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대표 이름을 빌려 수표를 발행하고 나서, 부도 처리를 막기 위해 허위 신고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도 처벌을 받을 수 있을까요? 대법원은 이에 대해 명의를 빌린 사람도 처벌 대상이 될 수 있다고 판결했습니다.
이번 사건은 한 회사의 실질적인 대표가 회사 명의상 대표의 이름을 빌려 수표를 발행하고, 나중에 수표 금액이 변조되었다고 허위 신고를 한 사례입니다. 원심 법원은 명의를 빌린 사람은 부정수표단속법 위반으로 처벌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다른 판단을 내렸습니다. 비록 타인의 명의를 빌렸더라도, 명의를 빌려준 사람과 공모하여 허위 신고를 했다면 부정수표단속법 위반죄로 처벌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대법원 1995. 12. 12. 선고 94도3348 판결). 즉, 명의를 빌린 사람이 단독으로 허위 신고한 경우는 처벌 대상이 아니지만, 명의자와 함께 공모했다면 처벌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한 것입니다.
이에 따라 대법원은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했습니다. 명의를 빌린 사람이 명의자와 공모하여 허위 신고를 했는지 여부를 다시 판단하라는 것입니다.
핵심 정리
관련 법 조항: 부정수표단속법 제4조
형사판례
타인의 명의를 빌려 수표를 발행한 사람은 부정수표단속법 위반(허위신고죄)으로 처벌할 수 없으며, 고소 내용이 사실과 다르더라도 허위라는 인식이 없거나 사실을 다소 과장한 정도라면 무고죄로 처벌할 수 없다.
형사판례
다른 사람의 이름으로 수표를 발행한 사람(명의차용인)은 수표 부도 신고를 허위로 했더라도 부정수표단속법 위반(허위신고죄)으로 처벌할 수 없다.
형사판례
수표 발행인이 아닌 사람이 타인 명의의 수표를 발행하고, 이 수표에 대해 거짓 신고를 한 경우, 부정수표 단속법 위반죄로 처벌할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
형사판례
회사 경영에 관여하지 않는 명의상 대표이사(바지사장)라도 수표 발행 당시 지급 불능 가능성을 예견할 수 있었다면 부정수표단속법 위반죄에 대한 책임을 면할 수 없다.
형사판례
법인 사업자등록 시 실제 대표가 아닌 다른 사람 이름을 사용했더라도, 조세 회피 목적이 없다면 조세범 처벌법 위반이 아니다.
민사판례
다른 사람이 내 명의로 대출받아 쓰도록 돈을 빌려준 경우, 나에게 빚이 있는 것일까? 단순히 명의만 빌려줬다면 원칙적으로 빚이 없지만, 은행도 이 사실을 알고 묵인했다면 빚이 없다고 주장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