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해외 기업의 국제 카르텔 행위에 대한 국내법 적용과 관련된 흥미로운 판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복잡한 법률 용어를 쉽게 풀어서 설명드릴 테니, 끝까지 읽어보시면 유익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을 거예요.
사건의 개요
독일 기업인 SGL 카본(SGL Carbon Aktiengesellschaft, 이하 SGL)은 다른 외국 기업들과 함께 흑연전극봉(Graphite Electrode,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소모품)의 가격을 담합했습니다. 이 담합은 해외에서 이루어졌지만, 그 영향은 한국 시장에도 미쳤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는 SGL의 행위가 국내 공정거래법 위반이라고 판단하고 시정 조치를 내렸고, SGL은 이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쟁점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단했습니다.
결론
이 판례는 해외에서 이루어진 국제 카르텔 행위라도 국내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우리나라 법을 적용하여 처벌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국제적인 기업 활동이 활발해지는 오늘날, 공정한 경쟁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국제 카르텔에 대한 규제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일반행정판례
국내에 지점이나 사무실이 없는 해외 기업이라도 국내 시장에 영향을 주는 가격 담합 등의 불공정 행위를 하면 우리나라 공정거래법으로 처벌받을 수 있다.
일반행정판례
국제 항공화물 운임 담합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의 과징금 처분이 정당한지, 그리고 처분 시효가 지났는지 여부를 다룬 판결입니다. 국내에 영향을 미치는 국외 담합 행위에 공정거래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담합 행위 종료 후 5년이 지나면 처분할 수 없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일반행정판례
해외 기업들이 국외에서 담합했더라도 그 영향이 국내 시장에 미치면 공정거래법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담합 기간과 과징금 부과는 전체 담합 행위를 하나로 보아 판단해야 하며, 과징금 부과 시에는 조사 협조 여부 등을 고려하여 비례의 원칙에 따라야 한다.
일반행정판례
해외에서 이루어진 가격 담합이라도 국내 시장에 영향을 준다면 우리나라 공정거래법을 적용할 수 있다. 설령 그 행위가 해외 법률에서 허용된다 하더라도, 우리나라 법 적용을 배제할 수는 없다.
일반행정판례
여러 석유화학 회사들이 장기간 폴리프로필렌 가격 담합을 했는데, 공정거래위원회가 과징금을 부과하면서 일부 제품의 매출액을 잘못 계산한 것이 인정되어 과징금 부과 부분이 파기환송되었습니다. 담합 행위 자체는 인정되었고, 장기간의 담합은 하나의 행위로 봐야 한다는 원칙도 재확인되었습니다.
일반행정판례
아시아나항공을 포함한 여러 항공사들이 한국, 홍콩, 일본 노선의 항공화물 유류할증료를 담합하여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과징금 처분을 받았습니다. 아시아나항공은 이 처분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지만 대법원까지 패소했습니다. 해외에서 이루어진 담합이라도 국내 시장에 영향을 미치면 공정거래법 적용이 가능하며, 관련 법률에 따른 행위라도 경쟁 제한성이 있다면 공정거래법 위반이 될 수 있다는 것이 핵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