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4.01.15

민사판례

공항 내 식당 임대료, 깎아줄 수 있을까?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공항 내 식당 임대료를 둘러싼 법적 분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IMF 경제위기라는 예상치 못한 상황 변화 속, 임차인들은 과연 임대료를 깎아달라고 요구할 수 있을까요? 대법원의 판단을 통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1997년, 원고들은 울산공항 여객청사 내 식당과 스낵코너 운영자로 선정되어 한국공항공단(현 한국공항공사)과 임대차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당시 IMF 경제위기 직전이었기에, 누구도 이후 닥칠 경제적 어려움을 예상하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경제위기가 본격화되면서 공항 이용객이 급감했고, 원고들의 매출도 덩달아 곤두박질쳤습니다. 결국 원고들은 한국공항공단에 임대료 감액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고, 결국 소송으로 이어졌습니다.

쟁점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두 가지였습니다. 첫째, 한국공항공단이 정부로부터 무상으로 사용허가를 받은 국유재산을 다시 임대하는 행위가 사법상 임대차에 해당하는지, 둘째, 만약 임대차 관계라면 임차인들이 경제사정의 변동을 이유로 임대료 감액을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였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첫 번째 쟁점에 대해 한국공항공단의 국유재산 전대행위가 사법상 임대차에 해당한다고 판결했습니다. 비록 공항공단이 공법적 규율을 받는다고 하더라도, 국유재산 관리에 대한 위임이나 위탁을 받지 않은 이상 사인 간의 임대차와 다를 바 없다는 것입니다. (관련 법률: 구 한국공항공단법 제17조, 국유재산법 제24조 제1항)

두 번째 쟁점에 대해서는, 대법원은 민법 제628조의 차임증감청구권이 적용된다고 보았습니다. 즉, 경제사정 등의 변동으로 임대료 약정이 현저히 부당하게 된 경우 임차인은 임대료 감액을 청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관련 법률: 민법 제628조, 구 한국공항공단법 제17조)

그러나 대법원은 이 사건의 경우 임대료 약정이 현저히 부당하게 되었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IMF로 인해 공항 이용객이 감소한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원고들이 사업상 감수해야 할 위험에 해당한다는 것입니다. 또한, 이후 실시된 입찰에서 임대료가 낮아진 것은 경쟁 입찰의 특성상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이며, 이것만으로 이전 임대료가 부당했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원고들의 임대료 감액 청구는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참조판례: 대법원 2003. 10. 24. 선고 2001다82514, 82521 판결)

결론

이 판례는 예상치 못한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계약 당사자들이 감수해야 할 위험의 범위를 명확히 제시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경제 상황이 어려워졌다는 사실만으로는 임대료 감액을 청구할 수 없으며, 계약 당시 예상할 수 없었던 사정변경으로 인해 임대료 약정이 현저히 부당하게 되었다는 점을 입증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는 중요한 판례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김포공항 점포 임대차, 그 계약의 성질은?

한국공항공단이 정부로부터 무상으로 사용하도록 허가받은 김포공항 내 점포를 임대하는 행위는 사적인 임대차 계약과 같으며, 공항공단이 미리 정해둔 임대 조건은 약관으로 간주되어 약관규제법의 적용을 받는다.

#한국공항공단#행정재산#전대#약관규제법

생활법률

상가 임대료, 올려달라거나 내려달라고 할 수 있을까? (feat. 경제사정 변동 & 코로나)

상가 임대차보호법에 따라 임대인과 임차인 모두 조세, 공과금, 경제 상황 변동 등을 이유로 차임 또는 보증금의 5% 이내에서 증액/감액을 청구할 수 있으며, 증액은 1년에 한 번 가능하고, 보증금 증액 시에는 대항력 유지를 위해 증액 부분에 대한 확정일자를 받아야 한다.

#상가임대차#차임#보증금#증액청구

일반행정판례

공항 매장 임대료, 불이익 제공일까? - 거래상 지위 남용행위 판단 기준

한국공항공사가 공개입찰을 통해 임대매장을 계약한 후, 기존 수의계약 업체들에게 더 낮은 임대료를 적용해 계약을 연장해 준 것이 공정거래법상 '불이익제공'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결. 대법원은 불이익제공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

#공항#임대매장#입찰#임대료 인하

상담사례

출판 불황, 인세 좀 깎아달라고 할 수 있을까요?

출판 불황 자체는 인세 감액 사유가 되지 않지만, 계약 당시 예상치 못한 중대한 변화로 계약 유지가 불공정해진 경우 계약 해제 가능성은 있다.

#출판 불황#인세 감액#차임 증감 청구#계약 해제

세무판례

토지 임대료 일부 감액, 부가세는 어떻게 될까?

건물을 분양하면서 토지 사용료를 미리 받은 사업자가 나중에 토지 일부에 대한 임대 권한을 잃게 된 경우, 이미 받은 토지 사용료 중 권한을 잃은 부분에 해당하는 금액은 부가가치세 계산 시 공급가액에서 빼야 한다.

#토지임대권#부가가치세#공급가액#조정

생활법률

월세/전세 너무 비싸요! 혹은 너무 싸요! 임대료 조정, 이렇게 하세요!

주택임대차보호법에 따라 월세/전세는 계약 기간 중 세금, 공과금, 경제 상황 변동 등의 사유로 5% 이내에서 1년에 한 번 증액/감액 가능하며, 증액 시 확정일자를 받아야 효력이 발생한다.

#월세#전세#증액#감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