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사업을 하다 보면 여러 가지 이유로 가게를 다른 사람에게 넘겨야 할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 내 임차권, 마음대로 양도할 수 있을까요? 오늘은 임차권 양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임차권 양도란 무엇일까요?
쉽게 말해, 임차권 양도는 현재 임차인(나)이 가지고 있는 임차권을 제3자(새로운 임차인)에게 넘겨주는 것입니다. 즉, 내가 계약한 임대차 기간 동안 가게를 사용할 권리를 다른 사람에게 넘기는 것이죠.
임대인 동의, 꼭 필요할까?
임차권 양도는 나와 새로운 임차인 사이의 계약만으로 효력이 발생할 것 같지만, 법적으로는 임대인의 동의가 필수입니다 (민법 제629조). 임대인 동의 없이 임차권을 양도하면, 임대인은 임대차 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임대인 동의가 있다면?
임대인의 동의를 받아 임차권을 양도하면, 기존 임대차 계약에서 내가 가지고 있던 모든 권리와 의무는 새로운 임차인에게 넘어갑니다. 나는 더 이상 임대차 관계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게 되죠.
단, 중요한 예외가 있습니다! 임대인 동의 전에 발생한 체납된 월세나 손해배상 등의 채무는 특별한 약속이 없다면 새로운 임차인에게 넘어가지 않습니다. 이 부분은 임대인과 잘 협의해야 합니다.
임대인 동의 없이 양도하면 어떻게 될까?
임대인 동의 없이 임차권을 양도하면 다음과 같은 복잡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세권은 다를까?
전세권은 임차권과 달리 설정 계약에서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 한, 임대인 동의 없이도 양도, 담보 제공, 전전세, 임대가 가능합니다 (민법 제306조). 단, 이러한 제한 사항은 등기해야 제3자에게 효력이 있습니다 (부동산등기법 제3조). 전세권 양도는 등기를 해야 효력이 발생하고 (민법 제186조), 양수인은 양도인과 동일한 권리와 의무를 갖게 됩니다 (민법 제307조). 전세권을 담보로 제공할 때는 저당권 설정만 가능합니다 (민법 제371조).
임차권 양도는 생각보다 복잡한 법적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특히 임대인의 동의는 필수적이라는 점을 꼭 기억하시고, 전문가와 상의하여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생활법률
전/월세 임차권 양도는 원칙적으로 집주인 동의가 필수이며, 무단 양도 시 계약 해지 등 법적 분쟁 발생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단, 상가 전세권은 예외적으로 자유롭게 양도 가능)
민사판례
옷가게를 세 들어 운영하던 사람이 가게를 넘기면서 임대 계약도 함께 넘겨준 경우, 이는 가게를 다시 빌려주는 '전대차'가 아니라 기존 임대 계약 자체를 넘기는 '임차권 양도'로 봐야 한다는 판결.
민사판례
공공임대주택 임차인이 임차권을 양도하려면 양수인의 정보를 제공하여 주택 소유 여부 확인을 가능하게 해야 하며, 임대사업자는 특별한 문제가 없으면 양도에 동의해야 합니다.
생활법률
임차한 상가를 다시 임대(전대차)하려면 임대인의 동의가 필수이며, 동의 없이는 계약 해지 등의 불이익을 당할 수 있으므로 관련 법규를 숙지하고 진행해야 한다.
상담사례
임대주택 임차권은 원칙적으로 양도/전대가 금지되며, 예외적인 사유(타 시군구 이사 등)와 임대사업자 동의가 있어야 가능하고, 무단 양도/전대는 무효입니다.
상담사례
임대인 동의 없이 임차권을 양도받은 경우, 불법점유자를 상대로 직접 명도소송을 제기할 수 없으며, 임대인의 동의를 얻거나 다른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