제일까? 준공 검사 합격!

그렇다면 건축사의 공사감리 업무는 언제 끝날까요? 단순히 준공 신고서에 서명하고 건축주에게 보고하면 끝일까요? 판례는 "아니다"라고 답합니다. 준공 신고 후 실시되는 준공 검사에서 건축물이 불합격하면 건축주는 재시공 후 다시 준공 신고를 해야 하고, 이때도 건축사의 서명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건축사의 공사감리 업무는 준공 검사에 최종 합격하여 더 이상 감리가 필요 없게 되는 시점에 비로소 종료된다고 봐야 합니다.

물론 준공 신고 후 준공 검사까지의 기간은 최대 14일로 짧고, 준공 검사 전 입주도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건축사에게 과도한 부담을 지우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이 판례는 건축사의 책임이 단순히 서류상의 절차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건축물의 안전과 품질 확보까지 이어진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사례 분석

이번 판례에서는 건축사가 감리 업무를 마친 후 2년 뒤 건축주가 무단으로 건물 구조 및 용도를 변경한 사례를 다루었습니다. 건축사에게 4개월 업무정지 처분을 내린 것은 과도하다는 판결이 나왔지만, 이 판례를 통해 건축사의 감리 책임 범위와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참고 조문: 구 건축법(1991.5.31. 법률 제4381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6조, 제7조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생활법률

내 집 짓는데 감리, 꼭 필요할까요? (건축법으로 알아보는 공사감리의 중요성)

건축 허가 대상 신축 및 일정 규모 이상 리모델링 시, 건축주는 법적으로 공사감리자(건축사)를 지정해야 하며, 감리자의 정당한 업무 수행을 방해하는 행위는 법적 처벌을 받는다.

#공사감리#건축#리모델링#건축법

생활법률

내 집 짓기, 안전하게! 공사감리 제대로 알고 하세요!

건축허가 대상 건축물은 법적으로 건축사의 공사감리가 필수이며, 이를 위반하거나 감리자에게 불이익을 줄 경우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

#건축#공사감리#건축법#필수

형사판례

건설현장 책임감리, 언제부터 책임져야 할까요?

건설공사 책임감리원의 형사책임은 공사 착공 시점부터 시작되며, 공사 완공 이후 하자담보기간에만 책임이 있는 것이 아니다.

#책임감리원#형사책임#착공시점#하자담보기간

형사판례

건축 감리, 설계도대로 시공되었는지 확인해야 할까?

건축물 감리보고서에는 건축물이 설계도서대로 시공되었는지 확인한 내용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며, 특히 건물 안전과 관련된 부분의 변경 시공에 대해서는 감리자의 의견 기재가 필수적이다.

#감리보고서#설계도서#시공#적합성

민사판례

건축 감리자의 책임, 어디까지일까요?

건축 공사 감리자는 설계도면대로 시공되는지 확인하고, 하자가 있으면 건축주에게 알리고 시공사에 시정을 요구해야 할 의무가 있다. 이를 어길 경우 손해배상 책임을 진다. 또한, 건축주가 1심에서 패소한 부분에 대해 항소하지 않으면, 그 부분은 대법원에서 다툴 수 없다.

#건축 감리자#책임 범위#손해배상#하자

형사판례

건축 감리보고서, 어디까지 적어야 할까요?

공사감리보고서에 시공자를 잘못 기재하거나 법 위반 사항을 모두 적지 않았다고 해서 무조건 허위 작성은 아닙니다. 감리자의 주요 업무와 관련된 내용을 성실히 적었다면 허위 작성으로 볼 수 없습니다.

#공사감리보고서#허위작성#판단기준#시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