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사례

결핵약 부작용, 나만 몰랐다고요? 의사의 설명의무!

결핵 치료 중 약 부작용으로 고생하셨나요? 저도 비슷한 경험이 있어 얼마나 힘든지 잘 알고 있습니다. 특히 결핵약 중 하나인 '에탐부톨'은 시력 저하 같은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는데, 저처럼 제대로 된 설명을 듣지 못하고 복용했다가 낭패를 보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상 증세 있으면 보건소 오세요~"라는 말만 듣고 어떤 부작용이 있는지,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전혀 몰랐다면? 이건 의사의 설명 의무 위반일 수 있습니다!

의사의 설명 의무, 왜 중요할까요?

의사는 환자에게 질병, 치료법, 부작용 등에 대해 충분히 설명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자는 자신의 건강 상태를 정확히 이해하고, 치료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부작용 발생 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에탐부톨 부작용, 제대로 설명받으셨나요?

에탐부톨은 시력 약화 등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약입니다. 따라서 의사는 단순히 "이상 증세 있으면 보건소 오세요"라고 말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부작용 발생 가능성, 구체적인 증상, 대처 방법 등을 자세히 설명해야 합니다. 단순히 약품 설명서에 있는 내용을 읽어보라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환자의 교육 수준, 나이, 건강 상태 등을 고려하여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대법원도 인정한 의사의 설명 의무! (대법원 2005. 4. 29. 선고 2004다64067 판결)

대법원은 에탐부톨과 같은 부작용 위험이 있는 약을 처방할 때, 의사는 환자에게 부작용 발생 가능성, 증상, 대처 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특히 부작용 발생 시 즉시 복용을 중단하고 의료진과 상담해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알려줘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단순히 추상적인 주의사항만 전달하는 것은 의사의 설명 의무를 다했다고 볼 수 없습니다.

나의 권리를 찾으세요!

만약 저처럼 에탐부톨 부작용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듣지 못하고 피해를 입었다면, 관련 기관에 상담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의 권리를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결핵약 부작용, 설명 제대로 안 하면 병원 책임?

결핵약(에탐부톨) 복용으로 시력이 나빠진 환자가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한 사건에서, 대법원은 약의 부작용에 대한 충분한 설명 없이 투약한 보건소 측의 과실을 인정하여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환송했습니다.

#결핵약#부작용#고지 의무#손해배상

민사판례

의사의 설명 의무, 어디까지일까요?

의사는 환자에게 치료 전에 질병, 치료 방법, 부작용 등에 대해 충분히 설명해야 할 의무가 있으며, 이를 어길 경우 치료에 과실이 없더라도 환자의 정신적 고통에 대한 위자료를 지급해야 한다.

#의사#설명의무#손해배상#위자료

상담사례

수술 부작용, 누가 책임져야 할까요? 설명의무와 증명책임 이야기

수술 부작용 발생 시, 의사는 설명의무를 이행했음을 입증해야 하며, 환자는 설명 부족으로 선택권을 잃었다는 점을 주장하면 된다.

#수술 부작용#설명의무#증명책임#의료 과실

민사판례

의사의 설명 의무, 어디까지일까요? 유방암 진단 지연 사례를 통해 알아보자

의사는 진료 중 질병 의심 증세를 발견하면 환자에게 설명하고 추가 검사를 권유할 의무가 있다. 설명의무 위반으로 인한 손해배상 청구 시, 위자료만 청구하는 경우와 전체 손해를 청구하는 경우 입증 책임이 다르다.

#의사#설명의무#손해배상#입증책임

민사판례

스테로이드 부작용, 의사는 설명해야 할까?

의사는 환자에게 스테로이드 치료의 심각한 부작용(무혈성 골괴사) 발생 가능성에 대해 충분히 설명해야 할 의무가 있으며, 부작용 발생 확률이 낮더라도 설명의무가 면제되지 않는다. 이 판례에서는 의사가 설명의무를 위반하여 환자의 치료 선택권을 침해한 것으로 판단, 손해배상 책임을 인정했다.

#스테로이드#부작용#설명의무#손해배상

민사판례

의사의 설명 의무, 어디까지일까요?

의사는 환자에게 수술 등 위험이 있는 의료행위를 할 때, 환자가 치료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충분히 설명해야 할 의무가 있다. 만약 설명 의무를 위반했을 경우, 환자가 입은 손해에 대해 배상 책임이 발생하지만, 설명 의무 위반과 손해 사이의 인과관계가 인정되어야 한다. 단순히 선택의 기회를 잃은 것에 대한 위자료 청구는 인과관계 입증이 필요 없지만, 모든 손해배상을 청구할 때는 설명 의무 위반과 손해 발생 사이에 직접적인 인과관계를 입증해야 한다.

#의사 설명 의무#손해배상#인과관계#자기결정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