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6.11.29

민사판례

공무원의 잘못된 정보 제공으로 아파트 입주권 사기 피해를 입었다면?

서울시 공무원의 잘못된 정보 제공으로 아파트 입주권을 매입하고 피해를 본 사례를 소개합니다. 이 사례는 공무원의 허위 확인 행위와 피해자의 손해 사이의 인과관계를 인정하여 국가배상 책임을 물은 중요한 판례입니다.

사건 개요

박춘자 씨(원고)는 서울시 영등포구 공무원인 기국도 씨로부터 김사용 씨 소유의 무허가 건물이 철거되면 김씨에게 시영아파트 입주권이 주어질 것이라는 확인을 받았습니다. 이를 믿고 박씨는 김씨로부터 아파트 입주권을 매입하고 돈을 지불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김씨에게 아파트 입주권이 주어지지 않았고, 박씨는 돈을 날리게 되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박씨의 손해가 김씨와의 매매계약 자체가 무효라서 발생한 것이 아니라, 공무원의 허위 확인으로 인해 발생했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공무원의 잘못된 정보 제공이 박씨의 손해와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있다고 본 것입니다. 따라서 서울시는 박씨에게 손해배상을 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다만, 박씨에게도 거래 시 주의를 기울이지 않은 과실이 있다고 보고, 손해액의 일부만 배상하도록 했습니다 (과실상계).

핵심 포인트

  • 공무원의 허위 정보 제공은 불법행위에 해당하며, 이로 인해 발생한 손해에 대해 국가배상 책임을 물을 수 있습니다.
  • 피해자에게도 일부 과실이 있는 경우, 손해배상액이 감액될 수 있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국가배상법 제2조 (공무원의 불법행위): 공무원이 직무를 집행하면서 고의 또는 과실로 법령을 위반하여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경우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는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 민법 제750조 (불법행위):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위법행위로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자는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 대법원 1993. 1. 15. 선고 92다8514 판결
  • 대법원 1994. 9. 30. 선고 94다11767 판결

이 사례는 공무원의 말을 맹신하기보다는 스스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교훈을 줍니다. 또한, 공무원의 잘못된 정보 제공으로 피해를 입었다면 법적으로 구제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중요한 판례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공무원 사기와 국가배상 책임: 시영아파트 분양권 사기 사건 분석

구청 세무공무원이 시영아파트 입주권을 미끼로 사기를 쳐 돈을 가로챈 사건에서, 해당 공무원의 사기 행위가 그의 직무와 관련이 없다면 국가(시/구)에 배상 책임을 물을 수 없다는 판결. 또한, 재판부는 매매대금을 판단할 때 증거들을 제대로 검토하지 않은 원심의 잘못을 지적하며 일부 판결을 파기환송했다.

#공무원 사기#국가배상책임#직무관련성#시영아파트 입주권

민사판례

시영아파트 분양권과 공무원의 불법행위, 서울시는 책임을 져야 할까?

도로 건설 등으로 무허가 건물이 철거될 때, 지자체가 철거민에게 제공하는 시영아파트 분양권 부여 등의 업무는 공적인 업무이므로, 담당 공무원의 불법행위로 손해가 발생하면 지자체가 배상 책임을 진다.

#시영아파트#분양권#불법행위#지자체

민사판례

공무원의 사기, 언제 국가가 책임질까?

공무원이 직무와 관련 없는 사적인 사기 행위를 한 경우, 국가는 배상 책임을 지지 않는다. 단, 직무와 관련된 행위로 외형상 직무 범위 내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에는 국가 배상 책임이 인정될 수 있다.

#공무원#사기#국가배상#직무관련성

민사판례

공무원의 잘못된 확인서 발급으로 땅 산 사람, 손해배상 받을 수 있을까?

공무원이 잘못된 토지이용계획확인서를 발급하여 개인이 손해를 입었을 경우, 국가는 배상 책임을 진다. 공무원의 과실과 손해 발생 사이에 상당인과관계가 있어야 하며, 피해자의 과실이 있다면 손해배상액이 줄어들 수 있다.

#국가배상책임#토지이용계획확인서#공무원 과실#상당인과관계

민사판례

주민등록 위조로 인한 부동산 사기, 누구에게 책임을 물어야 할까?

공무원의 실수로 잘못된 주민등록표가 발급되어 사기꾼에게 속아 부동산을 사고 손해를 본 경우, 국가가 배상 책임이 있다는 판결입니다.

#국가배상책임#주민등록표#위조#직무상 과실

민사판례

국가유공자 주택대부와 공무원의 설명 의무

국가유공자 주택 대출 관련, 공무원이 지급보증서 제도를 안내하지 않았다고 해서 국가배상 책임이 있는 것은 아니다.

#국가배상#공무원#부작위#안내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