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4.07.22

민사판례

경매 전 가압류와 임금채권의 우선변제

부동산 경매에서 임금을 못 받은 근로자의 권리를 어떻게 보호할 수 있을까요? 오늘은 경매 전 가압류와 임금채권의 우선변제에 대한 대법원 판례를 소개합니다.

사건의 개요

버스회사에서 일하던 근로자 김씨와 이씨는 회사로부터 임금과 퇴직금을 제대로 받지 못했습니다. 김씨와 이씨는 회사 소유 부동산에 각각 가압류를 신청했습니다. 이후 회사의 다른 채권자인 제주은행의 신청으로 부동산이 경매에 넘어갔습니다. 경매 절차에서 김씨는 뒤늦게 배당요구를 했지만, 이씨는 배당요구를 하지 않았습니다. 경매 법원은 다른 임금채권자와 제주은행에게만 배당을 하고, 김씨와 이씨에게는 배당을 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김씨와 이씨는 제주은행을 상대로 부당이득반환청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쟁점

  • 경매 전 가압류권자가 경매 절차의 이해관계인에 해당하는지 여부
  • 경매 전 가압류권자가 임금채권의 우선변제를 받으려면 언제까지 우선변제권을 소명해야 하는지
  • 배당에서 제외된 임금채권자가 부당이득반환청구를 할 수 있는지 여부

대법원의 판단

  1. 가압류권자는 경매 절차의 이해관계인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구 민사소송법 제607조, 현행 민사집행법 제90조 참조) 경매 절차의 이해관계인은 법으로 정해져 있으며, 가압류권자는 여기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법원은 가압류권자에게 경매 기일 등을 통지할 의무가 없습니다.

  2. 경매 시작 전에 부동산을 가압류한 임금채권자는 배당표가 확정되기 전까지 임금채권의 우선변제권을 소명하면 우선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대법원 2002. 5. 14. 선고 2002다4870 판결 참조) 경매 전 가압류는 배당요구를 한 것과 같은 효력이 있지만, 우선변제권이 있다는 사실은 별도로 소명해야 합니다.

  3. 우선변제권이 있는 임금채권자가 경매 전에 부동산을 가압류하고 배당표 확정 전에 우선변제권을 소명했음에도 불구하고 법원이 우선배당을 하지 않고 후순위 채권자에게 배당한 경우, 임금채권자는 후순위 채권자를 상대로 부당이득반환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대법원 1988. 11. 8. 선고 86다카2949 판결 등 참조)

사건의 결과

대법원은 김씨가 낙찰허가결정 이후에 배당요구서와 체불임금확인서를 제출하여 우선변제권을 소명했으므로, 제주은행이 부당이득을 반환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반면, 이씨는 배당표 확정 전까지 우선변제권을 소명하지 않았으므로 부당이득반환청구를 할 수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결론

이 판례는 경매 절차에서 임금채권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중요한 판례입니다. 경매 전에 가압류를 해두었다면 배당표가 확정되기 전까지 임금채권의 우선변제권을 소명하여 정당한 배당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경매, 퇴직금, 그리고 우선변제에 관한 이야기

부동산 경매 시, 가압류권자는 배당요구서를 내지 않아도 배당받을 수 있고, 퇴직금은 전액 우선변제 대상이 된다.

#경매 배당#가압류#배당요구#퇴직금

상담사례

퇴직금 못 받았을 때, 경매 전 가압류 효력은? (feat. 우선변제)

퇴직금 미지급시 회사 자산에 대한 경매 전 가압류는 배당요구 없이 배당권리가 발생하고, '임금채권'임을 배당표 확정 전에 입증하면 우선변제권을 행사할 수 있다.

#퇴직금#가압류#우선변제#경매

민사판례

내 부동산에 밀린 임금, 다른 부동산 경매로 갚았다면?

회사가 여러 부동산을 가지고 있을 때, 일부 부동산이 먼저 경매되면서 근로자들의 임금이 먼저 지급되어 저당권자가 손해를 볼 경우, 저당권자는 근로자의 권리를 대신 행사하여 다른 부동산에서 돈을 받을 수 있다. 단, 배당요구 기한까지 배당요구를 하지 않았더라도 근로자가 미리 가압류를 해 놓았다면, 그 가압류 금액 한도 내에서는 배당을 받을 수 있다.

#임금 우선변제#저당권자#대위변제#가압류

상담사례

퇴사 후 못 받은 월급, 회사 건물 경매되면 어떻게 받나요? (최우선변제권과 배당요구)

회사 건물이 경매에 넘어가더라도, 퇴사 전 가압류를 해놨다면 배당요구 없이 최종 3개월치 밀린 월급을 최우선적으로 받을 수 있다.

#퇴사#미지급 월급#회사 건물 경매#최우선변제권

민사판례

퇴직금 못 받았을 때, 회사 건물 경매 전 가압류 효과는?

회사가 망해서 부동산 경매가 진행될 때, 근로자가 경매 전에 회사 부동산을 가압류했으면, 경매 당일까지 임금채권의 우선변제권을 증명하지 못했더라도 배당표 확정 전까지 증명하면 임금을 우선적으로 받을 수 있다.

#임금채권#가압류#경매#배당

상담사례

밀린 월급, 회사 건물 경매로 받아낼 수 있을까? - 우선변제권 이야기

회사 건물 경매 시, 경매 시작 전 가압류한 임금 채권자는 배당요구 종기일을 지나도 배당표 확정 전 임금 채권임을 증명하면 우선변제 받을 수 있다.

#임금체불#우선변제권#가압류#경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