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8.02.28

특허판례

결합상표의 핵심 부분, 어디까지 봐야 할까요?

상표는 브랜드의 얼굴과 같죠. 그래서 상표 등록을 할 때, 이미 있는 상표와 비슷하지 않은지 꼼꼼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특히 두 개 이상의 단어가 결합된 '결합상표'는 더욱 신경 써야 할 부분이 많습니다. 오늘은 결합상표의 유사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결합상표, 전체를 봐야 할까요? 부분만 봐도 될까요?

결합상표는 원칙적으로 전체적인 외관, 호칭, 관념을 기준으로 유사 여부를 판단합니다. 예를 들어 '맛있는 사과'라는 상표가 있다면, '맛있는 배'라는 상표와 비교할 때 '맛있는'과 '사과', '배' 전체를 놓고 비교해야 한다는 것이죠.

하지만, 결합상표 중에서도 특정 부분만으로도 상품이나 서비스를 충분히 구별할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해당 부분만 떼어내서 유사 여부를 판단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맛있는 꿀사과'라는 상표에서 '꿀사과' 부분이 충분히 상품을 구별할 수 있는 핵심적인 부분이라면, '꿀배'라는 상표와 비교할 때 '꿀' 부분을 중심으로 유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게임 소프트웨어에서만 쓰이는 상표라면?

이번 판례에서 핵심은 'DRAGON QUEST'라는 결합상표 중 'QUEST' 부분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입니다. 특히 게임 소프트웨어에서는 'DRAGON QUEST'가 통째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었지만, 게임과 관련 없는 다른 상품에서는 'QUEST' 부분만으로도 충분히 상품을 구별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특정 상품 영역에서 전체로 인식된다고 해서, 모든 영역에서 항상 전체로 인식된다고 볼 수는 없다는 것이죠.

관련 법조항과 판례

  •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7호: 선등록상표(서비스표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와 동일 또는 유사한 상표로서 선등록상표의 지정상품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상품에 사용될 경우 수요자에게 상품의 출처에 관하여 오인 또는 혼동을 일으키게 하거나 오인 또는 혼동할 우려가 있는 상표는 등록받을 수 없다.

  • 대법원 2007. 3. 29. 선고 2006후3502 판결

  • 대법원 2007. 9. 21. 선고 2007후692 판결

결론적으로, 결합상표의 유사 여부는 상표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를 고려해야 하지만, 특정 부분이 상품 구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면 해당 부분을 중심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또한, 특정 상품에서 전체로 인식되더라도 다른 상품에서는 부분만으로 인식될 수 있다는 점도 중요합니다. 상표 등록을 준비하시는 분들은 이러한 점을 꼼꼼히 확인하여 불필요한 분쟁을 예방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상표권 분쟁, 유사상표 판단은 어떻게?

새로운 상표("SRS AUTO")를 등록하려 했으나 기존에 등록된 상표("SRS")와 유사하다는 이유로 거절당한 사건에서, 대법원은 상표의 핵심 부분("SRS")과 지정 상품의 유사성을 고려하지 않은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다시 심리하도록 환송했습니다.

#상표#유사#SRS#SRS AUTO

특허판례

곰 그림과 BP, 상표권 침해일까? 유사상표 판단 기준 알아보기

곰 그림, BP 글자, 다른 그림이 결합된 상표가 BP 글자만 있는 상표와 유사하다고 판단한 사례. 상표의 일부 요소가 눈에 띄고 기억하기 쉬우면, 그 부분이 다른 상표와 유사할 경우 전체 상표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는 판례.

#상표#유사#BP#곰 그림

특허판례

상표 유사 판단, 부분으로도 가능할까?

상표의 일부만 호칭될 경우에도 기존 상표와 유사하다면 등록 거절될 수 있습니다. "새샘하우스"와 "새샘"은 유사상표로 판단되어 "새샘하우스" 상표 등록이 거절되었습니다.

#유사상표#부분호칭#등록거절#새샘하우스

특허판례

상표 유사 판단, 핵심은 '소비자 혼동' 방지!

두 상표가 유사한지 판단할 때는 전체적인 느낌과 간략하게 불리는 호칭까지 고려해야 하며, 특히 외국인 성명이 포함된 상표라도 일부만으로 불릴 가능성이 있다면 유사 상표로 판단될 수 있다.

#상표 유사성#호칭#결합상표#성명상표

특허판례

옆모습 강아지, 상표의 핵심이 될 수 있을까? - 결합상표의 유사 판단 기준

여러 요소가 결합된 상표에서, 흔히 쓰이는 디자인 요소는 그 자체만으로 상표의 핵심 요소로 인정하기 어렵다는 판결.

#상표#요부#식별력#개 옆모습 도형

특허판례

상표의 유사 판단, 전체적인 모습을 봐야죠!

두 상표에 비슷한 핵심 부분이 있더라도, 전체적인 디자인을 고려했을 때 소비자가 헷갈릴 정도로 유사하지 않다면 유사 상표로 인정되지 않는다.

#상표 유사성#전체 디자인#소비자 혼동#동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