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가 빚을 지고 나서 갑자기 문을 닫고, 비슷한 회사를 새로 만들어 영업하는 경우를 본 적 있으신가요? 겉으로 보기엔 다른 회사지만, 실제로는 같은 사람들이 운영하고 똑같은 사업을 한다면 어떨까요? 이럴 때 빚을 진 회사의 채권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법원의 판결을 통해 회사의 꼼수를 막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A 회사는 B에게 건물 신축공사를 맡겼고, B는 C 등에게 하도급을 주었습니다. 그런데 A 회사는 공사대금을 지급하지 않고, 건축주 명의를 D 회사로 바꾼 뒤 다시 E 회사로 변경했습니다. 알고 보니 A 회사와 E 회사는 같은 사람이 설립하고 운영하는 회사였습니다! 결국 B와 C는 공사대금을 받지 못하고, E 회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A 회사와 E 회사가 실질적으로 같은 회사라고 판단했습니다. A 회사의 유일한 자산인 건축주 지위가 D 회사를 거쳐 E 회사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A 회사의 자산이 정당한 대가 없이 E 회사로 넘어갔고, 이는 A 회사의 빚을 갚지 않기 위한 꼼수라고 본 것입니다.
즉, 회사가 빚을 피하려고 껍데기만 바꿔 새 회사를 만든 것과 마찬가지라는 것이죠. 이런 경우, 채권자는 새로 만들어진 회사에도 빚을 갚으라고 요구할 수 있습니다. 회사라는 울타리 뒤에 숨어서 빚을 회피하려는 시도는 법원에서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핵심 정리
관련 법조항 및 판례
이처럼 법은 회사라는 제도를 악용하여 빚을 회피하려는 행위를 엄격하게 제재하고 있습니다. 정당한 경영활동을 통해 건전한 기업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강조하는 판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민사판례
빚을 갚지 않기 위해 기존 회사를 없애고 새로운 회사를 만드는 꼼수를 써도, 새 회사에 빚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민사판례
빚을 피하기 위해 새 회사를 만든 경우, 새 회사도 빚을 갚아야 할 책임이 있다는 판결.
민사판례
빚을 피하려고 새 회사를 만든 것인지, 그리고 새 회사가 옛 회사의 사업을 이어받으면서 빚도 떠안아야 하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법원은 단순히 회사를 새로 만들었다는 사실만으로는 빚을 피하려는 의도가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지만, 옛 회사의 채권자에게 회사 이름을 바꿨다고 알린 행위는 빚을 갚겠다는 의사표시로 보아 새 회사가 빚을 갚아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상담사례
폐업 후 유사 회사 설립 시, 원칙적으로 구 회사의 채무는 신설 회사에 승계되지 않으나, 채무 면탈 목적이 입증되면 신설 회사에 청구 가능하며, 채권자취소소송이나 대표이사에게 손해배상 청구 등의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민사판례
빚을 逃하기 위해 새 회사를 만들거나 기존 다른 회사를 이용하는 것은 법인격 남용으로, 채권자는 원래 회사뿐 아니라 새 회사에도 빚을 갚으라고 요구할 수 있습니다.
민사판례
빚을 피하려고 기존 회사와 똑같은 회사를 새로 만들어도 빚을 져야 합니다. 법원은 이런 행위를 '법인격 남용'으로 보고 새 회사에도 빚을 갚으라고 판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