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소개해드릴 판례는 군대 내에서 발생한 안타까운 성폭력 사건에 대한 대법원의 판결입니다. 피해자의 진술 신빙성과 가해자의 폭행·협박 여부를 둘러싼 법리적 판단이 쟁점이 된 사건인데요, 대법원은 원심의 무죄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고등군사법원으로 돌려보냈습니다.
사건의 개요
해군 장교였던 피고인은 자신의 부하 장교였던 피해자를 관사로 불러 술을 마시던 중, 피해자를 침대에 눕히고 강제로 입을 맞추고 가슴을 만진 후 간음했습니다. 이로 인해 피해자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의 상해를 입었습니다. 약 7년 후 피해자가 이 사건을 고소했고, 1심은 유죄, 2심은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쟁점 1: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
원심(고등군사법원)은 피해자 진술에 일부 모순되는 부분이 있고, 피고인의 주장이 더 신빙성 있다고 판단하여 피해자 진술을 믿기 어렵다고 보았습니다. 그러나 대법원은 이를 뒤집었습니다.
쟁점 2: 가해자의 폭행·협박 여부
원심은 피고인의 행위가 피해자의 항거를 불가능하게 하거나 현저히 곤란하게 할 정도의 폭행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보았습니다. 그러나 대법원은 이 부분도 문제 삼았습니다.
쟁점 3: 피고인 진술의 신빙성과 간접증거로서의 가치
피고인은 피해자의 동의 하에 신체접촉이 이루어졌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대법원은 피고인의 진술이 앞뒤가 맞지 않고, 경험칙상 납득하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비록 피고인의 진술 자체가 유죄의 직접 증거는 될 수 없지만, 그 진술의 모순점은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을 뒷받침하는 간접 정황이 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관련 판례: 대법원 2018. 10. 25. 선고 2018도7709 판결)
결론
대법원은 원심의 판단에 잘못이 있다고 보고, 사건을 고등군사법원으로 돌려보냈습니다. 이 판결은 군대 내 성폭력 사건에서 피해자의 진술 신빙성을 어떻게 판단해야 하는지, 그리고 상관의 지위를 이용한 행위가 어떻게 폭행·협박으로 인정될 수 있는지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형사판례
군대 내 폭행 및 강제추행 사건에서 일부 폭행 혐의는 법률 개정으로 무죄가 되었고, 일부 강제추행 혐의는 고소기간이 지나 무효가 되었습니다. 나머지 강제추행 및 가혹행위 혐의는 유죄로 인정되었습니다.
형사판례
상급자인 피고인이 부하 여군인 피해자를 강제추행하고, 다른 부하에게 피해자의 사생활에 대한 허위 사실을 말하여 명예를 훼손한 사건에서, 원심의 무죄 판결을 대법원이 파기하고 사건을 고등군사법원으로 돌려보낸 사례입니다. 대법원은 추행의 의미를 다시 한번 명확히 하고, 군대라는 특수한 환경과 피해자의 입장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명예훼손죄의 공연성에 대한 판단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형사판례
남녀가 교제 중 성관계를 했는데, 여성이 거부하는데도 남성이 힘으로 제압하여 성관계를 했다면 강간죄일까? 이 판례는 단순히 여성의 의사에 반하는 정도의 힘만 사용했다면 강간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강간죄가 성립하려면 여성의 저항을 현저히 곤란하게 할 정도의 폭행이나 협박이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형사판례
이 판례는 성폭력 피해자의 진술 신빙성을 판단할 때 피해자의 특수한 상황과 군대라는 특수한 환경을 고려해야 하며, 피해자의 즉각적인 대응이나 일관된 태도만으로 신빙성을 판단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또한, 통신매체를 이용한 성적 언행에 대한 처벌 기준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습니다.
형사판례
피해자가 강간당했다고 주장했지만, 법원은 그 진술이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증거로 인정하지 않고 피고인에게 무죄 취지 판결을 내렸습니다. 유죄를 입증하려면 의심의 여지가 없을 정도로 확실한 증거가 필요하다는 원칙을 재확인했습니다.
형사판례
강간 피해 주장 후 피해자의 행동이 일반적이지 않아 진술의 신빙성이 의심되는 상황에서, 항소심이 피해자를 직접 다시 조사하지 않고 제1심 판결을 뒤집은 것은 잘못이라는 판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