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3.04.09

세무판례

남편이 아내 명의로 부동산 등기했는데 증여세? 🤨

부부간의 재산 문제, 특히 부동산 명의 때문에 골치 아픈 경우가 많죠. 오늘은 남편이 아내 명의로 부동산 등기를 했는데 증여세를 내야 하는지에 대한 판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대법원 1992.3.10. 선고 91누3956 판결 등 참조)

사건의 개요

한국토지개발공사 직원이었던 남편은 여러 부동산을 매입하면서 아내 등 가족 명의로 소유권 이전 등기를 했습니다. 세무서는 이를 증여로 보고 아내에게 증여세를 부과했고, 아내는 이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쟁점

남편이 아내 명의로 부동산 등기를 한 것이 증여에 해당하는지, 증여세를 내야 하는지가 쟁점이었습니다. 당시 상속세법(1990.12.31. 법률 제428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2조의2 제1항은 실질 소유자와 명의자가 다른 경우 증여로 의제하여 과세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었습니다.

판결

대법원은 아내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남편이 부동산을 단기간에 전매하여 차익을 얻었고, 아내는 매매 과정에 관여하지 않았다는 점 등을 근거로, 아내 명의의 등기는 실제 증여와는 무관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증여세를 회피하기 위한 목적이 없었다는 것이죠.

핵심 포인트

  • 옛 상속세법 제32조의2는 재산의 실질 소유자와 명의자가 다른 경우 증여로 간주하여 증여세를 부과하는 규정입니다.
  • 하지만, 명의를 다르게 한 것이 증여를 은폐하거나 증여세를 회피할 목적이 없다면 이 규정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 이번 판례에서는 남편이 양도소득세를 줄이기 위해 명의를 분산한 것으로 보아 증여세 부과는 부당하다고 판결했습니다.

결론

부동산 명의신탁은 복잡한 세금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배우자 명의로 등기했다고 해서 무조건 증여세가 부과되는 것은 아니며, 명의신탁의 목적과 실질적인 소유 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야 합니다.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불필요한 세금 부담을 피하도록 주의해야겠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남편이 내 명의로 땅을 샀는데, 증여세를 내야 한다고요?

부동산처럼 등기가 필요한 재산을 실제 소유자 이름이 아닌 다른 사람 이름으로 등기(명의신탁)하는 경우, 조세 회피 목적이 없었다는 것을 명의자가 증명하지 못하면 증여로 보고 증여세를 부과한다는 판결입니다.

#명의신탁#증여세#입증책임#조세회피

세무판례

부동산 명의신탁, 무조건 증여일까?

단순히 금융 제재나 높은 지방세를 피하려고 부동산 명의를 다른 사람 이름으로 해 놓았더라도, 증여세를 피하려는 목적이 없었다면 증여로 보지 않아 증여세를 부과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명의신탁#증여세#회피목적#금융제재

세무판례

내 돈으로 산 집, 내 명의로 했다가 증여세 폭탄? 억울한 사연!

다른 사람의 돈으로 부동산을 사면서, 그 사람과 상의 없이 자기 이름으로 등기를 했다가 나중에 바로잡은 경우에는 증여로 보지 않아 증여세를 부과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명의신탁#증여세#부과#대법원

세무판례

내 돈, 내 명의로 돌려받았는데 증여세라니?! 명의신탁 해지와 증여세

다른 사람 이름으로 재산을 등기해뒀다가(명의신탁) 다시 자기 이름으로 돌려받는 것은 증여로 보지 않아 증여세를 부과할 수 없다.

#명의신탁#해지#소유권 환원#증여세

세무판례

내 땅인데 왜 증여세를 내야 하나요? 명의신탁과 증여세

매도인의 사정으로 부득이하게 제3자 명의로 부동산 등기를 했다면, 실소유주에게 증여세를 부과할 수 없다.

#명의신탁#증여세#조세회피#매도인 사정

세무판례

내 명의가 아닌 부동산, 세금은 누가 내야 할까? - 명의신탁과 증여세

부동산 투기 목적으로 타인 명의로 등기했다면, 단순히 거래 편의를 위해 명의신탁했다는 주장은 인정되지 않고 증여세가 부과된다는 판례.

#부동산 명의신탁#증여세#조세회피#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