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3.06.25

민사판례

공사대금 미지급으로 공사 중단? 계약 해지 정당할까?

건설 공사 도중 공사대금 지급 문제로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오늘은 공사대금 미지급으로 공사가 중단되었을 때, 도급계약을 해지할 수 있는지에 대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A 회사는 B 회사로부터 특정 공사를 도급받았고, B 회사는 다시 C 회사에게 하도급을 주었습니다. C 회사는 공사를 진행하다가 A 회사로부터 약속된 공사대금을 받지 못하자 공사를 중단하고, 미지급된 잔금과 공사 지연에 따른 손해배상을 요구했습니다. A 회사는 C 회사의 이러한 행위를 계약 위반으로 보고 도급계약을 해지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A 회사의 계약 해지가 정당하다고 판단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최고 없이 계약 해지 가능한 경우: 일반적으로 계약을 해지하려면 상대방에게 상당한 기간을 정해 이행을 최고(催告, 독촉)해야 합니다. (민법 제544조, 제668조) 하지만 상대방이 미리 이행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명확히 표시한 경우에는 최고 없이도 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 C 회사의 행위: C 회사는 공사 잔금과 손해배상금을 받기 전까지는 공사를 재개하지 않겠다고 밝혔고, 실제로 장비를 철수하며 공사를 중단했습니다. 이는 C 회사가 계약 이행을 거부하는 의사를 명확히 표시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 판례의 입장: 대법원은 이와 유사한 사례에서 "수급인이 공사를 중단하고 잔금 및 손해배상금 지급을 요구한 것은 이행 거부 의사의 표시"라고 판단했습니다. (대법원 1971.11.30. 선고 71다1634 판결)

문서 제출 명령 위반의 효과

이 사건에서는 C 회사가 법원의 문서 제출 명령을 따르지 않은 점도 문제가 되었습니다. 법원은 당사자가 문서 제출 명령을 위반한 경우, 상대방의 문서에 대한 주장(내용, 진정성립 여부 등)을 진실한 것으로 인정해야 한다고 판시했습니다. (민사소송법 제320조, 대법원 1987.7.7. 선고 87누13 판결, 1988.2.23. 선고 87다카2490 판결, 1991.8.27. 선고 90다13369 판결) 그러나 문서의 내용이 진실이라고 해서, 그 문서로 입증하려는 주장 사실까지 인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즉, 문서의 존재와 내용은 인정되지만, 그 내용의 진위 여부는 법원이 판단할 문제입니다.

결론

공사대금 미지급 등의 분쟁으로 공사가 중단된 경우, 상황에 따라 계약 해지가 가능할 수 있습니다. 특히 상대방이 이행 거부 의사를 명확히 표시한 경우에는 최고 없이도 계약 해지를 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계약 해지와 관련된 문제는 복잡한 법적 쟁점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공사 중단? 계약 해지 전에 꼭 알아야 할 것들!

공사가 약속한 기한 내에 완공될 수 없다고 명백해진 경우, 발주자는 계약을 해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전에 시공자에게 상당한 기간을 주고 완공을 요구해야 합니다. 또한, 계약 해지 시 발주자가 지급해야 할 기성고(이미 완성된 공사 부분) 비율은 시공자에게 불리하게 계산해서는 안 됩니다.

#공사 기한 전 계약 해제#기성고 비율 산정#시공자 귀책사유#완공 불가능

민사판례

공사 기한 못 지키면 계약 해지할 수 있을까? 도급계약 해석에 대한 대법원 판결

건설사가 자기 책임으로 공사 기한을 지키지 못하면, 발주자가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는 대법원 판결. 계약서에 "공사 완성 가능성이 없음이 명백한 경우" 해지할 수 있다고 쓰여 있었는데, 기한 내 완공 못한 경우도 여기에 포함된다는 판단.

#공사기한#계약해지#대법원#발주자

상담사례

공사 80% 진행 후 계약해지?! 공사대금은 어떻게 받을까요?

건축공사 계약해지 시, 공사 진행률(기성고)에 따라 공사대금을 정산하되, 계약 위반이나 하자 발생 시 손해배상액 또는 하자보수 비용을 공제할 수 있다.

#공사대금#계약해지#기성고#하자보수

민사판례

공사 중단 시, 선급금은 어떻게 되나요?

공사 도중 계약이 해지되면, 건설사가 받은 선급금에서 이미 완료된 공사(기성고)에 대한 대금을 자동으로 제외하고 남은 금액만 발주처에 돌려주면 된다는 판결입니다. 따로 계산해서 빼겠다는 의사표시(상계)는 필요 없습니다.

#선급금#기성고#자동충당#상계

민사판례

건설 하도급 계약 분쟁, 부도만으로 계약 해지할 수 있을까?

하도급업체의 부도가 발생했을 때, 하도급계약서 조항에 따라 부도만으로 바로 계약을 해지할 수 있는지, 그리고 보증 회사가 보증금을 지급해야 하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법원은 계약서 조항이 하도급업체에게 지나치게 불리한 경우 무효가 될 수 있으며, 부도 이후에도 공사를 계속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고려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하도급#계약해지#보증금#부도

민사판례

건축공사 중 계약해지 시 공사비 정산은 어떻게?

건축공사 도중 계약이 해지되었을 때, 이미 진행된 공사에 대해서는 비용을 지급해야 하며, 특히 미완성 공사비용을 미리 예정했던 경우에는 총 공사비에서 이를 뺀 금액을 지급해야 한다.

#건축공사#중도해지#공사비#미완성공사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