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관의 총기 사용은 엄격한 법적 테두리 안에서 이루어져야 합니다. 최근 대법원 판례를 통해 이러한 원칙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던 사건을 소개합니다.
사건의 개요
한 남성이 트레일러와 트랙터를 훔쳐 달아나다 경찰의 검문에 걸렸습니다. 그는 검문을 피해 도주를 시도했고, 경찰은 그를 추격했습니다. 추격 과정에서 경찰은 공포탄 2발과 공중을 향해 실탄 1발을 발사했지만, 남성은 계속 도주했습니다. 결국 경찰은 남성의 몸쪽을 향해 실탄 1발을 발사했고, 탄환이 땅에 맞고 튕겨 남성의 후두부에 맞았습니다. 남성은 결국 사망했고, 유족들은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1심과 2심 법원은 경찰관의 총기 사용이 정당한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하여 국가의 손해배상 책임을 인정했습니다. 동시에 도주한 남성에게도 과실이 있다고 보고, 그의 과실 비율을 70%로 상계하여 배상액을 정했습니다. 대법원 역시 원심의 판단을 확정했습니다.
판결의 핵심
경찰관직무집행법 제11조는 경찰관의 무기 사용에 대해 규정하고 있습니다. 범인의 체포, 도주의 방지 등을 위해 필요한 한도 내에서 무기를 사용할 수 있지만, 형법상 정당방위나 긴급피난에 해당하는 경우 등 엄격한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특히 사람에게 위해를 가할 수 있는 무기 사용은 더욱 신중해야 합니다.
이 사건에서 법원은 경찰관이 도주하는 남성을 제압하기 위해 다른 수단을 사용할 여지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곧바로 실탄을 발사한 것은 과도한 무력 행사라고 판단했습니다. 남성이 무기를 소지하지 않았고, 경찰관이 계속 추격하거나 추가적인 공포탄 발사 등의 다른 방법을 시도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실탄을 사용한 것은 정당한 범위를 벗어난 것이라는 것입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이번 판결은 경찰관의 총기 사용에 대한 경각심을 다시 한번 일깨워주는 사례입니다. 공권력 행사는 항상 법률에 근거하여 신중하고 절제되어야 하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민사판례
칼을 휘두르며 도주하는 차량 절도 혐의자에게 등을 보인 상태에서 경찰관이 실탄을 발사하여 사망에 이르게 한 사건에서, 법원은 경찰관의 총기 사용이 정당방위 또는 공무집행 중 발생한 행위로 볼 수 없으며, 사회통념상 허용되는 범위를 넘어선 위법행위라고 판단했습니다.
민사판례
경찰관이 위협이 없는 도주범에게 총을 쏴 사망에 이르게 한 경우, 정당방위나 긴급피난에 해당하지 않아 국가가 배상 책임을 져야 한다는 판결.
민사판례
10대 청소년들이 오토바이를 훔쳐 달아나다 경찰의 검문에 불응하고 도주하자, 경찰관이 오토바이 바퀴를 향해 실탄을 발사하여 탑승자 한 명이 총상을 입은 사건에서, 대법원은 경찰관의 총기 사용이 사회 통념상 허용 범위를 벗어난 위법 행위라고 판결했습니다.
상담사례
경찰의 도주차량 추격 과정에서 동승자가 사망한 사건을 통해, 경찰의 총기 사용은 흉악범 체포 등 긴급상황에서 최후 수단으로 제한되며, 이 사건처럼 단순 도주만으로 정당화될 수 없고 다른 대응책이 있었는지 면밀한 검토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민사판례
경찰관이 범인 제압 과정에서 총기를 사용하여 범인이 사망한 사건에서, 형사재판에서는 무죄 판결을 받았더라도 민사상 손해배상 책임은 인정될 수 있다.
민사판례
경찰관이 단순 신호위반으로 도주하는 차량의 탑승자에게 실탄을 발사하여 사망에 이르게 한 사건에서, 대법원은 해당 경찰관의 총기 사용이 법에서 정한 허용 범위를 벗어난 위법 행위라고 판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