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군대 내 성범죄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관련 법 적용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군형법상 성범죄가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하 '성폭력특례법')의 적용을 받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을 살펴보겠습니다.
쟁점은 무엇이었을까요?
이 사건의 핵심은 군형법상 강제추행죄와 준강간미수죄가 성폭력특례법상 '성폭력범죄'에 포함되는지 여부였습니다. 만약 포함된다면 신상정보 공개 및 고지 명령 등 추가적인 처벌이 가능해지기 때문입니다.
성폭력특례법은 무엇을 '성폭력범죄'로 볼까요?
성폭력특례법 제2조 제1항은 형법상 강간, 강제추행, 준강간 등 여러 범죄를 '성폭력범죄'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같은 조 제2항에서는 "제1항 각 호의 범죄로서 다른 법률에 따라 가중처벌되는 죄" 역시 '성폭력범죄'로 본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대법원은 어떻게 판단했을까요?
대법원은 군형법상 강제추행죄와 준강간미수죄가 성폭력특례법상 '성폭력범죄'에 포함된다고 판단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군형법 개정의 취지: 2009년 군형법 개정을 통해 강제추행죄 등이 신설된 것은 군대 내 성폭력 문제의 심각성을 반영하여 여군을 보호하고 군기를 확립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구성요건의 유사성: 군형법상 강제추행죄와 준강간미수죄는 적용 대상이 군인으로 한정된다는 점 외에는 형법상 해당 죄와 구성요건이 동일합니다.
가중처벌의 목적: 군형법상 죄는 군인을 상대로 한 성폭력범죄를 가중처벌하기 위한 것이므로, 형법상 죄와 본질적인 차이가 없습니다. 따라서 이를 성폭력특례법의 적용 대상에서 제외할 이유가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대법원은 군형법상 강제추행죄와 준강간미수죄를 형법상 해당 죄에 대한 가중처벌 규정으로 보고, 성폭력특례법 제2조 제2항에 따라 '성폭력범죄'에 포함된다고 판결했습니다. 원심은 이를 성폭력특례법 적용 대상에서 제외했기에, 대법원은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고등군사법원에 환송했습니다.
관련 법조항:
참고 판례:
이 판결은 군대 내 성범죄에도 성폭력특례법이 적용될 수 있음을 명확히 하여, 피해자 보호 및 군 기강 확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형사판례
군인을 대상으로 한 유사강간, 강제추행도 일반적인 유사강간, 강제추행과 마찬가지로 성폭력특례법 적용을 받아 가중처벌되고 신상정보 공개·고지 대상이 된다는 대법원 판결.
형사판례
군인에 대한 강제추행도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하 성폭력처벌법) 적용을 받는 성폭력범죄에 해당하므로, 성폭력처벌법에서 정한 1년의 고소기간이 적용된다.
형사판례
군인을 대상으로 한 강제추행은 일반 강제추행보다 더 무겁게 처벌받는 성폭력범죄이며, 따라서 범죄자 신상정보 등록 대상이 된다. 1심과 2심에서 이를 잘못 판단했더라도 대법원에서 바로잡을 수 있다.
형사판례
흉기 등을 사용하여 폭행·협박하고 추행하는 '특수강도강제추행죄'는 흉기 등을 사용하여 강도(또는 강도미수)를 저지른 사람이 저지르는 범죄이지, 폭행·협박으로 재물을 빼앗는 준강도(또는 준강도미수)를 저지른 사람이 저지르는 범죄는 아니다.
형사판례
2010년 3월 31일 이전에 단순 강간으로 상해를 입힌 경우, 이후 법이 개정되어 '특정강력범죄'에서 제외되었더라도, 개정된 법에 따라 처벌받게 된다는 판결입니다. 즉, 법 개정으로 형벌이 가벼워진 경우, 과거에 범죄를 저질렀어도 새 법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생활법률
성폭력 범죄는 형법 및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에 따라 죄질에 따라 징역, 벌금, 보호관찰, 신상정보 등록 등 다양한 처벌을 받는 중대한 범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