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1.11.30

일반행정판례

나무를 옮겨 심으려면 허가가 필요할까? - 공익을 위한 나무 굴취 허가 거부

조경회사를 운영하는 A씨는 공원 조성 사업을 위해 특정 지역의 나무를 옮겨 심으려고 했습니다. 하지만 관할 구청에서 허가를 내주지 않았습니다. A씨는 구청의 결정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지만, 결국 패소했습니다. 왜 그런 일이 발생했을까요?

이번 사례는 나무 굴취 허가와 공익의 관계에 대한 중요한 판례를 보여줍니다. 나무를 옮겨 심는 것처럼 보이는 단순한 행위도 국토와 자연환경 보전이라는 더 큰 맥락에서 판단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산림법은 산림자원의 보호·육성, 임업생산력 향상, 산림의 공익기능 증진을 목표로 합니다. (산림법 제1조) 이를 위해 나무 벌채나 굴취 시 허가를 받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산림법 제90조 제1항, 산림법시행규칙 제85조 제2항, 제93조 제2항)

하지만 단순히 신청서를 제출한다고 허가가 무조건 나오는 것은 아닙니다. 담당 공무원은 신청 대상 나무의 상태, 위치, 주변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특히, 국토 및 자연 유지, 환경 보전 등 중대한 공익상의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허가를 거부할 수 있습니다.

이번 판례(대법원 1997. 1. 20. 선고 96누624 판결)에서 대법원은 A씨의 나무 굴취가 자연 유지와 환경 보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하여 구청의 허가 거부를 정당하다고 인정했습니다. 즉, 개인의 이익보다 공익이 우선시 된 것입니다.

이 판례는 나무 굴취 허가에 있어 공익적 가치가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나무는 단순한 재산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소중한 자자원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나무 굴취를 계획하고 있다면, 개인의 이익뿐 아니라 더 넓은 공익적 관점에서 생각해야 할 것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도로구역 내 나무 굴취, 허가 받아야 할까?

도로 확장 공사로 도로구역에 포함된 땅의 나무를 소유자의 동의를 받아 굴취했을 경우, 관련 허가를 받지 않았더라도 처벌 대상이 아닐 수 있다는 판결.

#도로구역#나무굴취#허가의제#산림법위반

일반행정판례

나무를 함부로 못 베는 이유, 공익이 중요해요!

법으로 정해진 산림훼손 금지 구역이 아니더라도, 주변 환경이나 공익에 큰 영향을 미칠 경우 산림훼손허가를 거부할 수 있다.

#산림훼손허가 거부#공익#환경보전#비사피해

형사판례

자작나무 조림지에서 소나무 굴취, 허가 받아야 할까요?

자작나무 조림지에서 자라던 소나무를 허가 없이 굴취해도 어린나무 가꾸기 작업으로 인정되어 처벌받지 않는다는 판결.

#자작나무#소나무#굴취#어린나무가꾸기

형사판례

나무 굴취, 어디까지 허락될까? - 뿌리 1/4 남아있으면 '굴취' 아니다!

허가 없이 나무를 굴취하는 것은 불법이지만, '굴취'는 나무가 땅에서 완전히 분리된 경우에만 해당합니다. 뿌리의 일부라도 땅에 남아있다면 굴취로 볼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나무 굴취#완전 분리#뿌리#무죄

형사판례

산림훼손, 허가는 언제 필요할까? 행정기관의 안내를 믿었다면?

산림을 훼손하려면 산림법에 따라 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다른 법률에 따라 허가가 면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리고 공무원의 잘못된 안내를 믿고 허가 없이 산림을 훼손했더라도, 그 믿음에 정당한 이유가 있다면 처벌받지 않을 수 있습니다.

#산림훼손허가#면제요건#법률착오#정당한이유

일반행정판례

나무를 함부로 베면 안되는 이유, 알려드립니다!

산림훼손허가는 법으로 정해진 금지/제한 지역이 아니더라도, 환경 보전 등 공익을 위해 거부될 수 있습니다. 산림훼손허가 여부는 담당 기관의 재량이지만, 무제한적인 것은 아닙니다.

#산림훼손허가#거부처분#적법성#공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