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1.10.12

특허판례

국수 상표권, 밀가루 회사의 주장은 왜 받아들여지지 않았을까?

오늘은 상표권 분쟁에 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바로 밀가루 회사와 국수 회사 사이에 벌어진 상표권 분쟁입니다.

사건의 개요는 이렇습니다.

오랫동안 밀가루를 생산해 온 A 회사(피고)는 "OOO"라는 상표를 밀가루, 튀김가루 등 곡물가루 제품에 사용해 왔습니다. A 회사는 이 상표의 상표권 존속기간을 여러 번 갱신하면서, 나중에 국수, 당면 등도 지정상품에 추가했습니다. 그런데 B 회사(원고)가 "OOO" 상표를 국수 제품에 사용하면서 분쟁이 발생했습니다. A 회사는 자신들이 먼저 "OOO" 상표를 등록했고, 나중에 국수도 지정상품에 추가했으니 B 회사의 상표는 무효라고 주장했습니다. A 회사의 주장은 구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11호, 즉 B 회사의 상표가 "상품의 품질을 오인하게 하거나 수요자를 기만할 염려가 있는 상표"라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법원은 A 회사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법원은 A 회사가 오랫동안 "OOO" 상표를 밀가루 및 곡물가루 제품에 사용해 온 것은 사실이지만, 국수 제품에 대해서는 상표를 사용한 실적이 거의 없었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A 회사는 뒤늦게 국수를 지정상품에 추가했을 뿐, 실제로 국수를 생산하거나 광고한 적이 없었습니다. 반면 B 회사는 "OOO" 상표를 붙인 국수를 생산하여 상당한 매출을 올리고 있었습니다.

즉, 소비자들이 "OOO" 상표를 보고 A 회사의 국수라고 혼동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는 것입니다. A 회사가 밀가루 시장에서 인지도가 높다고 하더라도, 국수 시장에서는 B 회사가 "OOO" 상표를 사용한 실적이 훨씬 많았기 때문입니다.

결론적으로 법원은 B 회사의 상표권을 인정하고 A 회사의 주장을 기각했습니다.

이 판례는 상표권 분쟁에서 단순히 상표 등록 시점뿐 아니라 실제 사용 실적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입니다. (관련 법 조항: 구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11호, 제42조 제2항 단서, 제72조 제1항 제1호, 구 상표법시행규칙 제6조 제1항 [별표1])

이 사례를 통해 상표권 분쟁에서 실제 사용 실적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었습니다. 상표 등록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해당 상표를 실제로 사용하고 소비자들에게 인지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기억해야겠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곰표' vs '양곰표', 상표권 분쟁에서 누가 이겼을까?

'곰표'라는 상표를 먼저 등록한 업체가, 나중에 '양곰표'라는 상표를 등록하고 실제 제품에는 '양' 그림과 '곰표국수'라는 글자를 함께 써서 판매하는 업체를 상대로 상표권 침해 소송을 제기하여 승소했습니다. 법원은 '양곰표국수'라는 표현이 '곰표국수'로 줄여 불릴 가능성이 있어 소비자들이 두 제품의 출처를 혼동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곰표#양곰표#상표권 침해#유사상표

특허판례

'상화' 상표, 콩과 곡물가루는 같이 못 써요! 개사료·라면은 글쎄...?

'상화'라는 호칭과 관념을 공유하는 두 상표의 유사 여부 및 지정상품의 유사 여부에 대한 판결. 일부 상품은 유사하여 등록 무효, 일부 상품은 유사하지 않아 등록 유효.

#상표#유사#등록무효#지정상품

특허판례

생수, 약수 상표권 분쟁, 대법원 판결 뒤집히다!

대법원은 생수, 약수 상표의 추가등록이 잘못된 상품 분류로 무효라고 판결했는데, 하급심(특허청 항고심판소)에서 이 판결 취지를 잘못 이해하여 다시 상표권 침해를 인정하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대법원은 이를 다시 파기하고 하급심으로 돌려보냈습니다.

#상표#추가등록#무효#상품분류

특허판례

상표권 취소 소송, 비슷한 상표 사용이 문제?!

A회사가 B회사로부터 상표권을 사용할 권리를 받아 조금 변형된 상표를 사용했는데, C회사가 B회사의 원래 상표가 D회사의 상표와 유사하다며 등록취소를 요청한 사건에서, 변형된 상표도 원래 상표와 유사하다면 상표법 위반으로 볼 수 있다는 대법원 판결.

#상표등록취소#유사상표#실사용상표#상표권

특허판례

상표권 유지를 위한 상표 사용 – 어디까지 해야 할까요?

국세청이 새로운 주류 수입 면허 발급을 막았더라도 기존 면허를 가진 수입업자를 통해 수입이 가능하다면, 이를 빌미로 상표가 붙은 상품을 수입하지 않은 것은 상표를 사용하지 않은 정당한 이유가 되지 않습니다. 또한, 일부 주류 수입이 금지되었다고 해서 모든 주류 수입이 금지된 것으로 볼 수 없으며, 국내가 아닌 외국 대사관 등에 상품을 공급한 것은 국내에서 상표를 사용한 것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주류 수입#상표 사용#면허 제한#상표 등록 취소

특허판례

내 상표인데 왜 못쓰나요? - 상표권과 부정경쟁행위

이 판결은 국내에 등록되지 않은 상표라도, 이미 널리 알려진 상표와 유사해서 소비자들이 혼동할 우려가 있다면 보호받을 수 있다는 것을 명확히 했습니다. 기존 판례 중 일부 상반된 판례도 변경했습니다.

#미등록상표#상표권침해#소비자혼동#상표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