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가 빚을 갚지 않으려고 새로운 회사를 만들어 꼼수를 부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번에 소개할 사례도 바로 그런 경우인데요, 법원은 빚진 회사와 새로 만든 회사를 사실상 같은 회사로 보고 새 회사에게 빚을 갚으라고 판결했습니다. 어떤 사건인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A 회사는 B에게 돈을 빌렸지만 갚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A 회사가 빚을 갚지 않기 위해 C 회사를 새로 만들었다는 의심을 받게 되었죠. B는 C 회사가 A 회사의 빚을 피하기 위한 껍데기에 불과하다고 주장하며, C 회사를 상대로 돈을 갚으라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A 회사와 C 회사가 사실상 같은 회사라고 판단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결론적으로 법원은 A 회사가 채무 면탈 목적으로 C 회사를 설립했다고 판단하고, C 회사가 A 회사와 별개의 회사라고 주장하는 것은 신의성실의 원칙에 위배된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C 회사는 A 회사의 빚을 갚아야 합니다.
관련 법 조항
이 판례는 회사를 악용하여 빚을 회피하려는 시도에 대해 법원이 엄격하게 판단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정당한 사업 활동을 가장하여 채무를 면탈하려는 행위는 법의 심판을 피할 수 없다는 점을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
민사판례
빚을 갚지 않기 위해 기존 회사를 없애고 새로운 회사를 만드는 꼼수를 써도, 새 회사에 빚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민사판례
빚을 피하려고 새 회사를 만든 것인지, 그리고 새 회사가 옛 회사의 사업을 이어받으면서 빚도 떠안아야 하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법원은 단순히 회사를 새로 만들었다는 사실만으로는 빚을 피하려는 의도가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지만, 옛 회사의 채권자에게 회사 이름을 바꿨다고 알린 행위는 빚을 갚겠다는 의사표시로 보아 새 회사가 빚을 갚아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민사판례
빚을 피하려고 기존 회사와 똑같은 새 회사를 만들었더라도, 채권자는 새 회사에도 빚을 갚으라고 요구할 수 있습니다. 법원은 회사 설립 목적이 진짜로 빚 면탈인지를 꼼꼼히 따져봅니다.
민사판례
빚을 갚지 않으려고 실질적으로 같은 회사를 새로 만들거나 다른 회사를 이용하는 것은 법인격을 남용하는 것이므로 채권자는 새로 만들어진 회사나 이용된 회사에도 빚을 갚으라고 요구할 수 있습니다.
상담사례
폐업 후 유사 회사 설립 시, 원칙적으로 구 회사의 채무는 신설 회사에 승계되지 않으나, 채무 면탈 목적이 입증되면 신설 회사에 청구 가능하며, 채권자취소소송이나 대표이사에게 손해배상 청구 등의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민사판례
빚을 피하려고 새 회사를 세웠더라도, 기존 회사에 대한 판결 효력이 새 회사에까지 미치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