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은 밤, 술에 취해 행패를 부리는 사람을 제압하는 과정에서 경찰관이 권총을 사용했습니다. 이 상황, 정당한 공권력 행사였을까요, 아니면 과잉진압이었을까요? 오늘은 경찰관의 무기 사용, 특히 권총 사용의 정당성을 판단하는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한 경찰관이 술병으로 사람을 찌른 범인을 체포하기 위해 출동했습니다. 범인은 집 안에서 저항했고, 몸싸움 과정에서 동료 경찰관을 덮쳐 목을 조르는 등 폭력을 행사했습니다. 이에 경찰관은 공포탄을 발사했지만 범인이 멈추지 않자 실탄을 발사하여 범인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쟁점: 정당방위 vs. 과잉진압
이 사건의 핵심은 경찰관의 총기 사용이 정당방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였습니다. 원심은 경찰관 2명이 현장에 있었고, 범인이 무기를 소지하지 않았다는 점 등을 근거로 총기 사용은 과잉진압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즉, 총기 사용의 허용 범위를 벗어난 위법행위라고 본 것입니다.
대법원의 판단
그러나 대법원은 원심을 파기하고 사건을 환송했습니다. 대법원은 경찰관이 출동 당시 범인이 칼을 소지하고 있다는 정보를 받았고, 실제로 범인은 술집에서 맥주병으로 다른 사람을 찌른 전력이 있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즉, 경찰관은 칼을 소지한 것으로 믿을 만한 정당한 이유가 있었던 것입니다.
또한, 대법원은 범인이 동료 경찰관을 덮쳐 목을 조르는 등 급박한 상황에서 경찰관이 자신의 생명과 동료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총기를 사용한 것은 정당방위로 볼 여지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경찰관 무기 사용의 요건 (경찰관직무집행법 제10조의4 제1항)
대법원은 경찰관의 무기 사용이 정당화되기 위한 요건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제시했습니다.
결론
이 판례는 경찰관의 무기 사용, 특히 권총 사용의 정당성을 판단하는 데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현장에 경찰관이 몇 명 있었는지, 범인이 무기를 소지했는지 여부만으로 판단할 것이 아니라, 당시 상황의 긴박성, 경찰관이 받았던 정보, 범인의 위험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특히 권총과 같은 위해를 가할 위험성이 큰 무기의 사용은 더욱 엄격하게 판단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형법 제21조 제1항 참조)
관련 법 조항 및 판례
민사판례
술에 취해 병원에서 난동을 부리던 사람에게 경찰관이 총을 쏴 사망하게 한 사건에서, 대법원은 경찰관의 총기 사용이 정당방위의 한계를 벗어난 과잉진압이라고 판결했습니다. 경찰은 총을 쏘기 전에 다른 제압 방법을 시도할 시간과 여유가 있었고, 총을 쏘더라도 하체를 조준하여 위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음에도 이를 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민사판례
술에 취해 무면허로 운전하다가 접촉사고를 내고 도주하는 사람을 경찰이 추격하며 권총으로 쐈습니다. 대법원은 경찰의 권총 사용이 정당한 범위를 넘어선 위법 행위라고 판단했습니다.
상담사례
경찰의 도주차량 추격 과정에서 동승자가 사망한 사건을 통해, 경찰의 총기 사용은 흉악범 체포 등 긴급상황에서 최후 수단으로 제한되며, 이 사건처럼 단순 도주만으로 정당화될 수 없고 다른 대응책이 있었는지 면밀한 검토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민사판례
경찰관이 위협이 없는 도주범에게 총을 쏴 사망에 이르게 한 경우, 정당방위나 긴급피난에 해당하지 않아 국가가 배상 책임을 져야 한다는 판결.
민사판례
경찰관이 범인 제압 과정에서 총기를 사용하여 범인이 사망한 사건에서, 형사재판에서는 무죄 판결을 받았더라도 민사상 손해배상 책임은 인정될 수 있다.
민사판례
칼을 휘두르며 도주하는 차량 절도 혐의자에게 등을 보인 상태에서 경찰관이 실탄을 발사하여 사망에 이르게 한 사건에서, 법원은 경찰관의 총기 사용이 정당방위 또는 공무집행 중 발생한 행위로 볼 수 없으며, 사회통념상 허용되는 범위를 넘어선 위법행위라고 판단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