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기업구매전용카드를 악용한 사례를 통해 사기죄와 여신전문금융업법 위반 여부에 대한 대법원 판결을 살펴보겠습니다. 복잡한 법률 용어를 쉽게 풀어서 설명드릴 테니 잘 따라와 주세요!
사건의 개요
판매기업은 구매기업이 사용하는 기업구매전용카드를 이용해 허위 납품내역을 카드회사에 제출하고 대금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행위가 사기죄와 여신전문금융업법 위반에 해당하는지가 쟁점이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사기죄는 YES, 여신전문금융업법 위반은 NO
대법원은 판매기업이 허위 납품내역을 제출하여 카드회사를 속이고 돈을 받았다는 점을 인정하여 사기죄를 성립시켰습니다. 카드회사는 진짜 납품이 이루어진 줄 알고 돈을 지급했기 때문에, 판매기업의 거짓말이 카드회사의 재산 피해로 이어진 것입니다. 판매기업이 당시 돈을 갚을 의사나 능력이 있었더라도, 속여서 돈을 받으려는 의도(기망행위)가 있었다면 사기죄가 성립합니다. (대법원 1999. 2. 12. 선고 98도3549 판결 참조)
검찰은 판매기업의 행위가 구 여신전문금융업법 제70조 제2항 제2호 (가)목(물품 판매 등을 가장하여 신용카드 거래를 통해 자금 융통)에도 해당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대법원은 기업구매전용카드가 일반 신용카드와는 다르기 때문에 여신전문금융업법 위반으로 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결론적으로, 기업구매전용카드를 이용한 허위 거래는 사기죄에는 해당하지만, 여신전문금융업법 위반죄에는 해당하지 않는다는 것이 대법원의 판단입니다. 죄형법정주의 원칙에 따라 법을 엄격하게 해석해야 하기 때문에, 기업구매전용카드 거래를 여신전문금융업법 위반으로 확대 해석할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참고 법조항 및 판례
형사판례
기업에서 사용하는 '기업구매전용카드'로 물건을 사거나 서비스를 받은 것처럼 꾸며서 불법으로 돈을 융통한 사건에서, 법원은 기업구매전용카드는 신용카드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형사판례
진짜 신용카드가 아닌 위조 신용카드를 이용한 거래는 '신용카드 불법 자금융통'으로 처벌할 수 없다.
상담사례
기업구매전용카드는 특정 판매처에서만 사용 가능한, 카드번호 기반의 온라인 결제 방식으로, 일반 신용카드와는 다르며 법적으로 신용카드로 분류되지 않는다.
형사판례
실제 용역 제공 없이 허위 매출전표를 제출하여 카드사로부터 돈을 받은 행위는 사기죄에 해당한다. 카드사는 매출전표가 허위임을 알았다면 돈을 지급하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형사판례
회사가 자체 카드를 발행하고 매장 내 입점업체로부터 물건을 공급받아 판매하는 경우, 입점업체가 단순히 물건을 공급하는 관계일 뿐, 카드회원의 신용 위험을 떠안는 '신용카드 가맹점'으로 볼 수 없다면, 이는 여신전문금융업법에서 규제하는 무허가 신용카드업에 해당하지 않는다.
형사판례
실제 세금 납부 목적으로 카드 결제를 했지만, 그 돈을 받아 다른 용도로 사용했다면 (소위 카드깡), 여신전문금융업법 위반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