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대학교 교수의 강의 중단과 관련된 학교법인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 대한 대법원 판결을 살펴보겠습니다. 학교법인이 소속 교수의 강의 중단으로 손해를 입었다며 소송을 제기했지만, 대법원은 학교 측의 손을 들어주지 않았습니다. 어떤 사연인지 자세히 알아볼까요?
사건의 개요
한 학교법인(원고)은 소속 교수(피고)가 다른 교수들과 함께 집단적으로 강의를 중단하여 학교에 손해를 끼쳤다며 손해배상을 청구했습니다. 원고는 피고의 강의 중단으로 인해 학생들의 수업권 침해, 학교의 명예 실추 등의 손해가 발생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쟁점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법원의 판단
원심(대전고등법원)은 피고의 강의 중단 행위와 원고가 주장하는 적극적, 소극적 손해 사이의 인과관계에 대해서는 판단했지만, 위자료 손해에 대한 판단은 명시적으로 하지 않았습니다. 원고는 이를 판단누락이라고 주장하며 상고했습니다.
그러나 대법원은 원심의 판단에 문제가 없다고 보았습니다. 대법원은 판결서에 모든 주장에 대한 구체적인 판단을 기재할 필요는 없으며, 판결 이유의 전반적인 취지로 판단 내용을 알 수 있으면 충분하다고 판시했습니다. (민사소송법 제208조)
이 사건에서 원심은 피고의 강의 중단 행위와 원고 주장의 손해 사이에 인과관계를 인정할 수 없다고 전제한 후 개별적인 손해에 대한 판단을 했습니다. 따라서 위자료 손해에 대한 명시적인 판단이 없더라도, 전반적인 판결 취지에 비추어 볼 때 위자료 손해에 대해서도 인과관계를 인정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설령 위자료 손해에 대한 판단이 누락되었다 하더라도, 피고의 강의 중단 행위로 인해 원고의 사회적 명성이나 신용이 훼손되었다고 보기 어려워 위자료 청구는 기각될 것이 분명하므로, 판단누락이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판단했습니다.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208조, 제423조
참조판례: 대법원 2010. 4. 29. 선고 2009다88631 판결
결론
이 판결은 판결서에 모든 주장에 대한 구체적인 판단이 없더라도, 판결 이유의 전반적인 취지로 판단 내용을 알 수 있으면 판단누락이 아니라는 점을 확인한 사례입니다. 또한, 판단누락이 있더라도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우에는 위법이 아니라는 점을 보여줍니다.
민사판례
파면 후 복직한 대학교수에게 학교법인이 정당한 이유 없이 강의를 배정하지 않은 것은 인격권 침해로 위자료 지급 의무가 있다.
민사판례
사립대학이 정당한 이유 없이 교수를 직위해제하거나 전공과 무관한 강의를 배정하여 강의를 못하게 하는 것은 불법행위로, 정신적 피해에 대한 배상 책임을 져야 한다.
상담사례
손해배상 청구 기각 판결에서 위자료 인과관계에 대한 명시적 판단은 없었지만, 다른 손해에 대한 인과관계 부정 판단을 통해 위자료 청구도 기각된 것으로 볼 수 있어 판단누락은 아닐 가능성이 높다.
민사판례
부당하게 재임용 거부된 사립대 기간제 교원이 학교법인을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때, 교원은 재심사를 원한다는 의사를 객관적으로 표명해야 하고, 학교법인은 재임용 거부 결정에 과실이 있어야 배상 책임이 발생한다는 판례. 또한, 손해배상 책임 발생 시점 및 퇴직금 계산 기준 등에 대한 판단 기준을 제시.
민사판례
사립대학이 기간임용제 교원을 부당하게 재임용 거부했을 때, 어떤 경우에 손해배상 책임을 져야 하는지, 그리고 배상 범위는 어떻게 되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특히 교원의 재임용 신청 의사가 명확히 확인된 이후부터 손해배상 책임이 발생한다는 점과, 위자료 지급은 매우 제한적인 경우에만 가능하다는 점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민사판례
교원소청심사위원회의 결정은 학교법인을 곧바로 기속하며, 학교법인이 정당한 이유 없이 교원의 업무를 배제하면 정신적 고통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을 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