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7.05.17

형사판례

공무원이 결재 없이 직인 찍으면 공문서위조죄?

공무원이 상사 결재도 없이 직인을 맘대로 찍어서 문서를 만들면 어떻게 될까요? 단순한 실수일까요, 아니면 범죄일까요? 오늘은 공문서 위조에 관한 흥미로운 판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한 공군 부대 체력단련장 관리사장이었던 피고인은 골프장 전동카트 설치와 관련된 합의서의 금액을 임의로 변경했습니다. 더 큰 문제는, 상관의 결재도 받지 않고 직인 담당자를 속여서 상관의 직인을 찍게 했다는 것입니다.

쟁점

결재 없이 직인을 찍어 공문서를 만든 행위가 공문서위조죄에 해당하는지가 쟁점이었습니다.

판결

대법원은 이 행위를 공문서위조죄로 판단했습니다. 공문서 작성 권한이 없는 사람이 상사의 결재도 없이 직인을 찍어 문서를 완성한 것은 위조에 해당한다는 것입니다. 직인 담당자는 일반적으로 결재가 된 문서에만 직인을 찍을 수 있는데, 피고인은 이 담당자를 속여서 직인을 찍게 했으므로 위조죄가 성립한다는 것이죠.

핵심 내용 정리

  • 문서 작성 보조 직무를 하는 공무원이라도 결재 없이 직인을 맘대로 사용하면 공문서위조죄가 성립합니다.
  • 직인 담당자를 속여서 직인을 찍게 해도 공문서위조죄입니다.
  • 단순히 문서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는 것과는 별개로, 직인 날인 과정에서의 정당한 절차를 지키지 않으면 위조죄가 될 수 있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형법 제225조 (공문서등의 위조·변조) 공무원 또는 공무소의 문서 또는 도화를 위조 또는 변조한 자는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 형법 제227조 (사문서등의 위조·변조) 행사할 목적으로 공문서 또는 사문서를 위조 또는 변조한 자는 10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 형법 제229조 (위조등 공문서의 행사) 위조 또는 변조한 공문서, 공인증서 또는 자격모용에 의하여 작성된 공문서를 행사한 자는 그 각 문서의 진정한 문서로서 효력이 있는 경우에 그 공정증서원본, 사문서 또는 자격모용에 의하여 작성된 문서를 행사한 자와 같이 처벌한다.
  • 형법 제34조 (간접정범) ① 타인을 교사하여 범죄를 실행하게 한 자는 죄를 실행한 자와 동일한 형으로 처벌한다.
  • 대법원 1981. 7. 28. 선고 81도898 판결

이 판례는 공문서의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 정당한 절차를 준수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줍니다. 공무원은 물론 일반인들도 공문서 작성 및 관리에 대한 경각심을 가져야 할 것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공무원 속여서 허위 증명서 받으면 문서위조죄일까?

일반인이 관공서에 허위 내용의 증명원을 제출하여 공무원이 이를 모르고 허위 내용대로 증명서를 발급해 준 경우, 일반인을 공문서위조죄의 간접정범으로 처벌할 수 없다.

#허위증명서#공문서위조죄#간접정범#무죄

형사판례

동장 직인 맘대로 찍었다면? 공문서 위조!

동장의 업무를 보조하는 사무장이 동장의 직인을 허락 없이 사용하여 허위 내용의 공문서를 만들면 공문서위조죄가 성립하며, 이를 지시한 사람도 공범으로 처벌받는다.

#동장 직인 도용#허위 공문서 작성#공문서위조죄#사무장

형사판례

오려 붙인 직인, 복사한 문서도 위조일까? 사문서위조죄 성립 여부

다른 서류의 직인을 오려 붙여 복사한 문서라도, 일반인이 진짜 문서로 오해할 정도의 형식과 외관을 갖췄다면 사문서위조죄가 성립한다.

#오려붙인 직인#복사본#위조문서#사문서위조죄

형사판례

공문서 위조? 자격 모용? 헷갈리는 공문서 범죄!

공무원이 권한 없이 상관 결재란에 자신의 서명을 한 경우, 공문서 위조가 아닌 자격모용공문서작성죄가 성립한다. 또한, 계약직 등이 공무와 관련된 업무를 하더라도 그들이 작성한 문서는 공문서로 보기 어렵다.

#공문서위조#자격모용공문서작성#계약직 공문서#권한 없는 결재

형사판례

공무원의 허위공문서 작성, 상관의 위법한 명령, 그리고 증거위조에 대한 법원의 판단

국가정보원 직원들이 재판에 증거로 제출하기 위해 허위 확인서를 작성한 행위에 대해 허위공문서작성 및 행사죄는 인정되지만, 증거위조죄는 성립하지 않는다는 대법원 판결. 상관의 위법한 명령이라도 이에 따라야 할 의무는 없다는 점도 재확인.

#국정원#허위확인서#허위공문서작성죄#허위공문서행사죄

형사판례

공문서 위조, 내가 쓴 거 아닌데요? - 간접정범도 처벌될 수 있습니다.

권한이 있는 상사에게 허위 문서 초안을 제출하여 서명을 받아 허위 공문서를 만들게 한 담당 공무원은 허위공문서작성죄로 처벌된다.

#허위공문서작성죄#간접정범#상사기망#초안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