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소개할 판례는 군대 내에서 발생한 폭력 및 성추행 사건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피고인은 폭행, 가혹행위, 그리고 여러 건의 강제추행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대법원은 원심판결 중 일부를 파기하고 사건을 고등군사법원으로 돌려보냈습니다.
쟁점 1: 폭력행위처벌법 위반(집단·흉기등폭행, 상습폭행) 혐의
피고인은 '흉기를 휴대하여 폭행'하고 '상습적으로 폭행'했다는 혐의를 받았습니다. 원심은 구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이하 '구 폭력행위처벌법')을 적용하여 유죄를 선고했습니다. 그러나 대법원은 해당 법률 조항이 위헌 결정으로 효력을 잃었고, '상습폭행'에 관한 부분도 법 개정으로 삭제되었으므로, 새로운 법률을 적용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피고인에게 적용된 구 폭력행위처벌법 조항은 위헌 또는 삭제되어 더 이상 범죄로 인정되지 않거나 형량이 줄어든 경우에 해당하여, 형법 제1조 제2항에 따라 신법을 적용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관련 법조항: 형법 제1조 제2항, 참조판례: 대법원 2010. 3. 11. 선고 2009도12930 판결 등)
쟁점 2: 군인등강제추행 혐의
피고인은 여러 피해자에 대한 강제추행 혐의도 받았습니다. 이 혐의와 관련하여 '친고죄' 여부와 '고소기간'이 문제되었습니다.
친고죄와 고소기간: 2013년 6월 19일 이전에 발생한 군인등강제추행은 친고죄였고, 고소기간은 '범인을 알게 된 날부터 1년'이었습니다. (관련 법조항: 구 군형법 제92조의2, 제92조의8, 구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18조 제1항 등, 참조판례: 대법원 2014. 12. 24. 선고 2014도731 판결)
피해자별 고소의 적법성: 대법원은 피해자 공소외 1의 경우 고소기간이 지나서 고소했으므로 공소가 무효라고 판단했습니다. 다른 피해자들의 경우, 범행 시점이 법 개정 전인지 후인지 명확하지 않아 친고죄 적용 여부와 고소기간 준수 여부를 다시 판단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쟁점 3: 가혹행위 혐의
피고인은 피해자들에게 청양고추를 먹게 하고 찬물 샤워를 시키는 등의 가혹행위를 했다는 혐의도 받았습니다. 대법원은 이러한 행위가 "사람으로서는 견디기 어려운 정신적·육체적 고통을 가한 행위"로서 가혹행위에 해당한다는 원심의 판단을 유지했습니다. (관련 법조항: 군형법 제62조, 참조판례: 대법원 2008. 5. 29. 선고 2008도2222 판결 등)
쟁점 4: 신상정보 제출의무 고지
피고인은 신상정보 제출의무 고지 관련 문제도 제기했으나, 대법원은 이는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사항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신상정보 제출의무는 유죄 판결 확정 시 법률에 따라 당연히 발생하는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관련 법조항: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42조 제1항, 제2항, 제43조 제1항, 참조판례: 대법원 2014. 2. 13. 선고 2013도14610 판결 등)
결론
대법원은 위와 같은 이유로 원심판결 중 유죄 부분을 파기하고 사건을 고등군사법원에 환송했습니다. 이 사건은 군대 내 폭력 및 성범죄 사건에 대한 법 적용과 고소 절차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판례입니다. 특히 법 개정으로 인한 형벌 조항의 변화와 친고죄의 고소기간 준수 여부가 판결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형사판례
군인에 대한 강제추행도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하 성폭력처벌법) 적용을 받는 성폭력범죄에 해당하므로, 성폭력처벌법에서 정한 1년의 고소기간이 적용된다.
형사판례
상급자인 피고인이 부하 여군인 피해자를 강제추행하고, 다른 부하에게 피해자의 사생활에 대한 허위 사실을 말하여 명예를 훼손한 사건에서, 원심의 무죄 판결을 대법원이 파기하고 사건을 고등군사법원으로 돌려보낸 사례입니다. 대법원은 추행의 의미를 다시 한번 명확히 하고, 군대라는 특수한 환경과 피해자의 입장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명예훼손죄의 공연성에 대한 판단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형사판례
해군 장교가 부하 여성 장교를 관사로 불러 강간했다는 혐의로 기소된 사건에서,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을 인정하고 유죄 취지로 파기환송한 판례입니다. 원심은 피해자 진술에 일부 모순이 있다는 이유로 무죄를 선고했으나, 대법원은 피해자 진술이 일관되고 다른 증거들과도 부합한다는 점, 피고인의 변소가 비합리적이라는 점 등을 들어 원심 판결을 파기했습니다.
형사판례
친족 간에 발생한 성범죄와 금전 거래 관련 사기 사건에서, 고소기간 도과 여부와 사기죄의 고의성에 대한 원심의 판단이 미흡하여 대법원이 파기환송한 사례.
형사판례
강제추행죄가 친고죄에서 비친고죄로 바뀌기 전에 발생한 사건은, 법이 바뀐 후에도 '범인을 안 날로부터 1년' 이내에 고소하면 유효하다.
형사판례
군형법상 강제추행, 준강간미수죄도 성폭력특례법상 '성폭력범죄'에 포함되어 신상정보 등록 및 공개고지 대상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