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6.04.14

형사판례

공무원 청탁과 관련된 이익 제공, 어디까지 처벌될까?

이번 포스팅에서는 공무원에게 청탁을 하고 그 대가로 이익을 받는 행위가 어떤 경우에 불법으로 처벌되는지, 대법원 판결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피고인은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 대회 관련 전기이용광고물 신규 물량 배정과 관련하여 공무원에게 청탁을 해주겠다는 공소외 1의 제안을 수락했습니다. 이후 피고인은 실제로 공소외 1을 통해 행정자치부 고위 공무원 등에게 청탁을 했고, 그 대가로 전기이용광고물 지주 2기를 받기로 약속했습니다. 하지만 이 약속이 무산된 후, 피고인은 공소외 1이 설립하려는 회사에 3억 원을 투자하여 지분 20%를 받는 형태로 투자 기회를 제공받았습니다. 이에 검찰은 피고인을 변호사법 위반으로 기소했습니다.

쟁점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공무원이 취급하는 사건 또는 사무'에 자신의 사무도 포함되는가?
  2. 청탁 이후에 대가를 받기로 약속하거나 받는 경우에도 변호사법 위반인가?
  3. 투자 기회 제공과 같은 것도 변호사법에서 말하는 '이익'에 해당하는가?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단했습니다. (변호사법 제111조 참조)

  1. 공무원이 취급하는 사건 또는 사무: 변호사법 제111조에서 말하는 '공무원이 취급하는 사건 또는 사무'는 자기 자신을 제외한 모든 자의 사건 또는 사무를 의미합니다. (대법원 1997. 7. 22. 선고 96도2422 판결, 대법원 2004. 2. 13. 선고 2003도6965 판결 참조) 이 사건에서 피고인의 청탁은 타인의 이익을 위한 것이었으므로, 자신의 사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비록 나중에 동업 관계가 형성되었더라도, 범죄 성립 당시에는 타인의 사무였으므로 변호사법 위반에 해당합니다.

  2. 청탁 또는 알선 명목의 이익: 변호사법 제111조의 '청탁 또는 알선을 한다는 명목으로'는 '청탁 또는 알선을 내세우거나 이에 관하여'라는 의미입니다. 즉, 청탁 이전에 이익을 받기로 약속한 경우뿐 아니라, 청탁 이후에 대가를 받는 경우에도 처벌 대상이 됩니다. 중요한 것은 청탁과 이익 수수 사이의 관련성 및 대가성입니다. 이 사건에서 피고인은 청탁 이후 투자 기회를 제공받았지만, 청탁과의 관련성 및 대가성이 인정되므로 변호사법 위반입니다.

  3. 이익의 범위: 변호사법 제111조의 '이익'은 금전, 물품 등 재산적 이익뿐 아니라 사람의 수요·욕망을 충족시키는 모든 유형·무형의 이익을 포함합니다. 투자 기회 제공과 같이 고수익이 예상되는 사업에 참여할 기회를 얻는 것도 이익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피고인이 받은 투자 기회 제공은 변호사법상 '이익'에 해당합니다.

결론

대법원은 피고인의 상고를 기각하고, 원심의 유죄 판결을 확정했습니다. 이 판결은 공무원에게 청탁을 하고 그 대가로 이익을 받는 행위가 엄격하게 처벌됨을 보여줍니다. 청탁과 이익 제공 사이의 시간적 순서보다는 관련성과 대가성이 중요하며, 이익의 범위도 넓게 해석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공무원 청탁과 금품수수, 내 일 아니면 괜찮을까?

이 판례는 공무원에게 청탁한다는 명목으로 돈을 받은 경우, 청탁 대상 공무원이 특정되지 않았더라도 변호사법 위반이 되는지, 그리고 자신이 관계된 단체의 이사 직함을 가지고 청탁 명목으로 돈을 받았을 때 '타인의 사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다룹니다.

#공무원#청탁#금품수수#변호사법 위반

형사판례

변호사의 청탁 알선과 금품 수수, 어디까지 처벌될까?

이 판례는 변호사가 누구에게 청탁할지 명확히 밝히지 않고 돈을 받더라도, 또는 정상적인 변호 활동 외의 방법으로 청탁한다는 명목으로 돈을 받으면 변호사법 위반이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또한, 단순 편의 제공 대가가 아닌 청탁 명목이 포함된 금품 수수는 전액 변호사법 위반에 해당합니다.

#변호사#청탁알선#금품수수#변호사법위반

형사판례

공무원 청탁 명목 금품 수수와 변호사법 위반

공무원에게 청탁하려는 목적으로 돈을 받았다면, 그 돈의 일부를 변호사 선임이나 빚 갚는 데 썼더라도 변호사법 위반이다. 또한, 항소심에서 1심 판결 전 구금 일수를 형기에 모두 반영하지 않더라도 법원의 재량이다.

#공무원 청탁#변호사법 위반#금품 수수#미결구금일수 산입

형사판례

공무원 뇌물죄, 어디까지 처벌될까? 제3자 뇌물수수죄, 범죄수익은닉, 직권남용에 대한 심층 분석

이 판례는 공무원이 부정한 청탁을 받고 제3자에게 이익을 제공하게 하는 제3자 뇌물수수죄에 관한 다양한 쟁점을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공소사실의 특정 정도, 제3자의 범위, 범죄수익은닉죄와의 관계,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죄와의 관계 등이 핵심입니다.

#제3자 뇌물수수죄#특정#제3자 범위#범죄수익은닉

형사판례

공무원의 청탁 알선과 금품 수수, 어떤 관계가 있어야 처벌될까?

공무원이 사건이나 업무와 관련하여 청탁이나 알선을 한다는 명목으로 금품을 받으면 변호사법 위반이지만, 금품과 청탁/알선 사이에 대가성이나 관련성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재확인한 판례입니다.

#공무원#청탁알선#금품수수#변호사법

형사판례

내가 고소한 사람 구속시켜준다며 돈 받으면 불법?

자신이 고소한 사건의 피고소인을 구속시켜 달라고 수사기관에 청탁하고 그 대가로 돈을 받으면 변호사법 위반입니다. 설령 자신이 고소인/피해자라도 마찬가지입니다.

#변호사법 위반#구속 청탁#금품 수수#고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